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시간혼합의 디자인 특성 - 2000년∼2008년 여성 컬렉션을 중심으로 - =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Time Mixture in Modern Knit fashion - Focused on Woman Collection from 2000 to 2008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661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의 국제화 현상에 따른 혼합화에 따라 니트 패션에서도 시간을 교차하며 혼합되고 있는 추세이며, 니트웨어의 수요 증가에 따라 새로운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어 이에 따른 전략적인 방안들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2008년의 세계 4대 여성컬렉션의 횡편 니트 3∼8게이지의 자료를 선정,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시간의 혼합의 연도, 시즌별 출현빈도와 실루엣, 조직, 게이지와 색상의 시즌별 출현빈도 및 사례별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간 혼합은 2004년에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실루엣은 여성스러움이 강조되는 Hourglass 실루엣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은 기본조직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게이지는 로우게이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색상은 S/S는 YR, F/W는 Y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시간 혼합의 특성에서 과거의 혼합은 원시적인 단순한 실루엣이나 과감한 신체 노출, 레트로의 현대적 표현과 문양 및 디테일에서 원시적 그림, 프린트, 장식과 복고주의적 패턴의 현대적 혼합의 특성을 나타냈으며, 시간의 혼합에서 미래의 혼합은 기하학적 구성의 간결한 라인, 직선의 심플한 형태와 디지털시대의 차가운 기계적 이미지 및 기하학적인 문양 등의 디자인의 혼합요소로 특성을 나타냈다.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시간의 혼합은 과거, 현재, 미래의 혼합으로 원래 이미지를 모방하기보다는 절충적이고 조합적인 오늘날의 특성에 어울리게 현대적인 해석을 통해 표현되었으며, 타 영역의 혼합으로 상상력이 더해져 그 표현 가능성의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현대사회의 국제화 현상에 따른 혼합화에 따라 니트 패션에서도 시간을 교차하며 혼합되고 있는 추세이며, 니트웨어의 수요 증가에 따라 새로운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어 이에 따른 전략적...

      현대사회의 국제화 현상에 따른 혼합화에 따라 니트 패션에서도 시간을 교차하며 혼합되고 있는 추세이며, 니트웨어의 수요 증가에 따라 새로운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어 이에 따른 전략적인 방안들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2008년의 세계 4대 여성컬렉션의 횡편 니트 3∼8게이지의 자료를 선정,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시간의 혼합의 연도, 시즌별 출현빈도와 실루엣, 조직, 게이지와 색상의 시즌별 출현빈도 및 사례별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간 혼합은 2004년에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실루엣은 여성스러움이 강조되는 Hourglass 실루엣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은 기본조직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게이지는 로우게이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색상은 S/S는 YR, F/W는 Y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시간 혼합의 특성에서 과거의 혼합은 원시적인 단순한 실루엣이나 과감한 신체 노출, 레트로의 현대적 표현과 문양 및 디테일에서 원시적 그림, 프린트, 장식과 복고주의적 패턴의 현대적 혼합의 특성을 나타냈으며, 시간의 혼합에서 미래의 혼합은 기하학적 구성의 간결한 라인, 직선의 심플한 형태와 디지털시대의 차가운 기계적 이미지 및 기하학적인 문양 등의 디자인의 혼합요소로 특성을 나타냈다.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시간의 혼합은 과거, 현재, 미래의 혼합으로 원래 이미지를 모방하기보다는 절충적이고 조합적인 오늘날의 특성에 어울리게 현대적인 해석을 통해 표현되었으며, 타 영역의 혼합으로 상상력이 더해져 그 표현 가능성의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학미, "후기자본주의 사회의 패션에 나타난 혼성모방" 50 (50): 69-84, 2000

      2 김자민, "현대패션에 나타난 장르간 하이브리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3 최재란, "현대복식에 나타난 원시주의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1994

      4 유경연, "현대미술에서의 혼성모방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5 박문희, "현대니트패션에 나타난 혼합현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경인, "현대 헤어디자인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경희대학교 2008

      7 박수현,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 스타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8 최경희, "현대 니트의 표현 기법에 관한 연구" 4 (4): 2000

      9 이유미, "패션트랜드에 나타난 퓨전스타일에 대한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2001

      10 최수아, "패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1 김후란, "패션에 나타난 퓨전 이미지에 관한 연구 - Retro를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11 (11): 293-319, 2003

      12 김혜영, "패션디자인과 타 디자인 장르와의 크로스오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3 조규화, "세계프로모션산업의 발전전략" 1-5, 1999

      14 김소라, "서울컬렉션에 나타난 퓨전스타일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3

      15 김석근, "메리야스공학" 문운당 1995

      16 김경란, "다문화시대의 하이브리드 패션과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7 박종구, "다가올 융합기술 시대"

      18 조주연, "국내외 유아동복 브랜드 웹 사이트의 색채 특성과 배색 분석" 한국색채학회 20 (20): 45-56, 2006

      19 "http: // www. firstview. korea. kr"

      20 "http: // www. Muncell.com"

      21 Deborah Newton, "Designing Knit wear" Taunton Press 1992

      22 오승혜, "20세기 후반 복식디자인에 영향을 미친 Fusion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