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이 애도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반려동물을 상실한 지 1년 9개월 된 30대 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16274
경산 :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미술치료학과 , 2021. 8
2021
한국어
050 판사항(6)
경상북도
A Narrative Inquiry of the Mourning Art Therapy Experience of a Woman Grieving the Loss of her Companion Animal
91p. ; 26 cm
영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갑숙
I804:47017-20000050354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이 애도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반려동물을 상실한 지 1년 9개월 된 30대 미...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이 애도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반려동물을 상실한 지 1년 9개월 된 30대 미혼여성이다. 탐구자료는 사전 면담, 10회기의 미술치료와 사후면담을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작품, 면담내용을 전사한 축어록, 현장 관찰노트 등이 자료로 활용되었다. 미술치료는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10회기의 미술치료를 주 1~2회, 회기 당 60분씩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연구참여자의 면담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어나가며 시간성, 사회성, 장소를 의미하는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을 염두에 두고 작성하였다.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이야기는 ‘또 하나의 가족’, ‘감정의 소용돌이’, ‘애도를 통한 위로’, ‘상실과 함께 살아가고 기억하기’ 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참여자의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은 슬픔과 고통을 환기하는 통로가 되다. 둘째, 나를 개방하고 변화를 경험하다. 셋째, 나는 너의, 너는 나의 반려 이다. 넷째, 애도의 끝에서 나를 발견하다 는 본 연구가 연구자의 삶에 주는 의미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의 맥락에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러티브 탐구 안에서 애도는 나에게 이르는 길이 되었다. 둘째, 반려동물 상실과 애도에 대한 공감과 이해가 중요하다. 셋째, 생명공동체로 인간과 동물이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 이다.
이상 본 연구에서는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이 애도과정으로써의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마주하고 수용하며 변화된 삶을 받아들이고 앞으로의 삶의 의미를 재정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반려동물을 상실한 사람들에 대한 경험의 이해에 도움이 되고, 애도 미술치료 개입에 대한 경험적 정보를 제공하여 이들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