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사의 코칭리더십이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1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코칭리더십,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매개작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울산의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24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8.0과 AMOS 18.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코칭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칭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열의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제고를 위하여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조직구성원의 적극적인 혁신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상사의 코칭리더십을 통한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를 향상시켜야 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코칭리더십,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매개작용을 규명하...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코칭리더십,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매개작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울산의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24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8.0과 AMOS 18.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코칭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칭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열의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제고를 위하여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조직구성원의 적극적인 혁신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상사의 코칭리더십을 통한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를 향상시켜야 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oaching leadership, self-efficacy, job engagement, innovative behavior and to specify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Participants were 240 nurses with survey. SPSS 18.0 and AMOS 18.0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aching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job engagement. Second, coaching leadership had not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ir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innovative behavior. Fourth, job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ifth, self-efficacy and job engage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rule of self-efficacy and job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hat in order to induce the activ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s to improve the employee’s self-efficacy and job engagement through the supervisor’s coaching leadership.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oaching leadership, self-efficacy, job engagement, innovative behavior and to specify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oaching leadership, self-efficacy, job engagement, innovative behavior and to specify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Participants were 240 nurses with survey. SPSS 18.0 and AMOS 18.0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aching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job engagement. Second, coaching leadership had not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ir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innovative behavior. Fourth, job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ifth, self-efficacy and job engage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rule of self-efficacy and job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hat in order to induce the activ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s to improve the employee’s self-efficacy and job engagement through the supervisor’s coaching leader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연구 설계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연구 설계
      • IV. 연구결과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청일, "호텔 직원의 긍정심리자본, 직무열의, 비생산적 업무행동 및 혁신행동 간의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2016

      2 심명순, "학교장의 리더십과 조직성과와의 관계:교사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2015

      3 조두찬, "패밀리 레스토랑 직원이 지각한 코칭리더십이 선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2017

      4 박수미, "콜센터에서 코칭리더십이 상담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 조직응집력,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 전남대학교 2015

      5 허철, "코칭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직무몰입과 직무특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2018

      6 서대곤, "코칭리더십이 조직원의 직무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박민재, "코칭리더십, 혁신행동, 직무몰입,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2018

      8 조은현, "코칭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127-155, 2011

      9 이민호, "코칭 리더십의 공공부문 도입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10 신강현,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의 요구-자원 모델에서 정서노동전략의 역할 - 콜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9 (19): 573-596, 2006

      11 김원주, "직무자율성이 업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6

      12 홍현경, "자기효능감이 직무 착근도, 혁신행동과 조직구성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특1급 호텔 근무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13 이창주, "임파워먼트와 코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14 이석만, "외식기업 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자아개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15 정정연, "여대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25-238, 2017

      16 마가신, "서번트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및 학습목표의 매개 효과" 전북대학교 2016

      17 백은실, "감성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2016

      18 M. S. Christian, "Work engagement: A quantitative review and test of its relations with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64 (64): 89-136, 2011

      19 D. Sweetman, "Work engagement: A handbook of essential theory and research" Psychology Press 54-68, 2010

      20 D. Katz,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Vol.2)" Wiley 1978

      21 M. Vera, "The predic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A longitudinal study" 33 (33): 167-178, 2012

      22 C. Hardy, "The power behind empowerment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51 (51): 451-483, 1998

      23 W. B. Schaufeli,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3 (3): 71-92, 2002

      24 L. Baron, "The impact of executive coaching on self-efficacy related to management soft-skills" 31 (31): 18-38, 2010

      25 M. E. Porter,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68 (68): 73-93, 1990

      26 G. R. Jones, "Socialization tactics, self-efficacy, and new comers’ adjustments to organizations" 29 (29): 262-279, 1986

      27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28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29 W. A. Kahn,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33 (33): 692-724, 1990

      30 R. T. Mowday, "Presidential Address: Reaffirming Our Scholarly Values" 31 (31): 256-269, 1997

      31 U. A. Agarwal, "Linking LMX, innovative work behaviour and turnover intentions: The mediating role of work engagement" 17 (17): 208-230, 2012

      32 S. J. Stowell, "Leadership and Coaching" University of Utah 1986

      33 O. Janssen,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73 (73): 287-302, 2000

      34 김지영, "IT 서비스업 종자사의 감성지능, 직무열의, 지식공유 및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2016

      35 R. M. Kanter, "From spare change to real change. The social sector as beta site for business innovation" 77 (77): 122-132, 1998

      36 G. R. Oldham,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39 (39): 607-634, 1996

      37 J. B. Gregory, "Employee coaching: The importance of the supervisior/subordinate relationship and related constructs" Akron University 2010

      38 S. G. Scott,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37 (37): 580-607, 1994

      39 T. M. Amabile, "Creativity motivation in research and development" 1984

      40 T. M. Amabile,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Vol.5)" Harvard Business School 1996

      41 E. Glassman, "Creative problem solving: Your role as leader" 34 (34): 37-42, 1989

      42 J. H. Schemerhorn, "Core concept of organizational behavior" Wiley 2004

      43 L. Salter, "Coaching and counselling for peak performance" 44 (44): 26-28, 1997

      44 E. Konstantellou,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enjoyment at work: A cross–national approach" University of Surrey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