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들 모임 참여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단주자기효능감 및 분노와의 상관관계 연구 =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percieved by Alcoholics Anonymous Meeting Participants and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Ang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1867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38U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ⅳ, 82p. : 삽화, 도표 ; 26cm.

      • 일반주기명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percieved by Alcoholics Anonymous Meeting Participants and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Anger
        지도교수:이준영
        참고문헌 : 61-67p.

      • 소장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lcoholism refers to the condition which excessive habitual drinking caused by one losing self-control over the alcohol consumption. Alcoholic patients are not social misfits who intentionally cause problems. Alcoholism is neuropsychiatric disease which its symptoms are due to the damage in brain thus one’s character or will are irrelevant to this disease. Therefore alcoholic patient, his or her family and the society must recognize that the alcoholic addiction is the illness and instead of criticism show them understanding and support.
      The data for this research was collected for about three weeks period, from February 20th, 2015 to March 10th, 2015, by calling the alcoholic counseling center representatives throughout the country to explai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asking for cooperation. For the A.A. organizations that agreed to cooperate, the data from Jeju and Incheon regions were collected via mails. For Seoul, the persona lvisits were payed to explai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on the spot after their meetings were ended.
      For independent variable the scale developed by Ji-Won Park (1985) that measures the perceived level of support by alcoholic patients from people that he or she has social relationships with is used, for a dependent variable the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measurement that was first invented by Carol C. Diclemente, and others (1994) and later improved by Sung-Jae Kim (1996) is used and for another dependent variable the measurement of anger invented by Raymond W. Novaco (1977) is used. For data analysis method we used i-STATistics_2_01 program.
      In this aspect, this research studies the changes in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 the degree of patient’s confidence in being clean- rage, and level of help from the family members depending on the degree of social help from family and surroundings perceived by the alcoholic patients followed by survey of the changes in abstinence self-efficacy perceived by the patients.

      The summarized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ly, the survey of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alcoholic patients on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yielded the noticeable result of p < 0.001 which statistically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13.9617, df1=2, df2=57, p=0.0000) indicating as the level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alcoholic patient increases, his or her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lso increases.

      Secondly, the survey explor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alcoholic patients on patients’ rage level.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data resulted with p < 0.05 that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F=4.5237, df1=2, df2=57, p=0.0150) which concludes that groups that had highest perceived level of social support had the relatively lower anger level.

      Thirdly, the analysis of significance between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the subordinate scopes of social support such as mental, informational, and evaluative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0.01 especially with the groups that required more materialistic support, such as finance, had lower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compared to other groups that needed evaluative support such as compliments.
      The other additional research showed that among the subordinate scopes of social support, the patients desired more mental support such as love and encouragement than the materialistic support, and for the people that they want help from were their family members rather than their neighbors, religious personal, or staffs from alcoholic counseling center.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alcoholic patients not only need the systematic help and treatment from the specialized institution, but also the support from people that they have social relationships with such as their family members and acquaintances for their rehabilitation,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the help from the patients’ family members may plays the biggest role in overcoming their alcoholism and rehabilitation.
      Nowadays, due to the severity and social consequences of alcoholism that are mentioned earlier, alcoholism is began to be recognized as a problem of the country and entire society beyond individual or the patient’s family. In that regard, the state should pay attention and notice alcoholic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o improve the overall system and policy for rehabilitation with sufficient and objective publicity for the alcoholic addiction. Also the related academic studies should also be carried out actively to support such improvements.
      번역하기

      Abstract Alcoholism refers to the condition which excessive habitual drinking caused by one losing self-control over the alcohol consumption. Alcoholic patients are not social misfits who intentionally cause problems. Alcoholism is neuropsychiat...

      Abstract

      Alcoholism refers to the condition which excessive habitual drinking caused by one losing self-control over the alcohol consumption. Alcoholic patients are not social misfits who intentionally cause problems. Alcoholism is neuropsychiatric disease which its symptoms are due to the damage in brain thus one’s character or will are irrelevant to this disease. Therefore alcoholic patient, his or her family and the society must recognize that the alcoholic addiction is the illness and instead of criticism show them understanding and support.
      The data for this research was collected for about three weeks period, from February 20th, 2015 to March 10th, 2015, by calling the alcoholic counseling center representatives throughout the country to explai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asking for cooperation. For the A.A. organizations that agreed to cooperate, the data from Jeju and Incheon regions were collected via mails. For Seoul, the persona lvisits were payed to explai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on the spot after their meetings were ended.
      For independent variable the scale developed by Ji-Won Park (1985) that measures the perceived level of support by alcoholic patients from people that he or she has social relationships with is used, for a dependent variable the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measurement that was first invented by Carol C. Diclemente, and others (1994) and later improved by Sung-Jae Kim (1996) is used and for another dependent variable the measurement of anger invented by Raymond W. Novaco (1977) is used. For data analysis method we used i-STATistics_2_01 program.
      In this aspect, this research studies the changes in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 the degree of patient’s confidence in being clean- rage, and level of help from the family members depending on the degree of social help from family and surroundings perceived by the alcoholic patients followed by survey of the changes in abstinence self-efficacy perceived by the patients.

