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탄소 나노튜브 나노다공성 시트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61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PEMFCs)에서 사용되는 Perfluorosulfonic Acid (PFSA) 계열 멤브레인은 전기화학적 성능과 수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Direct Spinning 방식...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PEMFCs)에서 사용되는 Perfluorosulfonic Acid (PFSA) 계열 멤브레인은 전기화학적 성능과 수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Direct Spinning 방식을 활용하여 제작된 Carbon Nanotube (CNT) 시트를 (두께: ~30 μm)로 합성했으며, 연료전지 내의 분리판과 Gas Diffusion Layer(GDL) 사이에 삽입했다. 이렇게 제작된 CNT 중간층 PEMFCs 의 전기화학 성능은 3가지 운전 조건에서 온도와 상대습도를 변화하여 수행 및 평가되었다. 분극곡선을 통한 성능은 운전온도 80°C 및 상대습도 100% 조건에서, 기존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대비 3.3% 상승한 574 mW/㎠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온도 상승과 상대습도 감소를 수반한 가혹한 운전 환경(120oC 및 상대습도 25%)에선 108.3% 향상된 276 mW/㎠을 보였다. 이것은 CNT 시트의 나노스케일 기공크기에 기인하는데, 반응물이 균질하게 분산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그러나 생성물이 액체로 완전히 가습된 80℃에선 물 관리에 제한이 발생했다. 반면, 가혹한 온도와 낮은 상대습도가 수반될 경우, 생성물은 대체로 기체상이다. 따라서 이런 물관리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워지므로, 더 큰 성능 향상이 얻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로 수행된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분석을 통해, CNT 시트의 옴저항이 기존 대비 크게 감소된 것을 확인했다. PEMFCs 에서 낮은 옴저항은 좋은 멤브레인 수화 상태를 의미한다. 게다가, CNT 시트의 전기적 물성은 기존 GDL 보다 우위에 있다. 따라서 CNT 중간층을 통해 향상된 멤브레인 수화 상태와 전기 전도도를 바탕으로 성능 향상이 달성되었음을 확인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