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복지실천과 영성: ‘영성복지’의 이론화 작업의 일환으로 = Social Welfare Practice and Spirituality: As Part of the Theorization of ‘Spiritual Welf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4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modern social welfare now needs a shift from economic welfare-based welfare to spiritual welfare focusing on spirituality. Welfare is not enough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to simply receive econom...

      This study was attemp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modern social welfare now needs a shift from economic welfare-based welfare to spiritual welfare focusing on spirituality. Welfare is not enough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to simply receive economic, material, and cultural benefits, but it is possible when they are based on spiritual awareness to lead their own lives on their own. Although the concept of spirituality has a large difference between Christian theology, which defines it as a transcendental gift, and the New Age, which is seen as the realization of the divine potential of human existence, that is, man's efforts for self-salvation, there seems to be a point where they meet each other from the perspective that spirituality values the field of human life. Social welfare practices view spirituality as a single human experienc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dimension, leading to changes in individual consciousness through spiritual growth, and further increased responsibility for the well-being of their families, societies and ecosystems. In particular, the holistic view of spirituality, which is the unity of mind-body-spirit, is a core foundational idea in social welfare practice. There is a spirit in all, and the spirit has the meaning that it is the bond that binds the human mind and body, cosmic nature and human beings. The meaning of spirituality has recently expanded beyond the level of individual privateness to the so-called social and public sphere. According to this trend, the academic sphere of spirituality has not only philosophy and psychology but also the social science beyond the boundaries of theology and religion, showing the possibility of turning to spiritual welfare.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basis of spiritual welfare is holistic, the body seems to be neglected compared to the mind and spirit, and so was the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environment, and nature surrounding the client. Although spiritual welfare is not yet an established term in academia, above all, the new spiritual movement shows the significance of being able to ultimately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in that it has the prospect of forming a healthy society through healthy individu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의 사회복지가 경제에 바탕을 둔 복지를 넘어 영성에 초점을 두는 영성복지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시도되었다. 복지는 사회적 약자들이 단순히 경제적 물질적 문...

      본 연구는 현대의 사회복지가 경제에 바탕을 둔 복지를 넘어 영성에 초점을 두는 영성복지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시도되었다. 복지는 사회적 약자들이 단순히 경제적 물질적 문화적 혜택을 제공 받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그들 스스로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영위하려는 영적 자각에 기반할 때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영성의 개념은 초월주의 은사로 규정하는 기독교 신학과 인간 존재가 가지고 있는 신성한 잠재력의 실현, 다시 말해서 인간의 자기 구원의 노력으로 본 뉴에이지 간 차이가 크지만 영성이 인간의 삶의 현장을 중시한다는 점에서는 서로 만나는 지점이 있어 보인다. 사회복지실천에서는 영성을 하나의 인간적 경험, 발달 및 환경 차원으로 접근하면서 영적 성장을 통한 개인의식의 변화, 더 나아가 그들 가족, 사회 그리고 생태계의 복지에 대한 책임 증가로 이어진다고 본다. 특히 마음·몸·영의 일체라는 전인적 영성관은 사회복지실천에서도 핵심 기반 사상이 되고 있다. 영성이 개인의 마음과 몸에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서 마음을 깨우치거나 몸을 변화시키는 두 가지 작용 모두에 영(spirit)의 존재가 있고, 영은 인간의 마음과 몸, 우주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묶는 끈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최근 영성의 의미는 개인의 사사로움의 차원을 넘어 이른바 사회적 및 공적 영역에까지 확장되고, 이 추세에 따라 영성의 학문 영역은 신학이나 종교학의 경계를 넘어 철학, 심리학은 물론이고 사회과학의 영역 역시 포괄하고 있어, 영성복지로의 방향 전환의 가능성이 드러난다. 그러나 영성복지의 기반이 전인주의임에도 불구하고 심리, 정신, 마음 등에만 집중하면서 ‘몸’을 소홀히 하고, 동시에 클라이언트가 맺고 있는 가족, 친지, 환경, 자연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별로 주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아직 영성복지는 학계에서 정립된 용어는 아니지만 무엇보다 새로운 영성운동은 건강한 개인을 통해 건강한 사회를 형성하면서 궁극적으로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를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승자, "통합적-영성적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 1 (1): 21-56, 2013

      2 김경재, "종교와 영성, 그 사회적 치유" 한국종교학회 80 (80): 9-23, 2020

      3 캔다, 에드워드, "종교사회복지실천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3

      4 박종천, "올바른 영성운동의 전거: 예수님의 영성" 29-55, 2010

      5 홍치모, "영성운동의 역사적 고찰" 56 (56): 57-74, 1989

      6 오먼, 조던, "영성신학" 분도출판사 1987

      7 전명수, "영성과 힐링의 사회적 의미: 종교사회학적 접근" 원불교사상연구원 (64) : 1-34, 2015

      8 Derezotes, David S, "영성과 사회복지실천: 영성 이론과 사례 중심" 나눔의집 2011

      9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홈페이지"

      10 이솔지, "알코올중독자의 회복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영성을 중심으로" 213-244, 2008

      1 도승자, "통합적-영성적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 1 (1): 21-56, 2013

