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예술치료를 동작촉진프로그램으로 구조화하기 위한 예비적 연구이다. ADHD경향아동의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기 위해서, 사회성 척도 검사와 사회성을 증진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68857
2016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1-108(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술치료를 동작촉진프로그램으로 구조화하기 위한 예비적 연구이다. ADHD경향아동의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기 위해서, 사회성 척도 검사와 사회성을 증진시...
본 연구는 예술치료를 동작촉진프로그램으로 구조화하기 위한 예비적 연구이다. ADHD경향아동의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기 위해서, 사회성 척도 검사와 사회성을 증진시키는 하위요인 중 하나인 협동성을 중심으로 행동관찰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ADHD경향아동의 사회적 몸짓을 관찰하기 위해서 루돌프 라반의 동작 분석을 적용한 행동관찰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으며, 매회기 행동관찰 기록방법을 접목하여 협동성 중심 사회성 증진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조화한 협동적 동작촉진프로그램의 구성은, 다문화적인 수용적 태도를 보이는 인본주의적 심리치료학자 카를 로저스의 인간중심 이론을 기반으로 ‘촉진적 치료관계’를 적용하였다. 협동적 동작촉진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은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되는 ADHD경향 아동이 겪는 어려움을 ‘공감적 이해를 하는 사람(촉진적 치료자)’으로서 지원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각 회기에서는 무용가 마리안 체이스의 ‘역동적 그룹 활동’을 적용하였으며, ADHD경향 아동들이 ‘사회적으로 기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소집단으로 마무리 활동을 하였다. 이와 같이 구조화된 동작촉진프로그램은 상호작용을 통하여 협동적인 동작을 활성화시킴으로서 사회성이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 Behavior Encouragement Psychotherapy Program for ADHD(tendency) children's sociability improvement. To study the Cooperative Behavior Encouragement Program, of the Person-Centered Art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 Behavior Encouragement Psychotherapy Program for ADHD(tendency) children's sociability improvement. To study the Cooperative Behavior Encouragement Program, of the Person-Centered Art Therapy combined with the C. Roger's Person-Centered Psychotherapy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sociability of the children, who took part in Cooperative Behavior Encouragement Psychotherapy Program based on the Creative Person-Centered Art Therap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statistics. Second, for the Person-Centered Art Psychotherapy, it was shown that structured Cooperative Behavior Encouragement Program had influenced the sociability improvement of ADHD(tendency) children group by improving their wholehearted and cooperative behavior.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만성조현병환자의 자기표현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집단 무용/동작 심리치료가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탄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