      The summarized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ly, the survey of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alcoholic patients on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yielded the noticeable result of p < 0.001 which statistically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13.9617, df1=2, df2=57, p=0.0000) indicating as the level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alcoholic patient increases, his or her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lso increases.

      Secondly, the survey explor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alcoholic patients on patients’ rage level.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data resulted with p < 0.05 that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F=4.5237, df1=2, df2=57, p=0.0150) which concludes that groups that had highest perceived level of social support had the relatively lower anger level.

      Thirdly, the analysis of significance between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the subordinate scopes of social support such as mental, informational, and evaluative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0.01 especially with the groups that required more materialistic support, such as finance, had lower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compared to other groups that needed evaluative support such as compliments.
      The other additional research showed that among the subordinate scopes of social support, the patients desired more mental support such as love and encouragement than the materialistic support, and for the people that they want help from were their family members rather than their neighbors, religious personal, or staffs from alcoholic counseling center.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alcoholic patients not only need the systematic help and treatment from the specialized institution, but also the support from people that they have social relationships with such as their family members and acquaintances for their rehabilitation,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the help from the patients’ family members may plays the biggest role in overcoming their alcoholism and rehabilitation.
      Nowadays, due to the severity and social consequences of alcoholism that are mentioned earlier, alcoholism is began to be recognized as a problem of the country and entire society beyond individual or the patient’s family. In that regard, the state should pay attention and notice alcoholic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o improve the overall system and policy for rehabilitation with sufficient and objective publicity for the alcoholic addiction. Also the related academic studies should also be carried out actively to support such improve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알코올 중독은 과도한 습관성 음주로 인해 음주에 대한 조절 능력을 상실한 상태를 일컬으며, 중독자가 고의적으로 술 문제를 일으키는 사회 부적응이 아니라 자신의 인격이나 의지와는 큰 관계없이 뇌의 손상에 의해 저절로 중독의 증상이 발현되는 신경‧정신적 질환이다. 따라서 알코올 중독자와 가족들,
      그리고 우리 사회는 알코올 중독이 질환임을 먼저 인식하고 그들을 비난 하는 대신 환자에 대한 이해와 지지가 우선되어야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15년 2월 20일부터 3월 10일까지 약 3주간 수집하였다. 사전에 전화로 전국의 알코올상담센터 관계자에게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했으며, 그 중 설문조사에 동의한 제주도와 인천지역의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들(A.A. Alcoholics Anonymous) 모임은 반송봉투를 활용하여 설문서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서울 지역 모임은 직접 방문하여 현장에서 모임 전에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모임이 끝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독립변수로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척도로서 중독자가 자신과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지각한 사회적지지 척도를 이용하였다. 종속변수로는 먼저 Carol C. Diclemente, 등(1994)이 고안하고 김성재(1996)가 보완한 단주자기효능감 척도, 그리고 Raymond W. Novaco(1977)가 개발한 분노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분석방법은 i-STATistics_2_01 Program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중독자가 가족이나 주변의 다른 사람으로부터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상, 중, 하) 및 하위 영역과 단주할 수 있는 자신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단주자기효능감 및 분노와의 상관관계를 탐색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 째, A.A. 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 중독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단주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탐색해본 결과, p < 0.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F=13.9617, df1=2, df2=57, p=0.0000), 알코올 중독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단주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둘 째, A.A. 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 중독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분노와의 상관관계를 탐색해본 결과, p < 0.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F=4.5237, df1=2, df2=57, p=0.0150), 알코올 중독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분노는 낮아졌다.
      셋 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와 단주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별히 돈 등의 물질적 지지를 더 필요로 하는 집단에서 칭찬 등의 평가적 지지를 더 필요로 하는 집단보다 단주자기효능감이 낮았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과 분노와의 상관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기타 추가적인 탐색에서 현재 가장 필요로 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 설문에서는 돈 등의 물질적 지지보다 사랑과 격려 등의 정서적 지지를 가장 필요로 했다. 이어서 현재 가장 도움을 받고 싶어 하는 사람에 대한 설문에서는 이웃이나 종교인, 그리고 알코올 치료 센터 관계자들보다 가족들을 최우선적으로 선택했다.
      본 연구의 결과 알코올 중독자들에게는 물론 알코올 전문기관의 체계적인 치료도 필요하겠지만, 더불어 이러한 치료와 함께 알코올 중독자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가족들이나 주변 사람들의 적극적인 지지나 이해도 알코올 중독자들의 회복에 매우 주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특별히 가족들의 지지는 중독자들의 단주와 회복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앞에서 언급한 알코올 중독의 심각성 및 폐해로 인해 이제 알코올 중독은 개인이나 가족을 넘어 국가와 사회 전체의 문제로 인식 되기 시작했다. 그런 점에서 국가와 지역사회에서는 고통 받고 있는 알코올 중독자와 그 가족들을 위해 큰 관심과 위기의식을 갖고 알코올 중독에 대한 충분하고 객관적인 홍보와 함께 알코올 중독의 치료와 회복을 위한 제반 시스템 구축과 정책의 수립이 필요할 때이다. 또한 관련 학계에서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알코올 중독은 과도한 습관성 음주로 인해 음주에 대한 조절 능력을 상실한 상태를 일컬으며, 중독자가 고의적으로 술 문제를 일으키는 사회 부적응이 아니라 자신의 인격이...

