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진주성전투에 있어서 경상우도관찰사 김성일의 역할 = The Role of Kim Seong-il as a Governor of Gyeongsang-u-do Province in Jinjuseong Batt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23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Kim Seong-il as a governor of Gyeongsang-u-do in the 1st Jinjuseong battle. As you know, the Jinjuseong battle is known as a great victory of war in which people like Jinju minister, Kim Si-min spread...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Kim Seong-il as a governor of Gyeongsang-u-do in the 1st Jinjuseong battle. As you know, the Jinjuseong battle is known as a great victory of war in which people like Jinju minister, Kim Si-min spread the bloody battle and kept the Jinjuseong. At that time, Kim Seong-il led the battle to victory by directing people like Kim si-min as a governor of Gyeongsang-u-do Province.
      Kim Seong-il, who was acting as Choyusa, was appointed to the governor of Gyeongsang Jwa-do and stepped down from the Choyusa's office and left for a while. Then, Kim Seong-il was appointed again as an governor of Gyeongsang-u-do. In the meantime, the forces stationed in Gaeryung and Sungju area threatened the Geochang area, and at the same time, Japanese invaders attacked the Jinju area from Busan and Changwon area.
      Kim Seong-il, who was appointed to the governor of Gyeongsang-u-do, played a major role in maintaining the Jinjuseong with excellent ability and tactical management as the best commander. Kim Seong-il established the defense tactic system of castle centered on the government forces with Jinju minister, Kim si-min as the main axis and he deployed government forces and righteous armies on the outskirts of Jinjuseong to make them rescue, and strengthened the Jinjuseong defense by operating a strategy that allowed them to attack the Jinjuseong. In addition, Kim Seong-il induced the best battle and weakened the power of attack of Japanese invaders about Jinjuseong, and relieved the burden of soldiers guarding the Jinjuseong. In addition, he provided supplies of arrows and other materials to the surrounded Jinjuseong, thereby maintained the combat power and enhanced the morale of the military.
      Immediately after the Jinjuseong battle, he ran to Samga to cope with the Japanese invaders coming from the direction of Geochang and he blocked the Japanese invaders along with the patriotic army leader Kim Myeon and Jeong In-hong with leading the government forces in the surrounding area. Since then, the patriotic army leader Kim Myeon and Jeong In-hong and others have continuously attacked the Japanese invaders of Sungju and Gaeryung area together with Choi Gyong-hoi and Im Gye-yeong, and finally restored Sungju and Gaeryung areas in February of the following year. In this case, Kim Seong-il's role as governor seems to have played a major role.
      In conclusion, the victory of the Jinjuseong battle was the result of Kim Seong-il's strategy, which was the supreme commander of Gyeongsang-u-do, and the exquisite tactical operation of Kim Si-min, who was the general guarding the Jinjuseong, and the best battle of the various generals and soldiers who took part in the battle in every battle. The victory in the Jinjuseong battle saved the lives of tens of thousands of people in the Jinjuseong by keeping Jinjuseong, prevented Gyeongsang-u-do into the hands of Japanese invaders, and furthermore, it was able to block the way in which the Japanese invaders could advance into Hon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제1차 진주성전투에 있어서 경상우도관찰사 김성일의 역할을 구명하기 위한 논고이다. 주지하다시피, 진주성전투는 진주목사 김시민 등이 혈투를 전개하여 진주성을 지켰던 승첩으...

