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중위 민주주의 함정: 정당 탈제도화와 초양극화의 정치적 귀결 = South Korea’s Middle-Quality Democracy Trap: The Consequences of Party Deinstitutionalization and Hyper-Polar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973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정당 정치의 탈제도화와 초양극화 현상이 상호작용하여 민주주의의 질을 저해하는 ‘중위 민주주의 함정’에 빠지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정당 제도화는 정당 조직, 지역 지부, 강령의 차별성, 의회 내 응집력, 유권자와의 연계 구조 등을 통해 분석되며, 한국은 지난 30년간 정당 지부와 의회 응집력의 약화를 중심으로 제도화가 후퇴하였다. 동시에, 정당 간 프로그램적 양극화는 심화되었지만 유권자의 이념 분포는 중도화되며 탈양극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정당 체계와 유권자 간의 탈동조화를 초래하며, 포퓰리즘과 반자유주의 성향의 확산도 제한되었다. 결과적으로 한국 정당 체계는 민주주의의 심화도, 후퇴도 유의미하게 실현하지 못하는 정치적 정체 상태에 놓여 있으며, 이는 정당의 제도화 쇠퇴와 초양극화가 상호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국 정당 정치의 탈제도화와 초양극화 현상이 상호작용하여 민주주의의 질을 저해하는 ‘중위 민주주의 함정’에 빠지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정당 제도화는 정당 조직, 지역 지...

      이 연구는 한국 정당 정치의 탈제도화와 초양극화 현상이 상호작용하여 민주주의의 질을 저해하는 ‘중위 민주주의 함정’에 빠지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정당 제도화는 정당 조직, 지역 지부, 강령의 차별성, 의회 내 응집력, 유권자와의 연계 구조 등을 통해 분석되며, 한국은 지난 30년간 정당 지부와 의회 응집력의 약화를 중심으로 제도화가 후퇴하였다. 동시에, 정당 간 프로그램적 양극화는 심화되었지만 유권자의 이념 분포는 중도화되며 탈양극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정당 체계와 유권자 간의 탈동조화를 초래하며, 포퓰리즘과 반자유주의 성향의 확산도 제한되었다. 결과적으로 한국 정당 체계는 민주주의의 심화도, 후퇴도 유의미하게 실현하지 못하는 정치적 정체 상태에 놓여 있으며, 이는 정당의 제도화 쇠퇴와 초양극화가 상호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outh Korea's party politics has fallen into a “middle-quality democracy trap,” shaped by the interaction of party deinstitutionalization and hyper-polarization. Party institutionalization—measured through party organization, local branches, programmatic differentiation, legislative cohesion, and voter linkage—has decline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particularly due to weakened local branches and decreasing legislative cohesion. At the same time, while programmatic polarization among parties has intensified, voter preferences have become increasingly centrist, resulting in a growing decoupling between the party system and the electorate. This misalignment has constrained the expansion of populism and illiberalism, leading to a political equilibrium in which neither democratic deepening nor democratic backsliding is realized. The study concludes that South Korea’s current democratic stagnation stems from the contradictory effects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hyper-polarization within its party system.
      번역하기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outh Korea's party politics has fallen into a “middle-quality democracy trap,” shaped by the interaction of party deinstitutionalization and hyper-polarization. Party institutionalization—measured through party orga...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outh Korea's party politics has fallen into a “middle-quality democracy trap,” shaped by the interaction of party deinstitutionalization and hyper-polarization. Party institutionalization—measured through party organization, local branches, programmatic differentiation, legislative cohesion, and voter linkage—has decline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particularly due to weakened local branches and decreasing legislative cohesion. At the same time, while programmatic polarization among parties has intensified, voter preferences have become increasingly centrist, resulting in a growing decoupling between the party system and the electorate. This misalignment has constrained the expansion of populism and illiberalism, leading to a political equilibrium in which neither democratic deepening nor democratic backsliding is realized. The study concludes that South Korea’s current democratic stagnation stems from the contradictory effects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hyper-polarization within its party syste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