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D대학 교양 과목에서 수행한 자기표현적 글쓰기 결과물 110편을 대상으로 글쓰기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D대학 교양 과목에서 수행한 자기표현적 글쓰기 결과물 110편을 대상으로 글쓰기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좌...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D대학 교양 과목에서 수행한 자기표현적 글쓰기 결과물 110편을 대상으로 글쓰기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좌를 수강한 대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자기표현적 글쓰기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110편이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분석 대상은 유의어 결합, 불용어 제거 등 텍스트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핵심어를 추출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결 관계를 분석하였다.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생각’, ‘운동’, ‘친구’, ‘사람’, ‘인생’ 등이 강조되었고, 언어네트워크 분석 결과 ‘운동-헬스-축구-군대-태권도-자신감’, ‘그림-그리다-입시’, ‘친구들-친하다-덕분’, ‘음악-즐기다-노래-나누다’ 등이 주요 군집 단어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대학생 필자의 자기표현적 글쓰기는 개인의 내적 성찰과 자아정체성 형성, 자기 치유, 감정 표출과 자기 위로의방법으로 나타났다. 교양 과목에서 대학생의 자기표현적 글쓰기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환경적 변화가뚜렷한 대학생의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교양 교육에서 필요한 수업을 모색하고, 나아가 학생 개인의 삶을 탐구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riting aspects in 110 expressive writing results conducted in liberal arts at D University using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this end, 110 pieces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The anal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riting aspects in 110 expressive writing results conducted in liberal arts at D University using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this end, 110 pieces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The analysis target went through a text preprocessing process such as synonymy combination and elimination of non-terms, then extracted key words and analyze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through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eywords, 'thought', 'exercise', 'friend', 'people', and 'life' were emphasized,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anguage network, "Exercise-Health-Soccer-Military-Taekwondo-Confidence," "Picture-Draw-Admission," "Friends-Friendly -Thanks," and "Music-Enjoy-Singing-Sharing" were the main cluster wor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uthor's self-expressive writing as a university student appeared in ways of individual internal reflection, self-identity formation, self-healing,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consolation. Examining university students' expressive writing aspects in liberal art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an opportunit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clear environmental changes, seek classes necessary for future liberal arts education, and further explore their individual lives.
참고문헌 (Reference)
1 Elbow, P., "힘 있는 글쓰기" 토트 2014
2 나은미, "표현주의에 토대를 둔 대학 글쓰기 수업의 한 방안: <나를 위한 글쓰기> 강좌를 대상으로" 한국어학회 65 : 117-146, 2014
3 김나영 ; 홍미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교권 침해 관련 언론 기사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9 (59): 475-496, 2020
4 박치성 ; 정지원,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소 19 (19): 73-108, 2013
5 박영민, "치유적 글쓰기를 활용한 국어교육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53) : 37-55, 2015
6 김현정, "자아성찰에세이를 통해 살펴본 대학생의 글쓰기 인식과 글쓰기 교육의 시사점"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161-191, 2020
7 윤금준,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교육적 효과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132) : 249-289, 2022
8 이정찬,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의 비판적 검토- 수사(修辭)와 탐구 그리고 정체성 -" 한국작문학회 (33) : 65-94, 2017
9 최숙기, "자기 표현적 글쓰기(expressive writing)의 교육적 함의" 한국작문학회 (5) : 205-240, 2007
1 Elbow, P., "힘 있는 글쓰기" 토트 2014
2 나은미, "표현주의에 토대를 둔 대학 글쓰기 수업의 한 방안: <나를 위한 글쓰기> 강좌를 대상으로" 한국어학회 65 : 117-146, 2014
3 김나영 ; 홍미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교권 침해 관련 언론 기사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9 (59): 475-496, 2020
4 박치성 ; 정지원,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소 19 (19): 73-108, 2013
5 박영민, "치유적 글쓰기를 활용한 국어교육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53) : 37-55, 2015
6 김현정, "자아성찰에세이를 통해 살펴본 대학생의 글쓰기 인식과 글쓰기 교육의 시사점"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161-191, 2020
7 윤금준,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교육적 효과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132) : 249-289, 2022
8 이정찬,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의 비판적 검토- 수사(修辭)와 탐구 그리고 정체성 -" 한국작문학회 (33) : 65-94, 2017
9 최숙기, "자기 표현적 글쓰기(expressive writing)의 교육적 함의" 한국작문학회 (5) : 205-240, 2007
10 신선희, "자기 탐색을 위한 표현적 글쓰기 지도방법 연구" 한국교원대 2016
11 Elbow, P., "일상어 문식성: 글쓰기에 스며드는 말하기의 힘" 사회평론아카데미 2021
12 이화여자대학교 교양국어 편찬위원회, "우리말과글쓰기 : 인간과 통찰력" 이화출판 2016
13 박영기,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자기표현적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인 글쓰기반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8 (8): 339-372, 2015
14 채윤미 ; 길호현,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논증 텍스트에 나타난 핵심 어휘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78) : 173-200, 2020
15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49-68, 2014
16 전남대학교 기초교육원, "성찰과 소통을 위한 글쓰기"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17 김미란, "대학의 글쓰기 교육과 장르 선정의 문제 - 자기표현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9) : 69-94, 2009
18 이정옥, "대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작문학회 (1) : 165-192, 2005
19 심선옥, "대학 교양교육에서 자기표현 글쓰기의 위상과 교육방법 연구" 반교어문학회 (43) : 351-381, 2016
20 한양대학교 교양국어교육위원회, "글이 삶이다"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7
21 김윤경, "감각적 글쓰기를 활용한 자기표현 글쓰기 교과운영 사례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4) : 215-242, 2015
22 김영희, "‘자기 탐색’ 글쓰기의 효과와 의의 — 대학 신입생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1) : 45-109, 2010
23 Elbow, P., "Writing without Teachers" Oxford University Press 1973
24 Britton, James N.,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ies" Macmillan 11-18, 1975
25 Doerfel, M. L., "Semantic networks and competition:Election year winners and losers in U.S.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1960-2004" 60 (60): 700-712, 2009
26 Dole, Janice A., "Moving from the old to the new: Research on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 61 (61): 239-264, 1991
27 Britton, James N., "Language and Learning, Coral Gables" University of Miami Press 1970
28 Elbow, P., "A method for teaching writing"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30 (30): 1968
대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자기 치유와 자아실현 탐색 - K대학교 <대학글쓰기> 수강생들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