      국문초록

      알코올 중독은 과도한 습관성 음주로 인해 음주에 대한 조절 능력을 상실한 상태를 일컬으며, 중독자가 고의적으로 술 문제를 일으키는 사회 부적응이 아니라 자신의 인격이나 의지와는 큰 관계없이 뇌의 손상에 의해 저절로 중독의 증상이 발현되는 신경‧정신적 질환이다. 따라서 알코올 중독자와 가족들,
      그리고 우리 사회는 알코올 중독이 질환임을 먼저 인식하고 그들을 비난 하는 대신 환자에 대한 이해와 지지가 우선되어야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15년 2월 20일부터 3월 10일까지 약 3주간 수집하였다. 사전에 전화로 전국의 알코올상담센터 관계자에게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했으며, 그 중 설문조사에 동의한 제주도와 인천지역의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들(A.A. Alcoholics Anonymous) 모임은 반송봉투를 활용하여 설문서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서울 지역 모임은 직접 방문하여 현장에서 모임 전에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모임이 끝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독립변수로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척도로서 중독자가 자신과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지각한 사회적지지 척도를 이용하였다. 종속변수로는 먼저 Carol C. Diclemente, 등(1994)이 고안하고 김성재(1996)가 보완한 단주자기효능감 척도, 그리고 Raymond W. Novaco(1977)가 개발한 분노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분석방법은 i-STATistics_2_01 Program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중독자가 가족이나 주변의 다른 사람으로부터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상, 중, 하) 및 하위 영역과 단주할 수 있는 자신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단주자기효능감 및 분노와의 상관관계를 탐색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 째, A.A. 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 중독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단주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탐색해본 결과, p < 0.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F=13.9617, df1=2, df2=57, p=0.0000), 알코올 중독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단주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둘 째, A.A. 모임에 참여하는 알코올 중독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분노와의 상관관계를 탐색해본 결과, p < 0.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F=4.5237, df1=2, df2=57, p=0.0150), 알코올 중독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분노는 낮아졌다.
      셋 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와 단주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별히 돈 등의 물질적 지지를 더 필요로 하는 집단에서 칭찬 등의 평가적 지지를 더 필요로 하는 집단보다 단주자기효능감이 낮았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과 분노와의 상관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기타 추가적인 탐색에서 현재 가장 필요로 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 설문에서는 돈 등의 물질적 지지보다 사랑과 격려 등의 정서적 지지를 가장 필요로 했다. 이어서 현재 가장 도움을 받고 싶어 하는 사람에 대한 설문에서는 이웃이나 종교인, 그리고 알코올 치료 센터 관계자들보다 가족들을 최우선적으로 선택했다.
      본 연구의 결과 알코올 중독자들에게는 물론 알코올 전문기관의 체계적인 치료도 필요하겠지만, 더불어 이러한 치료와 함께 알코올 중독자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 가족들이나 주변 사람들의 적극적인 지지나 이해도 알코올 중독자들의 회복에 매우 주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특별히 가족들의 지지는 중독자들의 단주와 회복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앞에서 언급한 알코올 중독의 심각성 및 폐해로 인해 이제 알코올 중독은 개인이나 가족을 넘어 국가와 사회 전체의 문제로 인식 되기 시작했다. 그런 점에서 국가와 지역사회에서는 고통 받고 있는 알코올 중독자와 그 가족들을 위해 큰 관심과 위기의식을 갖고 알코올 중독에 대한 충분하고 객관적인 홍보와 함께 알코올 중독의 치료와 회복을 위한 제반 시스템 구축과 정책의 수립이 필요할 때이다. 또한 관련 학계에서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 3
      • 제3절 연구 문제. 4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 3
      • 제3절 연구 문제. 4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알코올 중독 및 익명의 알코올
      • 중독자들(A.A.)모임 5
      • 제2절 단주자기효능감 21
      • 제3절 분노. 23
      • 제4절 사회적 지지. 24
      • 제5절 선행연구의 동향. 26
      • 제3장 연구 방법 31
      • 제1절 연구 모형 및 가설. 31
      • 제2절 연구 대상 및 활용 척도 32
      • 제3절 자료 수집 방법. 35
      • 제4절 자료 분석 방법. 36
      • 제4장 연구 결과 37
      • 제1절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7
      • 제2절 사회적 지지의 수준별 분포. 42
      • 제3절 사회적 지지 수준과 단주자기효능감,
      • 분노와의 상관관계 분석 44
      • 제4절 사회적 지지 하위 영역과 단주자기
      • 효능감, 분노와의 상관관계 분석 51
      • 제5장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53
      • 제6장 결론 및 제언. 56
      • 제1절 결론 56
      • 제2절 제언 57
      • 참고 문헌 61
      • 부록(설문조사지). 68
      • Abstract. 76
      • 감사의 글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