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양교육에서 말하기 역량 향상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Curriculum Development to Improve Speaking Ability in Liberal Arts Education - A Case Study of Konkuk University Glocal Camp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04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 대학 교양교육과정에서 비중이 증대되고 있는 ‘말하기’ 관련 교과목의 개발 과정과 운영 사례를 통해 바람직한 말하기 교육의 방향에 대해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건국대...

      이 연구는 최근 대학 교양교육과정에서 비중이 증대되고 있는 ‘말하기’ 관련 교과목의 개발 과정과 운영 사례를 통해 바람직한 말하기 교육의 방향에 대해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에서 말하기 교과목으로 <발표와토론>을 개발 및 운영하게 된 배경과 그로 인해 나타나게 된 교과목 운영의 특징을 사례로 살펴보았다. 건국대 글로컬캠퍼스에서 <발표와토론> 교과목이 개설된 배경으로는 첫째, 최근 대학에서 ‘말하기’ 관련 교과목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기 시작한 점, 둘째, 핵심역량 교육이 강조되면서 말하기 능력이 중요한 역량진단 요소이자 의사소통능력의 핵심요소로 인정되기 시작한 점을 꼽을 수 있다. 기업이 인재선발을 위해 면접의 비중을 강화하고, 대학 교육의 초점이 지식 중심에서 역량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대학 교육에서 말하기의 중요성이 부각되게 되었다.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발표와토론> 교과목 개설의 계기는 K-CESA 핵심역량 진단 결과였다. 말하기 역량이 하위권으로 드러남에 따라 교육과정에서 시급하게 말하기 관련 교육의 강화가 필요했다. 그 결과로 말하기 교과목으로 <발표와토론>이 3학점 교양필수 교과목으로 개설되었다. 이러한 교과목 개설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발표와토론>은 이론(30%)보다는 실습(70%)의 비중을 가지도록 수업이 설계되었다. 실습은 개인발표, 토의, 토론을 균형 있게 연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will explore the direction of speaking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speaking-related courses, which are increasing in number in the current colleg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provide examples of the curriculum’s ...

      In this article, I will explore the direction of speaking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speaking-related courses, which are increasing in number in the current colleg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provide examples of the curriculum’s composition and operation. I will examine the backgrou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ation and Debate” course as a speaking subject at Konkuk University s Glocal Campus. The following issues existed as backgroun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resentation and Debate” course at our university. First, “speaking” as an academic subject gained in the importance at the university, and second, with the emphasis on core competency education, speaking skills started to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mpetency assessment factor and a key el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s companies strengthen the importance of interviews in talent selec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goes from knowledge to a competency focus, the importance of speaking in university education has become apparent. The K-CESA “core competency” diagnosis led to the launch of the “Presentation and Debate” course. Because the K-CESA core competency diagnosis revealed that students’ speaking skills were sub-level, it was necessary to strengthen speaking-related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s a result, the “Presentation and Debate” as a speaking subject was offered as a three-credit liberal arts compulsory course. To meet the purpose of the course’s establishment, the “Presentation and Debate” class was designed with a larger proportion of practice (70%) than theory (30%). Hands-on exercises in class provided a balanced practical program of personal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deba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말하기 교과목 개발 배경 3. 국내외 대학의 말하기 교과목 운영과 교과개발 4. 결론
      • 1. 서론 2. 말하기 교과목 개발 배경 3. 국내외 대학의 말하기 교과목 운영과 교과개발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근호,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교육부 2013

      2 박세환, "토론능력의 구성개념 및 척도의 타당성 연구대학생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147-193, 2002

      3 정기섭,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통한 대학생 취업능력 향상 방안" 15 (15): 109-140, 2008

      4 신희선, "지식정보화사회에서 리더십능력 개발을 위한 대학생 교양교육의 사례연구" 한국독서학회 (14) : 287-314, 2005

      5 박만엽, "서울 시립대학교 ‘발표와 토론’ 수업 운영에 대한 사례보고" 10-36, 2007

      6 이석재, "생애 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의사 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7 문금현, "대학에서의 화법 강의안" 2 : 53-78, 2000

      8 이상민,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스토리텔링 방법론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261-285, 2013

      9 진미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461-486, 2011

      10 손유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지원과 활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1 이근호,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교육부 2013

      2 박세환, "토론능력의 구성개념 및 척도의 타당성 연구대학생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147-193, 2002

      3 정기섭,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통한 대학생 취업능력 향상 방안" 15 (15): 109-140, 2008

      4 신희선, "지식정보화사회에서 리더십능력 개발을 위한 대학생 교양교육의 사례연구" 한국독서학회 (14) : 287-314, 2005

      5 박만엽, "서울 시립대학교 ‘발표와 토론’ 수업 운영에 대한 사례보고" 10-36, 2007

      6 이석재, "생애 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의사 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7 문금현, "대학에서의 화법 강의안" 2 : 53-78, 2000

      8 이상민,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스토리텔링 방법론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261-285, 2013

      9 진미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461-486, 2011

      10 손유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지원과 활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11 진미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 현황과 과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2

      12 전은진, "대학생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인문과학연구소 (32) : 167-191, 2012

      13 이연주, "대학 말하기 수업의 효과와 평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33-352, 2019

      14 전은주, "대학 교양 화법 교육의 발전 방안" 한국화법학회 (24) : 9-39, 2014

      15 김현정, "대학 ‘말하기’ 교과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597-625, 2013

      16 장소원, "국어 능력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2012

      17 C. K Prahalad,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6 (6): 79-91, 1990

      18 Cahn, D. D., "Managing conflict through communication" Pearson/Allyn and Bacon 2007

      19 조재윤,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토론의 성격 탐색" 한국화법학회 (18) : 161-188,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