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하천 모니터링을 위한 자동유량계측기술 개발 및 적용성 검토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utomatic Discharges Measurement Technology for Small Stream Monitor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95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하천은 상류에 위치해 하류에 위치한 국가 및 지방하천의 홍수피해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 소하천 유역 내에서도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적절한 예방ㆍ대응 대책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하천은 미계측 유역으로 남아 있어 적절한 대책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불어 국내 소하천은 22,800여개로 지자체 소하천 담당 공무원의 수에 비해 그 수가 너무 많아 홍수 시 수리량 자료를 계측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소하천 계측이 가능한 CCTV 기반의 자동유량계측기술을 개발한다. 개발된 기술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립재난연구원에서 시범운영중인 울주군에 위치한 중선필천에서 유량을 계측하고 그 결과를 도플러유속계를 이용하여 실측한 유량과 위어 유량을 함께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자동유량계측기술은 실측 유량을 잘 재현하는 것은 물론 계측시간이 짧아 소하천의 첨두유량을 측정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본 기술은 수면과 직접접촉하지 않고도 소하천의 표면영상만을 이용하여 유속을 계측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량을 계측함은 물론 하천흐름과 현장상황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어 소하천 홍수대응 지원도 가능한 지속가능한 계측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계측기술로 인해 소하천에서의 모니터링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수집된 수리량 자료는 홍수량산정을 위한 설계기준 개정이나 소하천의 재해저감을 위한 소하천 홍수 예ㆍ경보시스템 고도화 지원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소하천은 상류에 위치해 하류에 위치한 국가 및 지방하천의 홍수피해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 소하천 유역 내에서도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적절한 예방ㆍ대응 대책이 필요하다. 그...

      소하천은 상류에 위치해 하류에 위치한 국가 및 지방하천의 홍수피해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 소하천 유역 내에서도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적절한 예방ㆍ대응 대책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하천은 미계측 유역으로 남아 있어 적절한 대책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불어 국내 소하천은 22,800여개로 지자체 소하천 담당 공무원의 수에 비해 그 수가 너무 많아 홍수 시 수리량 자료를 계측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소하천 계측이 가능한 CCTV 기반의 자동유량계측기술을 개발한다. 개발된 기술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립재난연구원에서 시범운영중인 울주군에 위치한 중선필천에서 유량을 계측하고 그 결과를 도플러유속계를 이용하여 실측한 유량과 위어 유량을 함께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자동유량계측기술은 실측 유량을 잘 재현하는 것은 물론 계측시간이 짧아 소하천의 첨두유량을 측정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본 기술은 수면과 직접접촉하지 않고도 소하천의 표면영상만을 이용하여 유속을 계측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량을 계측함은 물론 하천흐름과 현장상황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어 소하천 홍수대응 지원도 가능한 지속가능한 계측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계측기술로 인해 소하천에서의 모니터링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수집된 수리량 자료는 홍수량산정을 위한 설계기준 개정이나 소하천의 재해저감을 위한 소하천 홍수 예ㆍ경보시스템 고도화 지원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mall streams have flood effects on both national and local streams located further downstream. Moreover, damages are increasing in these basins, making the development of adaptive prevention and response measures an urgent necessity. However, the challenge is that small streams remain non-measuring sites. Furthermore, there are about 22,800 small streams, which are too many for the local governments to measure during the flood season. Thus, in this study, a CCTV-based automatic discharge measurement technology was developed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in monitoring, and minimize the labor required. To evaluate the new technology, discharges were measured in Jungsunfil-chun of Ulju-gun, which is a test bed opera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and compared with the Aquatic Doppler Velocimetry (ADV) based discharges and the weir discharges. The results show that measurements using the new technology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ADV based discharges. Furthermore, the new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pture peak flood discharges with short measurement times. Moreover, it is a sustainable measurement method to support flood control by verification of stream flow and situational influences, and provides stable measurements by using a non-contact measurement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new technology may be used to increase the number of monitoring sites, and the hydraulic data sets collected from various small stream test beds can be used to enhance the design code for estimating flood discharges and the small stream flood warning system to reduce damage in small streams.
      번역하기

      Small streams have flood effects on both national and local streams located further downstream. Moreover, damages are increasing in these basins, making the development of adaptive prevention and response measures an urgent necessity. However, the cha...