      이글은 제1차 진주성전투에 있어서 경상우도관찰사 김성일의 역할을 구명하기 위한 논고이다. 주지하다시피, 진주성전투는 진주목사 김시민 등이 혈투를 전개하여 진주성을 지켰던 승첩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때 김성일은 경상우도관찰사로사 김시민 등을 지휘하여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초유사로 활동하던 김성일은 경상좌도 관찰사에 임명되어 초유사직에 물러나 잠시 경상우도를 떠났다가 다시 경상우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그 사이에 개령, 성주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군이 거창 방면을 위협하고 있는 가운데, 부산 창원 방면으로부터 일본군이 진주성을 공격해 왔다.
      경상우도 관찰사로 부임한 김성일은 최고의 지휘관으로서 탁월한 역량과 전술운용으로 진주성을 지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김성일은 진주목사 김시민 등을 주축으로 관군 중심의 수성체계를 구축하고, 진주성 외곽에 관군과 의병을 배치하여 구원하게 함으로써 진주성을 공격하도록하는 전략을 운영하여 진주성 방어력을 강화함은 물론, 분산전을 유도하여 일본군의 진주성 공격의 전력을 약화시켜 진주 수성군의 부담을 덜어 주었다. 아울러 포위된 진주성에 화살 등의 물자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전투력을 유지하고 군사의 사기를 높여주었다.
      진주성 전투 직후 그는 거창 방면으로 쳐들어 오는 일본군에 대응하기 위하여 삼가로 달려가, 주변 지역의 관군을 거느리고 의병장 김면, 정인홍 등을 도와 이를 막아내었다. 이후 의병장 김면, 정인홍 등은 전라도 의병장인 최경회 임계영 등이 성주, 개령 지역의 일본군을 지속적으로 공격하여, 마침내대 다음해 2월 성주, 개령지역을 수복하였는데, 여기에도 관찰사로서 김성일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진주성전투의 승리는 경상우도의 최고 지휘관이었던 김성일의 전략과 진주성의 수성장이었던 김시민의 절묘한 전술운용, 그리고 각 전투에서 죽음을 무릅쓰고 전투를 수행했던 제장과 사졸의 분전이 어우러진 값진 결과였다. 진주성 전투에서의 승리는 진주성을 지킴으로써 수만의 성내 관민의 목숨을 구한 것은 물론이고, 경상우도가 일본군의 수중에 들어가지 않게 하였으며, 나아가 일본군이 호남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길목을 차단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영, "학봉 김성일, 충군애민의 삶을 살다" 예문서원 2016

      2 지승종, "진주성전투" 문화고을 2011

      3 박성식, "진주성 전투"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14 : 1992

      4 강성문, "진주대첩에서의 김시민의 전략과 전술"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51) : 185-217, 2004

      5 김준형, "진주 주변에서의 왜적방어와 의병활동 : 제1차 진주성 전투 이전"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17 : 1995

      6 이희권, "전라감영연구" 전주역사박물관 2008

      7 이형석, "임진전란사" 임진전란사간행위원회 1976

      8 박용국, "임진왜란기(壬⾠倭亂期) 진주지역(晉州地域) 남명학파(南冥學派)의 의병활동(義兵活動)" 남명학연구원 16 : 2011

      9 신윤호, "임진왜란기 성주전투와 일본군의 동향" 호남사학회 (53) : 77-103, 2014

      10 김명준, "임진왜란과 김성일" 백산서당 2005

      1 김미영, "학봉 김성일, 충군애민의 삶을 살다" 예문서원 2016

      2 지승종, "진주성전투" 문화고을 2011

      3 박성식, "진주성 전투"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14 : 1992

      4 강성문, "진주대첩에서의 김시민의 전략과 전술"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51) : 185-217, 2004

      5 김준형, "진주 주변에서의 왜적방어와 의병활동 : 제1차 진주성 전투 이전"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17 : 1995

      6 이희권, "전라감영연구" 전주역사박물관 2008

      7 이형석, "임진전란사" 임진전란사간행위원회 1976

      8 박용국, "임진왜란기(壬⾠倭亂期) 진주지역(晉州地域) 남명학파(南冥學派)의 의병활동(義兵活動)" 남명학연구원 16 : 2011

      9 신윤호, "임진왜란기 성주전투와 일본군의 동향" 호남사학회 (53) : 77-103, 2014

      10 김명준, "임진왜란과 김성일" 백산서당 2005

      11 ⾦康植, "임진왜란과 경상우도의 의병운동" 혜안 2003

      12 하태규, "임진왜란 초기 전라도 관군의 동향과 호남방어" 한일관계사학회 (26) : 147-180, 2007

      13 하태규, "임진왜란 초 호남지방의 실정과 관군의 동원실태" 역사문화학회 16 (16): 37-72, 2013

      14 이상훈, "임진왜란 연구에서 간찰의 활용 - 최경회 간찰을 통한 의병 연구의 보완과 사실 접근 -" 한국고문서학회 33 : 51-68, 2008