      2 김경재, "종교와 영성, 그 사회적 치유" 한국종교학회 80 (80): 9-23, 2020

      3 캔다, 에드워드, "종교사회복지실천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3

      4 박종천, "올바른 영성운동의 전거: 예수님의 영성" 29-55, 2010

      5 홍치모, "영성운동의 역사적 고찰" 56 (56): 57-74, 1989

      6 오먼, 조던, "영성신학" 분도출판사 1987

      7 전명수, "영성과 힐링의 사회적 의미: 종교사회학적 접근" 원불교사상연구원 (64) : 1-34, 2015

      8 Derezotes, David S, "영성과 사회복지실천: 영성 이론과 사례 중심" 나눔의집 2011

      9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홈페이지"

      10 이솔지, "알코올중독자의 회복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영성을 중심으로" 213-244, 2008

      11 전명수, "신영성운동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고찰" 5 : 61-87, 2004

      12 김성건, "세계화와 영성" 프리칭아카데미 2006

      13 이연숙, "산업전반에 부는 자연주의 바람, 웰빙" 19 : 2004

      14 유장춘,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영성적 접근 가능성에 대한 탐색" 16 (16): 9-44, 2003

      15 손신,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종교와 영성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고찰"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59 : 201-226, 2010

      16 김도희, "사회복지실천과 영성에 관한 고찰 - 마음챙김명상과 강점관점 모델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32 (32): 79-104, 2016

      17 이혜숙, "불교사회복지실천의 영성관점 확립을 위한 시론" 불교학연구회 22 : 297-328, 2009

      18 김현옥, "분노조절훈련과 명상훈련이 청소년의 분노와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2

      19 박천익, "복지주의 경제학의 경제사상적 배경과 전망: Cambridge School 이후를 중심으로" 3 (3): 83-111, 1996

      20 "미국사회복지사협회 홈페이지"

      21 오윤선, "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용서프로그램이 기독교 청소년의 용서경험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19 : 217-244, 2012

      22 전명수, "뉴에이지 운동과 한국의 대중문화" 집문당 2009

      23 전명수, "뉴에이지 운동과 종교사회학의 지평" 한국학연구소 (32) : 339-369, 2010

      24 그루두이스, 더글라스, R, "뉴에이지 운동 정체"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25 윤현숙,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0 (30): 1077-1093, 2010

      26 강경림, "기독교의 영성운동에 대한 개혁신학적 비판" 3 : 448-475, 1998

      27 정용석, "기독교 영성과 영성학(1)" 37 (37): 89-103, 1993

      28 웨이크필드, 고든 S, "기독교 영성 사전" 은성 2002

      29 노혜련,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특성에 관한 연구: 빈곤여성가구주의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15 (15): 75-104, 2007

      30 노혜련,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적용과 성과경험: 기관사례를 중심으로" 407-425, 2011

      31 이경욱, "강점관점 노인주간보호센터 운영 경험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4) : 131-160, 2009

      32 島薗進, "精神世界のゆくえ: 現代世界と新靈性運動" 東京堂出版 1996

      33 島薗進, "新宗敎時代⑤" 大藏出版 167-208, 1996

      34 島薗進, "岩波 哲學·思想 事典" 岩波書店 711-713, 1998

      35 송재룡, "‘영성 사회학’ 테제의 가능성 : 쟁점과 전망" 한국사회이론학회 (44) : 257-289, 2013

      36 Chandler, Russel, "Understanding the New Age" Word Publishing 1991

      37 Rapp, Richard C, "The Strengths Perspective: Proving ‘My Strengths’ and ‘It Works’" 52 (52): 185-186, 2007

      38 Saleebey, D,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Extensions and Cautions" 41 (41): 296-305, 1996

      39 Giordan, Giuseppe, "The Body between Religion and Spirituality" 56 (56): 226-236, 2009

      40 Sheldrake, P, "Spirituality: A Brief History" Wiley-Blackwell, a John Wiley & Sons 2013

      41 Miller, W. R, "Spirituality, Religion, and Health: An Emerging Research Field" 58 (58): 24-35, 2003

      42 Canda, E. R., "Spiritual Diversity in Social Work Practice: The Heart of Help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43 Oxhandler, Holly K, "Social Work Practitioners’ Integration of Clients’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Practice: A Literature Review" 59 (59): 271-279, 2014

      44 Collins, Pat, "New Age Spirituality" 49 (49): 91-97, 1998

      45 Hanegraaff, Wouter J, "New Age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8

      46 Shimazono, Susumu, "New Age Movement or New Spirituality Movements and Culture?" 46 (46): 121-133, 1999

      47 Melton, J. Gordon, "New Age Encyclopedia" Gale Research Inc 1990

      48 Kabat-Zinn, Jon,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Context:Past, Present, and Future" 10 (10): 144-156, 2003

      49 Wachholtz, A. B, "Migraines and meditation: does spirituality matter?" 31 : 351-366, 2008

      50 Friedlander, Walter A,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Prentice-Hall 1980

      51 O’Brien, Patrick J, "Innovations in Social Work Practice:Spirituality and Social Work" 37 (37): 286-, 1992

      52 "Global Definition of Social Work"

      53 Senreich, Evan, "An Inclusive Definition of Spirituality for Social Work Education and Practice" 49 (49): 548-563, 2013

      54 Wuthnow, Robert, "After Heaven: Spirituality in America Since the 1950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55 Flanagan, Kieran, "A Sociology of Spirituality" Ashgate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6 0.55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