      Small streams have flood effects on both national and local streams located further downstream. Moreover, damages are increasing in these basins, making the development of adaptive prevention and response measures an urgent necessity. However, the challenge is that small streams remain non-measuring sites. Furthermore, there are about 22,800 small streams, which are too many for the local governments to measure during the flood season. Thus, in this study, a CCTV-based automatic discharge measurement technology was developed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in monitoring, and minimize the labor required. To evaluate the new technology, discharges were measured in Jungsunfil-chun of Ulju-gun, which is a test bed opera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and compared with the Aquatic Doppler Velocimetry (ADV) based discharges and the weir discharges. The results show that measurements using the new technology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ADV based discharges. Furthermore, the new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pture peak flood discharges with short measurement times. Moreover, it is a sustainable measurement method to support flood control by verification of stream flow and situational influences, and provides stable measurements by using a non-contact measurement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new technology may be used to increase the number of monitoring sites, and the hydraulic data sets collected from various small stream test beds can be used to enhance the design code for estimating flood discharges and the small stream flood warning system to reduce damage in small stre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자동유량계측기술 및 실험수로 계측결과 비교
      • 3. 시범소하천 계측결과 비교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자동유량계측기술 및 실험수로 계측결과 비교
      • 3. 시범소하천 계측결과 비교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권규, "흔들리는 영상 분석을 위한 표면 영상 유속계 알고리듬" 한국수자원학회 41 (41): 855-862, 2008

      2 김영성,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이용한 하천유량측정의 적용범위 확장을 위한 고성능 범용 전자파표면유속계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8 (48): 613-623, 2015

      3 김서준, "상관영역 크기 변화에 따른 영상유속계의 오차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6 (46): 821-831, 2013

      4 김서준, "고정식 표면영상유속계(FSIV)를 이용한 실시간 하천 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44 (44): 377-388, 2011

      5 Hrachowitz, M., "What can flux tracking teach us about water age distribution patterns and their temporal dynamics?" 17 : 533-564, 2013

      6 Yang, D., "Variability and extreme of Mackenzie River daily discharge during 1973-2011" 380-381 : 159-168, 2015

      7 de Lima, J. L. M. P., "Using a thermal tracer to estimate overland and rill flow velocities" 39 (39): 1293-1300, 2014

      8 Leibundgut, C., "Tracers in hydrology" Wiley-Blackwell 2009

      9 Gunawan, B., "The application of LS-PIV to a small irregular river for inbank and overbank flows" 24 : 1-12, 2012

      10 Kim, Y., "Stream discharge using mobile large-scale particle image velocimetry: A proof of concept" 44 (44): W090502-, 2008

      1 류권규, "흔들리는 영상 분석을 위한 표면 영상 유속계 알고리듬" 한국수자원학회 41 (41): 855-862, 2008

      2 김영성,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이용한 하천유량측정의 적용범위 확장을 위한 고성능 범용 전자파표면유속계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8 (48): 613-623, 2015

      3 김서준, "상관영역 크기 변화에 따른 영상유속계의 오차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46 (46): 821-831, 2013

      4 김서준, "고정식 표면영상유속계(FSIV)를 이용한 실시간 하천 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44 (44): 377-388, 2011

      5 Hrachowitz, M., "What can flux tracking teach us about water age distribution patterns and their temporal dynamics?" 17 : 533-564, 2013

      6 Yang, D., "Variability and extreme of Mackenzie River daily discharge during 1973-2011" 380-381 : 159-168, 2015

      7 de Lima, J. L. M. P., "Using a thermal tracer to estimate overland and rill flow velocities" 39 (39): 1293-1300, 2014

