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정은,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119-136, 2012
2 국토해양부,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 성분석 매뉴얼 보완" 1-20, 2013
3 국가 도시방재연구센터, "도시 기후변화 재 해취약성분석 매뉴얼(Ver.3.0)" 1-24, 2013
4 이상일, "기능지역 의 설정과‘공간단위 수정가능성의 문제 (MAUP)'" 7 (7): 757-783, 1999
5 김호용,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시설 입지 정확성 향상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146-156, 2010
6 김호용,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 교통량 예측의 정확성 향상"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138-147, 2010
7 김감영, "공간 상호작용 모델에 대한 공간단위 수정가능성 문제(MAUP)의 영향" 대한지리학회 46 (46): 197-211, 2011
8 Openshaw, S.,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Routledge & Kegan Paul 60-69, 1981
9 Busan Metropolitan City, "The Information Center of Renewal Projects"
10 조일환, "MAUP에서의 Spatial effects 연구 : Scale effects와 Zoning effects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10
1 강정은,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119-136, 2012
2 국토해양부,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 성분석 매뉴얼 보완" 1-20, 2013
3 국가 도시방재연구센터, "도시 기후변화 재 해취약성분석 매뉴얼(Ver.3.0)" 1-24, 2013
4 이상일, "기능지역 의 설정과‘공간단위 수정가능성의 문제 (MAUP)'" 7 (7): 757-783, 1999
5 김호용,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시설 입지 정확성 향상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146-156, 2010
6 김호용,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 교통량 예측의 정확성 향상"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138-147, 2010
7 김감영, "공간 상호작용 모델에 대한 공간단위 수정가능성 문제(MAUP)의 영향" 대한지리학회 46 (46): 197-211, 2011
8 Openshaw, S.,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Routledge & Kegan Paul 60-69, 1981
9 Busan Metropolitan City, "The Information Center of Renewal Projects"
10 조일환, "MAUP에서의 Spatial effects 연구 : Scale effects와 Zoning effects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10
11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12 IPCC(working group Ⅱ),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