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외상섬모체해리에서 시행한 부분 공막편을 이용한 경공막 섬모체유착술 1예 = Transscleral Cyclopexy Using Partial-Thickness Scleral Flap for Repairing Cyclodialysis Cleft: a Case Re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69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 cyclodialysis cleft that was successfully managed with gonioscopically guided transscleral cyclopexy using partial-thickness scleral flap. Case summary: A 44-year-old man complaining of blurred vision in the left eye af...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 cyclodialysis cleft that was successfully managed with gonioscopically guided transscleral cyclopexy using partial-thickness scleral flap.
      Case summary: A 44-year-old man complaining of blurred vision in the left eye after blunt trauma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was 4 mmHg and the visual acuity was counting finger. Gonioscopy examination revealed cyclodialysis cleft from 3 to 6 o’clock and fundus examination revealed macular folds. After the failure of conservative medical therapy and laser photocoagulation, gonioscopically guided transscleral cyclopexy using partial-thickness scleral flap was performed. Four months later, the IOP was 18 mmHg, the visual acuity was 0.8, and fundus examination showed the disappearance of the macular folds.
      Conclusions: Transscleral cyclopexy using partial-thickness scleral flap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to treat hypotony maculopathy due to cyclodialysis and to minimize pupil distor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보존적 약물 치료와 레이저광응고술에 반응하지 않았던 외상섬모체해리로 인하여 저안압 황반병증이 발생한 환자에서 부분 공막편을 이용하여 경공막섬모체유착술을 시행하여 성공...

      목적: 보존적 약물 치료와 레이저광응고술에 반응하지 않았던 외상섬모체해리로 인하여 저안압 황반병증이 발생한 환자에서 부분 공막편을 이용하여 경공막섬모체유착술을 시행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된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4세 남자가 좌안에 둔상을 입은 후 발생한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시력은 안전수지, 안압은 4 mmHg, 전방각경검사에서 3시에서 6시까지 이어지는 섬모체해리가 관찰되었고, 안저검사에서 맥락망막주름이 관찰되었다. 보존적 약물 치료와 레이저광응고술에 반응하지 않아 전방각경으로 확인하며 부분 공막편을 통한 경공막섬모체유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4개월 후 시력은 0.8, 안압은 18 mmHg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안저검사에서 맥락망막주름이 소실되고 동공의 모양은 잘 유지되었다.
      결론: 부분 공막편을 통해 시행한 경공막섬모체유착술은 섬모체해리로 인한 저안압 황반병증의 치료에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동공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견, "모양체해리의 임상양상 및 수술(직접 모양체유착술) 예후에 관련된 요인분석" 대한안과학회 44 (44): 19-2335, 2003

      2 Kim CS, "Treatment for persistent hypotony due to cyclodialysis" 39 : 1505-1515, 1998

      3 Kim KH, "Surgical repair of traumatic cyclodialysis with persistent hypotony" 38 : 1294-1299, 1997

      4 Ishida Y, "Pars plana vitrectomy for traumatic cyclodialysis with persistent hypotony" 18 : 952-954, 2004

      5 Kato T, "Management of traumatic cyclodialysis cleft associated with ocular hypotony" 30 : 469-472, 1999

      6 Ormerod LD, "Management of the hypotonous cyclodialysis cleft" 98 : 1384-1393, 1991

      7 Helbig H, "Management of hypotonous cyclodialysis with pars plana vitrectomy, gas tamponade, and cryotherapy" 27 : 188-191, 1996

      8 Chadha N, "Indirect cyclopexy for treatment of a chronic traumatic cyclodialysis cleft with hypotony" 8 : 591-594, 2014

      9 Feiler DL, "Indirect cyclopexy for repair of cyclodialysis clefts" 2018

      10 Rodrigues IA, "Gonioscopically guided nonpenetrating cyclodialysis cleft repair : a novel surgical technique" 11 : 31-34, 2017

      1 안견, "모양체해리의 임상양상 및 수술(직접 모양체유착술) 예후에 관련된 요인분석" 대한안과학회 44 (44): 19-2335, 2003

      2 Kim CS, "Treatment for persistent hypotony due to cyclodialysis" 39 : 1505-1515, 1998

      3 Kim KH, "Surgical repair of traumatic cyclodialysis with persistent hypotony" 38 : 1294-1299, 1997

      4 Ishida Y, "Pars plana vitrectomy for traumatic cyclodialysis with persistent hypotony" 18 : 952-954, 2004

      5 Kato T, "Management of traumatic cyclodialysis cleft associated with ocular hypotony" 30 : 469-472, 1999

      6 Ormerod LD, "Management of the hypotonous cyclodialysis cleft" 98 : 1384-1393, 1991

      7 Helbig H, "Management of hypotonous cyclodialysis with pars plana vitrectomy, gas tamponade, and cryotherapy" 27 : 188-191, 1996

      8 Chadha N, "Indirect cyclopexy for treatment of a chronic traumatic cyclodialysis cleft with hypotony" 8 : 591-594, 2014

      9 Feiler DL, "Indirect cyclopexy for repair of cyclodialysis clefts" 2018

      10 Rodrigues IA, "Gonioscopically guided nonpenetrating cyclodialysis cleft repair : a novel surgical technique" 11 : 31-34, 2017

      11 Küchle M, "Direct cyclopexy for traumatic cyclodialysis with persisting hypotony. Report in 29 consecutive patients" 102 : 322-333, 1995

      12 Ioannidis AS, "Cyclodialysis cleft : causes and repair" 21 : 150-154, 2010

      13 González-Martín-Moro J, "Cyclodialysis : an update" 37 : 441-457, 2017

      14 McCannel MA, "A retrievable suture idea for anterior uveal problems" 7 : 98-103,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366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