      8 Leibundgut, C., "Tracers in hydrology" Wiley-Blackwell 2009

      9 Gunawan, B., "The application of LS-PIV to a small irregular river for inbank and overbank flows" 24 : 1-12, 2012

      10 Kim, Y., "Stream discharge using mobile large-scale particle image velocimetry: A proof of concept" 44 (44): W090502-, 2008

      11 Hauet, A., "Sensitivity study of large-scale particle image velocimetry measurement of river discharge using numerical simulation" 349 (349): 178-190, 2008

      12 Creutin, J. D., "River gauging using PIV techniques: A proof of concept experiment on the Iowa River" 277 (277): 182-194, 2003

      13 Tarpanelli, A., "River discharge estimation by using altimetry data and simplified flood routing modeling" 5 (5): 4145-4162, 2013

      14 Raffel, M., "Particle image velocimetry: A practical guide" Springer 2007

      15 Tauro, F., "Orienting the camera and firing lasers to enhance large scale particle image velocimetry for streamflow monitoring" 50 (50): 7470-7483, 2014

      16 Yorke, T. H., "Measuring river velocity and discharge with acoustic Doppler profilers" 13 (13): 191-195, 2002

      17 Fulton, J., "Measuring real-time streamflow using emerging technologies: Radar, hydroacoustics, and the probability concept" 357 (357): 1-10, 2008

      18 Tsubaki, R., "Measurement of the flood discharge of a small-sized river using an existing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5 (5): 313-321, 2011

      19 Muste, M., "Large-scale particle image velocimetry for measurements in riverine environments" 44 (44): W00D19-, 2008

      20 Fujita, I., "Large-scale particle image velocimetry for flow analysis in hydraulic engineering applications" 36 (36): 397-414, 1998

      21 김영근, "LSPIV를 이용한 표면유속 측정기법의 검증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37 (37): 155-161, 2004

      22 Choi, D. Y., "LSPIV technique for measurements of surface velocity of debris flow in a experimental flume" 864-867, 2010

      23 Kreibich, H., "Is flow velocity a significant parameter in flood damage modelling?" 9 : 1679-1692, 2009

      24 McMillan, H., "Impacts of uncertain river flow data on rainfall-runoff model calibration and discharge predictions" 24 (24): 1270-1284, 2010

      25 Grimaldi, S., "Flow time estimation with spatially variable hillslope velocity in ungauged basins" 33 (33): 1216-1223, 2010

      26 Bradley, A. A., "Flow measurement in streams using video imagery" 38 (38): 2002

      27 Zeng, J., "Flow and bathymetry in sharp open-channel bends: Experiments and predictions" 44 (44): W09401-, 2008

      28 Tazioli, A., "Experimental methods for river discharge measurements: Comparison among tracers and current meter" 56 (56): 1314-1324, 2011

      29 Buchanan, T. J., "Discharge measurements at gaging stations" U.S. Geol. Surv 65-, 1969

      30 Hauet, A., "Digital mapping of riverine waterway hydrodynamic and geomorphic features" 34 (34): 242-252, 2009

      31 Bechle,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utomated river-estuary discharge imaging system" 138 (138): 327-339, 2012

      32 Muste, M., "Considerations on direct stream flow measurements using video imagery: Outlook and research needs" 5 (5): 289-300, 2011

      33 Jodeau, M.,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LS-PIV technique for the monitoring of river surface velocities in high flow conditions" 19 (19): 117-127, 2008

      34 Alessandrini, V., "An operational approach to real-time dynamic measurement of discharge" 44 (44): 953-964, 2013

      35 Bechle, A. J., "An entropy-based surface velocity method for estuarine discharge measurement" 50 (50): 6106-6128, 2014

      36 Planchon, O., "An automated salt-tracing gauge for flow-velocity measurement" 30 (30): 833-844,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