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순수이성비판>에서 지적 직관의 적극적 의미 = A Positive Meaning of Intellectual Intu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83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적 직관은 칸트(Kant)가 창조한 개념인 동시에 칸트가 버린 개념이다. 지적 직관의 권능 상실 선포야말로 선험철학의 전모를 함축하고 있는 핵심 사상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비판철학의 열기가 식고 화점이 분산되기 시작할 무렵부터 이 개념은 곧장 복권한다. 복권의 주체는 피히테를 위시한 비판철학의 후예들이기도 하지만, 실상 칸트 자신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이 궁극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바다. 그리고 그 전제는 지적 직관에 대한 적극적 의미는 그의 철학에 상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이러한 배경에서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가 지적 직관을 명시적으로 거부한 구절들을 비교, 분석하면서 그것의 적극적 의미의 발굴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다시 이 구절들에 재투영하여 이를 달리 읽고 적극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순수이성비판> 발간 직전과 이후의 칸트의 언급들을 살펴서 이러한 해석 수행의 지지대로 삼을 것이다. 이를 통해 칸트가 지적 직관의 가능성을 거부하였다고 알려진 그 지점, 즉 <순수이성비판>에서도 역설적으로 그것의 적극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직접적인 목표이다.
      번역하기

      지적 직관은 칸트(Kant)가 창조한 개념인 동시에 칸트가 버린 개념이다. 지적 직관의 권능 상실 선포야말로 선험철학의 전모를 함축하고 있는 핵심 사상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

      지적 직관은 칸트(Kant)가 창조한 개념인 동시에 칸트가 버린 개념이다. 지적 직관의 권능 상실 선포야말로 선험철학의 전모를 함축하고 있는 핵심 사상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비판철학의 열기가 식고 화점이 분산되기 시작할 무렵부터 이 개념은 곧장 복권한다. 복권의 주체는 피히테를 위시한 비판철학의 후예들이기도 하지만, 실상 칸트 자신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이 궁극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바다. 그리고 그 전제는 지적 직관에 대한 적극적 의미는 그의 철학에 상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이러한 배경에서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가 지적 직관을 명시적으로 거부한 구절들을 비교, 분석하면서 그것의 적극적 의미의 발굴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다시 이 구절들에 재투영하여 이를 달리 읽고 적극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순수이성비판> 발간 직전과 이후의 칸트의 언급들을 살펴서 이러한 해석 수행의 지지대로 삼을 것이다. 이를 통해 칸트가 지적 직관의 가능성을 거부하였다고 알려진 그 지점, 즉 <순수이성비판>에서도 역설적으로 그것의 적극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직접적인 목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llectual intuition is both a concept created by Kant and one that he in appearance abandoned. It is a well-known that the proclamation of the deprivation of its authority is a central idea encapsulating the entirety of his transcendental philosophy. However, as the fervent discusses of critical philosophy waned and its focal points spread out, this concept was soon reinstated. The ultimat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while the heirs of critical philosophy, represented by Fichte and particularly the German idealists, are the subjects of this reinstatement, and in fact, Kant himself can also be considered a subject of that. The underlying idea of this argument is that the positive meaning of his concept of intellectual intuition remains truly inherent within his philosophy. Against this background, I will analyze the passage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where Kant explicitly rejects intellectual intuition, in order to reveal its positive meaning. will then reproject this meaning onto those very passages, offering an alternative reading art through which a more positive interpretation can be found. In this process, I will also examine Kant’s remarks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using them as a basis for this interpretative attempt. Through this approach, the study directly aims to reveal that even at the very point where Kant is known to have denied the possibility of intellectual intuition—namely,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itself—can be discovered paradoxically its positive meaning.
      번역하기

      Intellectual intuition is both a concept created by Kant and one that he in appearance abandoned. It is a well-known that the proclamation of the deprivation of its authority is a central idea encapsulating the entirety of his transcendental philosoph...

      Intellectual intuition is both a concept created by Kant and one that he in appearance abandoned. It is a well-known that the proclamation of the deprivation of its authority is a central idea encapsulating the entirety of his transcendental philosophy. However, as the fervent discusses of critical philosophy waned and its focal points spread out, this concept was soon reinstated. The ultimat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while the heirs of critical philosophy, represented by Fichte and particularly the German idealists, are the subjects of this reinstatement, and in fact, Kant himself can also be considered a subject of that. The underlying idea of this argument is that the positive meaning of his concept of intellectual intuition remains truly inherent within his philosophy. Against this background, I will analyze the passage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where Kant explicitly rejects intellectual intuition, in order to reveal its positive meaning. will then reproject this meaning onto those very passages, offering an alternative reading art through which a more positive interpretation can be found. In this process, I will also examine Kant’s remarks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using them as a basis for this interpretative attempt. Through this approach, the study directly aims to reveal that even at the very point where Kant is known to have denied the possibility of intellectual intuition—namely,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itself—can be discovered paradoxically its positive mean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