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유배인의 서간(書簡) 토론 : 다산 정약용과 손암 정약전의 교류를 중심으로 = A Discusion by Leter betwen Exiles in Lat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n Dasan Jeong Yak-yong and Son-am Jeong Yak-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2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800년 정조의 죽음으로 정약용과 정약전 형제 모두 유배에 처해졌다. 유배 중인 두 형제가 서로에게 보낸 서간은 일찍이 ≪유배지에서 온 편지≫로정리되어 세간에 잘 알려져 있다. 본고에...

      1800년 정조의 죽음으로 정약용과 정약전 형제 모두 유배에 처해졌다. 유배 중인 두 형제가 서로에게 보낸 서간은 일찍이 ≪유배지에서 온 편지≫로정리되어 세간에 잘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 필자는 다산 정약용 손암 정약전의 편지 글을 따라 두 형제의 유배 생활을 복원하고자 했다. 근래 정약전의시문집이 발견되었고 아울러 서간문 몇 편이 더 알려졌다. 또한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가 흑산도의 큰아버지를 찾아갔던 기록도 공개되었다. 이상의 새로운 자료들을 포함하여 필자가 발굴한 문헌들을 추가하여 정약용과 정약전의유배 생활과 학문적 교류의 내용을 재구성해 보았다. 이를 통해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두 형제의 대화 내용과 학문적 교류의 실상이 밝혀졌다. 가령 정약용이 강진으로의 이주 계획을 밝히자 정약전은 오행의 원리를 들어 이를 만류했으며, 두 형제 모두 유배지 주민이나 지방관을 위해 공문서를 대작(代作) 한 사실을 새롭게 밝혔다. 나아가 정약용이 형님 정약전의 행장을 작성하면서 고백한바 대로 유배 동안 다산의 저술 작업이 형님과의 토론 과정에서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 in 180, both Jeong brothers(Jeong Yak-yong and Jeong Yak-jeon) were exiled. Those leters they wrote to each other in exile period were put together in Leters in Exile and are widely known. This article aims to restore t...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 in 180, both Jeong brothers(Jeong Yak-yong and Jeong Yak-jeon) were exiled. Those leters they wrote to each other in exile period were put together in Leters in Exile and are widely known. This article aims to restore their life of exile by their leters. Recently, a garland writen by Jeong Yak-jeon is newly found, in adition to some more leters. Also a record was discovered that shows Jeong Hak-yu, who is Jeong Yak-yong’s son, visited his uncle Jeong Yak-jeon in Heuksan-do. Including new materials shown above and those literatures found by the writer, this article reconstructed the contents of Jeong brother s exile life and their academic exchanges. This reveals the conversations and academic exchanges betwen the two brothers, which had not ben known before. For example, when Jeong Yak-yong revealed his plan to move to Gangjin, his older brother Jeong Yak-jeon disuaded him, on the grounds of principles of the Five Elements(五行). Also, I newly revealed that both brothers had ghostwriten oficial documents for exiles or local government oficials. Furthermore, we can find out that Jeong Yak-yong’s academic maturity has depened thanks to the discusion with his brother, which Dasan himself defined in his brother’s record of conduct after his dea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2. 서간의 교류와 논쟁 3. 유배지의 삶과 형제애 4. 맺음말 참고문헌
      • 1. 머리말 2. 서간의 교류와 논쟁 3. 유배지의 삶과 형제애 4. 맺음말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헌규, "주자의 사서학과 다산 정약용의 비판" 파라북스 2020

      2 심재우, "정약용의 『흠흠신서』 편찬 과정에 대한 재검토" 한국사연구회 (186) : 363-394, 2019

      3 김호, "정약용, 조선의 정의를 말하다." 책문 2013

      4 박석무,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창비 2019

      5 윤석호, "유배기 정약용과 정약전의 왕복 편지" 11 : 2018

      6 김영원, "연세대본 『여유당집』에 대한 서지적 검토" 경남문화연구원 (36) : 281-302, 2012

      7 임형택, "실사구시의 한국학" 창비 2000

      8 전경목, "승총명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향촌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9 정약전, "손암 정약전 시문집" 민속원 2015

      10 정민, "새자료 정학유의 흑산도 기행문「부해기(浮海記)」와 기행시" 한국한문학회 (79) : 223-297, 2020

      1 엄헌규, "주자의 사서학과 다산 정약용의 비판" 파라북스 2020

      2 심재우, "정약용의 『흠흠신서』 편찬 과정에 대한 재검토" 한국사연구회 (186) : 363-394, 2019

      3 김호, "정약용, 조선의 정의를 말하다." 책문 2013

      4 박석무,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창비 2019

      5 윤석호, "유배기 정약용과 정약전의 왕복 편지" 11 : 2018

      6 김영원, "연세대본 『여유당집』에 대한 서지적 검토" 경남문화연구원 (36) : 281-302, 2012

      7 임형택, "실사구시의 한국학" 창비 2000

      8 전경목, "승총명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향촌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9 정약전, "손암 정약전 시문집" 민속원 2015

      10 정민, "새자료 정학유의 흑산도 기행문「부해기(浮海記)」와 기행시" 한국한문학회 (79) : 223-297, 2020

      11 정민, "다산의 재발견"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1

      12 이지형, "논어고금주1-5" 사암 2010

      13 김형섭, "나는 다산이오 : 유배 18년, 다산 정약용의 내면 일기" 산처럼 2019

      14 "與猶堂集"

      15 "明淸錄"

      16 "明淸錄"

      17 다산학술문화재단, "≪여유당전서≫ 미수록 다산간찰집" 사암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