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 : 청초(淸初)의 두보(杜甫) 시의도(詩意圖) 화첩 연구 = Culture : A Study on Album of Tu Fu`s Poetry-based Paintings in the early Qing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5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淸初의 정통화파와 개성화파의 선두에서 논의되는 王時敏(1592-1680)과 石濤(1642-1707)의 『杜甫詩意圖冊』을 대상으로 시의도의 화제, 화첩제작 동기, 화풍, 표현 방법 등의 비교 고찰을 통해 청대 화단에서의 두보 시의도의 위상을 알아보았다. 왕시민은 두보의 시중 「南린」, 「登高」, 「秋興8首」 등 7언 율시, 석도는 「移居夔州作」, 「日暮」, 「客亭」 등 5언 율시에서 시구를 취해 화면에 옮겼다는 차이가 있다. 화제가 된 시들은 대부분 사계절의 풍광과 정서를 표현하며 情景交融의 경지에 이른 시구라는 공통점이 있다. 두 화첩의 가장 큰 차이는 시의도를 표현한 화풍에서 찾을 수 있다. 왕시민은 董其昌(1555-1636)의 회화이론을 추종하는 전통화파의 면모를 드러내듯 巨然(960-985 활동), 董源(?-962), 王蒙(1308-1385), 黃公望(1269-1354)등 古人의 준법을 익혀 정치한 필선을 시의도에 운용했다. 반면 석도는 보다 간일한 필치와 발묵 기법 등으로 산수를 표현했으며 특히 設色의 적절한 운용과 대범한 구도의 실현을 통해 개성있는 화법을 강조한 자신의 화론을 시의도에도 실현했음을 보여준다. 두 화첩 모두 산수화 혹은 산수 인물화의 형태로 그려졌고 왕시민은 詩情을 大景 山水로 표현했다. 반면 석도는 화가가 주목하는 자연의 규모를 특정한 부분으로 집중 조망하여 왕시민의 산수에 비해 부분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산수 인물화의 경우 두 작가 모두 인물 표현을 통해 보다 긴밀한 詩情과 ?意의 관계를 유도하고 있다. 화첩 제작 동기는 왕시민의 경우 조카의 부탁으로 화첩을 그렸으나, 석도는 주문에 의한 제작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상으로 왕시민, 석도의 두보 시의도 화첩인 『杜甫詩意圖冊』을 통해 淸初의 두보 인식, 두시에 대한 위상은 물론 두 작가의 개성있는 화풍 차이를 통해 동시대에 이루어진 다양한 회화의 양상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淸初의 정통화파와 개성화파의 선두에서 논의되는 王時敏(1592-1680)과 石濤(1642-1707)의 『杜甫詩意圖冊』을 대상으로 시의도의 화제, 화첩제작 동기, 화풍, 표현 방법 등의 비교...

      본 논문에서는 淸初의 정통화파와 개성화파의 선두에서 논의되는 王時敏(1592-1680)과 石濤(1642-1707)의 『杜甫詩意圖冊』을 대상으로 시의도의 화제, 화첩제작 동기, 화풍, 표현 방법 등의 비교 고찰을 통해 청대 화단에서의 두보 시의도의 위상을 알아보았다. 왕시민은 두보의 시중 「南린」, 「登高」, 「秋興8首」 등 7언 율시, 석도는 「移居夔州作」, 「日暮」, 「客亭」 등 5언 율시에서 시구를 취해 화면에 옮겼다는 차이가 있다. 화제가 된 시들은 대부분 사계절의 풍광과 정서를 표현하며 情景交融의 경지에 이른 시구라는 공통점이 있다. 두 화첩의 가장 큰 차이는 시의도를 표현한 화풍에서 찾을 수 있다. 왕시민은 董其昌(1555-1636)의 회화이론을 추종하는 전통화파의 면모를 드러내듯 巨然(960-985 활동), 董源(?-962), 王蒙(1308-1385), 黃公望(1269-1354)등 古人의 준법을 익혀 정치한 필선을 시의도에 운용했다. 반면 석도는 보다 간일한 필치와 발묵 기법 등으로 산수를 표현했으며 특히 設色의 적절한 운용과 대범한 구도의 실현을 통해 개성있는 화법을 강조한 자신의 화론을 시의도에도 실현했음을 보여준다. 두 화첩 모두 산수화 혹은 산수 인물화의 형태로 그려졌고 왕시민은 詩情을 大景 山水로 표현했다. 반면 석도는 화가가 주목하는 자연의 규모를 특정한 부분으로 집중 조망하여 왕시민의 산수에 비해 부분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산수 인물화의 경우 두 작가 모두 인물 표현을 통해 보다 긴밀한 詩情과 ?意의 관계를 유도하고 있다. 화첩 제작 동기는 왕시민의 경우 조카의 부탁으로 화첩을 그렸으나, 석도는 주문에 의한 제작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상으로 왕시민, 석도의 두보 시의도 화첩인 『杜甫詩意圖冊』을 통해 淸初의 두보 인식, 두시에 대한 위상은 물론 두 작가의 개성있는 화풍 차이를 통해 동시대에 이루어진 다양한 회화의 양상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aintings based on Tu Fu(杜甫, 712-770)`s poems by systematic comparition on subjects, motives of making pictorial books, styles and methods of 『Album of Tu Fu`s Poetry-based Paintings』 by Wang Shimin(王時敏, 1592-1680) and Shitao(石濤, 1642-1707).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aintings based on Tu Fu(杜甫, 712-770)`s poems by systematic comparition on subjects, motives of making pictorial books, styles and methods of 『Album of Tu Fu`s Poetry-based Paintings』 by Wang Shimin...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aintings based on Tu Fu(杜甫, 712-770)`s poems by systematic comparition on subjects, motives of making pictorial books, styles and methods of 『Album of Tu Fu`s Poetry-based Paintings』 by Wang Shimin(王時敏, 1592-1680) and Shitao(石濤, 1642-17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