      15 김강식, "임진왜란 시기 來庵 鄭仁弘의 의병운동" 부산경남사학회 (81) : 223-258, 2011

      16 김명준, "임진년 진주대첩과 학봉 김성일"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30 : 2009

      17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임란의병과 진주대첩 : 학봉 김성일의 활동을 중심으로" 2013

      18 하태규, "임란기 호남지역 의병운동의 추이" 전북사학회 (32) : 29-63, 2008

      19 최효식, "임란기 학봉 김성일의 구국활동" 신라문화연구소 (23) : 273-288, 2004

      20 하태규, "임란 호남의병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호남사학회 (59) : 65-103, 2015

      21 조원래, "임란 초기 전라좌의병과 임계영의 의병활동 - 전라도 근왕의병의 활동 사례 -" 조선시대사학회 (57) : 73-112, 2011

      22 고석규, "내암 정인홍의 의병활동" 남명학연구원 2 : 1992

      23 김학수, "김성일(金誠一)의 임란 중 활동과 인적 네트워크" 경남문화연구원 (41) : 61-98, 2014

      24 정현재, "경상우도(慶尙右道) 임진의병의 전적 검토 : 김면(⾦沔) , 정인홍(鄭仁弘) 의병군단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17 : 1995

      25 정진영, "경상도 임란의병의 활동 배경과 의의" 부경역사연구소 (18) : 233-264, 2006

      26 許善道, "鶴峯의 學問과 救國活動" 학봉김성일선생 기념사업회 1993

      27 학봉김성일선생 기념사업회, "鶴峯의 學問과 救國活動" 1993

      28 李載浩, "鶴峯의 學問과 救國活動" 학봉김성일선생기념사업회 1993

      29 ⺠族文化推進會, "鶴峯 ⾦誠一의 學問과 救國活動" 2002

      30 허태구, "金誠一 招諭 활동의 배경과 경상우도 義兵 봉기의 함의" 경남문화연구원 (41) : 27-60, 2014

      31 정진영, "松菴 金沔의 의병활동과 관련 자료의 검토" 대구사학회 1 (1): 109-148, 2005

      32 김영나, "松菴 金沔과 고령 지역의 의병활동" 한국사상문화학회 (64) : 235-274, 2012

      33 ⾦康植, "松庵 ⾦沔의 義兵活動과 役割"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2 : 1992

      34 李魯, "松巖集" 한국고전번역원 1990

      35 김봉렬, "忠武公(충무공) ⾦時敏(김시민)의 생애와 정신"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20 : 2006

      36 李擢英, "征蠻錄" 의성군 2002

      37 吳希文, "尾錄" 海州吳⽒楸灘公派宗中 1990

      38 "宣祖實錄"

      39 "宣祖修正實錄"

      40 鄭慶雲, "孤臺日錄" 남명학연구원 2009

      41 朴翼煥, "壬亂時 一次晋州城大捷에서의 鶴峰과 ⾦時敏의 功業" 동국사학회 30 : 1996

      42 최효식, "壬亂 의병 都大將 ⾦沔 연구" 이화사학연구소 30 : 2003

      43 北島万次, "壬⾠倭亂과 晋州城 戰鬪"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7 : 1997

      44 ⾦誠一, "國譯 鶴峯全集" 한국고전번역원 2007

      45 趙湲來, "全羅左右義兵」과 義兵運動의 性格 : (-壬⾠年 嶺南赴援活動을 中心으로-)" 順天大學校 3 : 1984

      46 趙慶男, "亂中雜錄" 한국고전번역원 1977

      47 李魯, "⿓蛇日記" 을유문화사 1974

      48 지승종, "16 세기말 진주성전투의 배경과 전투상황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17 : 1995

      49 한일관계사학회, "1590년 통신사행과 귀국보고 재조명" 景仁文化社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9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