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 예측모형 연구 = A Study of Predictive Model about Offender, Victim, and Bystander on Adolescents School Viol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10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about offender, victim, and bystander on school violence and to construct a discriminant prediction model that includes both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mong adolescents. RSES, STAI-K, CES-D, I...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about offender, victim, and bystander on school violence and to construct a discriminant prediction model that includes both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mong adolescents. RSES, STAI-K, CES-D, IRI, Self Control Scale, gender stereotypes scal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MAS, Peer Relationship Scale, School Bystander Scale. school grade, depressive tendency and self defense act on offender variable were administered to 21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High ego centered attitude and low bystander attitude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cases of victim adolescents. Middle school period and female were significant variables on bystander adolescents.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of developing tailored intervention for youth at risk. Therefore, in spite of these risk factors still exist, it may mean that empathy and perspective convert training can bumpers on risk behavior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 narrow focus on psychological variables. Therefore social and sub-cultur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사실에 주목하고,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의 가해와 피해 및 방관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을 확인하고, 그 변인들의 상호작용 모형을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사실에 주목하고,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의 가해와 피해 및 방관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을 확인하고, 그 변인들의 상호작용 모형을 구조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에 거주하는 남녀 중·고등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의 가해와 피해 및 방관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이 무엇인지를 예측해 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 정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학교급과 우울경향, 자기방어경향성이었다. 학교폭력 피해 정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분노조절, 자아존중감, 자기중심성, 사회적 성 고정관념 등의 요인이었고, 학교급과 성, 분노조절, 불안, 학교폭력 가해정도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방관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방관 정도는 중학생인 청소년 전기에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여학생에게서 더 두드러졌다. 본 연구의 성과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학교폭력 가해-피해-방관의 패턴을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모형화한 것으로서, 특히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해 요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숙, "휴대폰 과다사용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충동성"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전겸구, "한국판 STAXI 척도개발 : 분노와 혈압" 2 : 60-78, 1997

      3 한국교육개발원, "학생의 왕따(집단 따돌림 및 괴롭힘)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4 김이문, "학교폭력의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5 임영식,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5 (5): 1-26, 1998

      6 박다애,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7 金恩英, "학교폭력 피해학생들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 학교사회사업의 개입마련을 위하여"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8

      8 곽영길,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9 한국교육개발원,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10 박효정, "학교폭력 실태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06

      1 김정숙, "휴대폰 과다사용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충동성"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전겸구, "한국판 STAXI 척도개발 : 분노와 혈압" 2 : 60-78, 1997

      3 한국교육개발원, "학생의 왕따(집단 따돌림 및 괴롭힘)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4 김이문, "학교폭력의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5 임영식,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5 (5): 1-26, 1998

      6 박다애,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7 金恩英, "학교폭력 피해학생들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 학교사회사업의 개입마련을 위하여"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8

      8 곽영길,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9 한국교육개발원,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10 박효정, "학교폭력 실태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06

      11 문용린, "학교에서의 정서지능 개발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62 : 29-43, 2001

      12 李相均, "학교에서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13 김동일, "폭력노출 청소년의 발달적 적응을 위한 통합적 매개모형 : 폭력노출리질리언스와 환경적 보호요인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227-246, 2008

      14 김미숙,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 이용주, "청소년의 성격적 강점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16 김정주, "청소년의 성격적 강점과 학교생활 적응도 간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17 김정민, "청소년의 또래관계의 질과 학업성취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12 : 115-128, 2008

      18 홍기묵,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9 이미화,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20 김경록,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과 학교폭력과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5

      21 박현선, "청소년기 비행친구의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및 지도감독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399-427, 2008

      22 김현주, "집단 따돌림에서의 동조집단유형화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5 (5): 103-118, 2003

      23 윤상은,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에 대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4 최경호, "중학생의 성별,학년별 및 가정환경 변인별 학교폭력경향성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0

      25 서미경, "중학생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07

      26 전미라, "중학교 국어교과에 기초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 문학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27 김용래, "정의적 특성과 그 선행변인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9 : 106-113, 1993

      28 김청송, "정신건강론" 경기대원격교육원-도서출판:공동체 2012

      29 오은경,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6

      30 아영아, "부모위험요인이 학교폭력 가해행위에 이르는 발달경로"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9-52, 2007

      31 조유정, "부모로부터 학대받은 경험이 자기통제성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4

      32 이동재,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성정체감·성고정관념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3 김은아, "남녀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방어행동과 공감, 자기효능감, 학급규준에 대한 믿음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59-77, 2011

      34 최재빈, "고등학생의 우울성향과 학교적응력간의 관계" 20 (20): 1144-1151, 1999

      35 Berzin, S. C., "Vulnerability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 Defining risk based on youth profiles" 32 (32): 487-495, 2010

      36 Hojat, M., "The Jefferson Scale of Empathy :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data" 20 : 11-16, 2001

      37 전병재, "Self-esteem : A test if its measurability" 11 : 107-129, 1974

      38 Arnett, J., "Risk behavior and family role transitions during the twenties" 27 (27): 301-320, 1998

      39 Weinberger, D. A., "Repression and dissociation: implications for personality theory, psycho pathology, and health"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37-386, 1990

      40 Kulik, L., "Predicting gender role stereo types among adolecents in Israel : The impact of background variables, personality traits, and rental factors" 8 (8): 111-129, 2005

      41 Harel-Fisch, Y., "Negative school perceptions and involvement in school bullying : A universal relationship across 40 countries" 234 : 639-652, 2011

      42 Hojat, M., "Empathy in medical students as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clinical competence and gender" 36 : 1-6, 2002

      43 Vaillant, G. E., "Ego mechanism of defense: A guide for clinicians and researchers"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2

      44 Rigby, K., "Cooperativeness and bully/victim problems Among Australians school children" 137 : 357-368, 1997

      45 Olweus, D., "Bullying/victim problem in school : Facts and intervention" 4 (4): 495-511, 1997

      46 Salmivaliii, C., "Bullying in School" Cambridge Univ. Press 251-274, 2002

      47 Olweus, D.,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do" Brackwell Publishers 1993

      48 Pines, M., "Attachment theory and the psychoanalytic process" Whurr Publishers 234-245, 2003

      49 Borum. R., "Assessing violence risk among youth" 56 : 1263-1288, 2000

      50 Olweus, D., "Annotation;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35 : 1171-1190, 1994

      51 Brunwasser, S. M.,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Penn Resiliency Program's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77 (77): 1042-1054, 2009

      5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전국학교폭력 실태조사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