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자의 경계 너머의 지대와 그 의미 (2) - ‘무주암주인(無主庵主人)’의 「문예한담(文藝閑談)」을 중심으로 = The Existence of the Area beyond the Name of the Author and Its Meaning (2) - Focusing on “Munye-handam”(「文藝閑談」) by “Mujuam-juin”(無主庵主人)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86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춘추』에 연재(1942.3-6)된 ‘무주암주인(無主庵主人)’의 「문예한담(文藝閑談)」을 분석한 것으로, 일제 말기에 익명으로 수행된 글쓰기의 동기와 의미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발단되었다.
      우선 「문예한담」의 구조와 내용을 살핀 결과, 그 글들이 톨스토이와 릴케, 가와카미 데츠타로(河上徹太郞) 등의 소설과 발언을 준거로 동시대의 조선과 일본의 소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한편, 소설이라는 양식에 대한 사유를 시, 평론과의 대비를 통해, 그리고 영화와 연극과의 연관을 통해 전개하면서 시대적 상황에 문학적으로 대응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은 기명도 익명도 아닌 그와 같은 글쓰기의 형식이 자유로운 비평적 논의를 펼치기 쉽지 않은 현실적 상황에서 대상에 대한 긍정과 부정 사이의 좁은 길을 탐사하여 비평적 관점의 고유한 깊이를 추구하는 한 가지 방식이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다.
      후반부에서는 ‘무주암주인’이라는 필명이 김남천의 것일 가능성을 「문예한담」과 김남천 문학 사이의 상호텍스트와 콘텍스트 두 차원의 연관성을 통해 탐색했다. 그 구체적인 정황과 근거를 제시하면서 그 익명적 주체의 정체에 접근을 시도하였고, 저자의 경계와 그를 둘러싼 문제들에 대해서도 논의하여 잠정적인 결론에 이르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춘추』에 연재(1942.3-6)된 ‘무주암주인(無主庵主人)’의 「문예한담(文藝閑談)」을 분석한 것으로, 일제 말기에 익명으로 수행된 글쓰기의 동기와 의미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발...

      이 논문은 『춘추』에 연재(1942.3-6)된 ‘무주암주인(無主庵主人)’의 「문예한담(文藝閑談)」을 분석한 것으로, 일제 말기에 익명으로 수행된 글쓰기의 동기와 의미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발단되었다.
      우선 「문예한담」의 구조와 내용을 살핀 결과, 그 글들이 톨스토이와 릴케, 가와카미 데츠타로(河上徹太郞) 등의 소설과 발언을 준거로 동시대의 조선과 일본의 소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한편, 소설이라는 양식에 대한 사유를 시, 평론과의 대비를 통해, 그리고 영화와 연극과의 연관을 통해 전개하면서 시대적 상황에 문학적으로 대응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은 기명도 익명도 아닌 그와 같은 글쓰기의 형식이 자유로운 비평적 논의를 펼치기 쉽지 않은 현실적 상황에서 대상에 대한 긍정과 부정 사이의 좁은 길을 탐사하여 비평적 관점의 고유한 깊이를 추구하는 한 가지 방식이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다.
      후반부에서는 ‘무주암주인’이라는 필명이 김남천의 것일 가능성을 「문예한담」과 김남천 문학 사이의 상호텍스트와 콘텍스트 두 차원의 연관성을 통해 탐색했다. 그 구체적인 정황과 근거를 제시하면서 그 익명적 주체의 정체에 접근을 시도하였고, 저자의 경계와 그를 둘러싼 문제들에 대해서도 논의하여 잠정적인 결론에 이르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천, "효석과 나" 1942

      2 무주암주인, "항변과 문학의 모랄 문예한담(2)" 1942

      3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3" 현암사 2004

      4 조남현, "한국문학잡지사상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5 "한국근대문학 해제집 III 문학잡지(1927-1943)"

      6 "편집후기"

      7 김남천, "주말여행" 1939

      8 이상경, "제국의 전쟁과 식민지의 전쟁문학-조선총독부의 기획 번역 히노 아시헤이(火野葦平)의 『보리와 병정(兵丁)』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58) : 115-156, 2019

      9 김남천, "작품의 제작과정 나의 창작노-트" 1939

      10 서영인, "일제 말기 생산소설 연구 ―강요된 국책과 생활현장의 리얼리티 ―" 한국비평문학회 (41) : 145-176, 2011

      1 김남천, "효석과 나" 1942

      2 무주암주인, "항변과 문학의 모랄 문예한담(2)" 1942

      3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3" 현암사 2004

      4 조남현, "한국문학잡지사상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5 "한국근대문학 해제집 III 문학잡지(1927-1943)"

      6 "편집후기"

      7 김남천, "주말여행" 1939

      8 이상경, "제국의 전쟁과 식민지의 전쟁문학-조선총독부의 기획 번역 히노 아시헤이(火野葦平)의 『보리와 병정(兵丁)』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58) : 115-156, 2019

      9 김남천, "작품의 제작과정 나의 창작노-트" 1939

      10 서영인, "일제 말기 생산소설 연구 ―강요된 국책과 생활현장의 리얼리티 ―" 한국비평문학회 (41) : 145-176, 2011

      11 김남천, "일신상(一身上) 진리와 모랄 ‘자기’의 성찰과 개념의 주체화"

      12 김남천, "이효석 저 『화분』의 ‘성(性)’ 모랄"

      13 김남천, "이리" 1939

      14 김남천, "이런 안해(혹은 이런 남편)" 1939

      15 김남천, "원뢰" 1946

      16 김남천, "요지경" 1938

      17 김남천, "오월" 1939

      18 김남천, "영화인에게 보내는 글" 1940

      19 김남천, "영화운동의 출발점 재음미"

      20 김남천, "영화예술학의 완성에 따라" 1939

      21 "신극은 어디로 갔나? 영화조선의 새출발"

      22 김남천, "속요"

      23 무주암주인, "소설과 시와 문예한담(3)" 1942

      24 무주암주인, "소설·영화·연극 문예한담(4)" 1942

      25 김남천, "소년행" 1937

      26 "삼일기념공연과 연극의 긴급문제"

      27 김남천, "사랑의 수족관"

      28 김남천, "바다로 간다"

      29 무주암주인, "문예한담(1)" 1942

      30 "매일신보"

      31 Rilke, Rainer Maria, "말테의 수기" 펭귄클래식 코리아 2010

      32 김남천, "등불" 1942

      33 김남천, "두 의사의 소설 아니린 과 의사 기온 독후감"

      34 김남천, "대하" 인문사 1939

      35 "단편집(상) 현대조선문학전집" 조선일보사 출판부 1938

      36 김남천, "녹성당" 1939

      37 Kagemoto Tsuyoshi, "김남천 소설에서의 전향 양상 연구 : 주체화 과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38 김남천, "구름이 말하기를" 1942

      39 崔載瑞, "私の頁" 1942

      40 "新聞と戦争" 朝日新聞出版 2008

      41 "‘연극보국주간’ 전단(전 6면)"

      42 김남천, "T일보사" 1939

      43 김태진, "<애련송> 영화평과 작품 가치를 검토하면서"

      44 장성규, "1940년대 전반기 한국어 소설 연구 -『춘추』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7) : 67-95,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88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