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은 조선후기 변화하는 사상계를 대표하는 존재이다. 그는 유학자이지만 불교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풍부하였다. 따라서 비록 적은 분량이지만 고대불교사를 정리한 『大東禪敎考』...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76151
2011
Korean
정약용 ; 『대동선교고』 ; 『大東禪敎考』 ; 『대둔사지』 ; 『大芚寺志』 ; 고대불교사 ; 안문 ; Jung yak-yong ; 丁若鏞 ; DaeDongSunKyoGo ; 『大東禪敎考』 ; DaeDunSaJi ; 『大芚寺志』 ; Ancient Buddhist history ; Zen ; AnMoon ; 案文
151
KCI등재
학술저널
131-168(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약용은 조선후기 변화하는 사상계를 대표하는 존재이다. 그는 유학자이지만 불교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풍부하였다. 따라서 비록 적은 분량이지만 고대불교사를 정리한 『大東禪敎考』...
정약용은 조선후기 변화하는 사상계를 대표하는 존재이다. 그는 유학자이지만 불교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풍부하였다. 따라서 비록 적은 분량이지만 고대불교사를 정리한 『大東禪敎考』는 정약용의 역사인식과 불교에 대한 이해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라고 생각된다. 『대동선교고』는 『大芚寺志』 권4에 수록되어 있는데 내용을 중심으로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고구려, 백제, 신라 국가별로 불교사와 관련된 내용들을 시대 순으로 정리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신라 말 고려 초까지 활동했던 승려들을 참고문헌 별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즉 『대동선교고』는 정약용이 고대불교사 자료들을 수집, 검토하여 삼국에 불교가 수용된 이후부터 신라 말 고려 초까지의 불교사를 정리한 것이다. 정약용은 『대동선교고』를 통해 고대불교사를 복원하고 불교사의 체계를 수립하려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 중 가장 먼저 불교를 수용한 고구려를 중시하여 고구려를 중심으로 삼국 불교사를 서술하였다. 그리고 삼국시대 불교에서 통일신라 선종, 고려 초 법안종으로 연결되는 고대불교사 체계를 수립하였다. 『대동선교고』에 대한 검토를 통해 정약용의 고대불교사 인식과 불교에 대한 이해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대동선교고』의 案文을 통해서는 역사지리 고증을 중시했던 정약용의 서술태도와 역사인식을 다시 한 번 확인해볼 수 있다. 『대동선교고』는 조선후기 새로운 역사인식과 서술방법에 의하여 고대불교사 체계를 수립하고 실증적으로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또한 정약용의 고대사에 대한 관심과 역사연구대상이 불교사까지 확대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ung yak-yong(丁若鏞) was one of the leading scholars representing the changing thought in the late Joseon period. Though being a Confucian scholar, he rather had a good knowledge and interest in Buddhism than avoided it. The ancient Buddhist histo...
Jung yak-yong(丁若鏞) was one of the leading scholars representing the changing thought in the late Joseon period. Though being a Confucian scholar, he rather had a good knowledge and interest in Buddhism than avoided it. The ancient Buddhist history was roughly but systematically written on the DaeDongSunKyoGo(『大東禪敎考』) which could be a good reference proving Jung yak-yong(丁若鏞)`s understanding of ancient Buddhist history. DaeDongSunKyoGo is included in volume number 4 of DaeDunSaJi(『大芚寺志』) and consists of 2 parts. 1st part stated events in chronological order related to the Buddhist history of 3 kingdoms. 2nd part introduced monks from the end of the Silla Kingdom to the early period of the Goryeo(高麗). 2nd part, different from 1st part, was written in bibliographic order. The overall literary style of DaeDongSunKyoGo follows KangMokChe(綱目體). After correcting and arranging Buddhist historic data of 3 kingdoms, he did the historical research and criticized. He seemed to try to restore and to systemize Buddhist history through DaeDongSunKyoGo. Goguryeo(高句麗), the first kingdom accepting Buddhism among 3 kingdoms, played a leading part in developing Buddhist history. Then, Zen(禪宗) of the united Shilla and BeopAnJong(法眼宗) of Goryeo(高麗) seemed to be connected to the system of Buddhist history. In the mean time, DaeDongSunKyoGo shows us his new point of view on history of Zen(禪宗). AnMoon(案文) confirms his concern for historical geography. DaeDongSunKyoGo has great significance because it was written and investigated Buddhist history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with a new point of view appeared in the late Joseon period. It also helps us understand his overall historical standpoint because it shows his object and interest on ancient historical study was expanded to Buddhism.
일반논문 : 『진심직설(眞心直說)』의 판본 계통과 보조지눌(普照知訥) 찬술설의 출현 배경
일반논문 : 조선(朝鮮) 명종대(明宗代)의 국정운영관(國政運營觀)
일반논문 : 원주지역 전기의병의 학문적 배경과 참여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