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월호 참사와 위기관리체제 : 문제점과 개선방향 = Sewolho Tragedy and Crisis Management System - Problems and Alterna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2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wolho Tragedy occurred in last April 16 is a typical case of a national crisis management failure, which is no doubt put on the worst of all the naval catastrophes. It has appeared to be one of the most shameful accidents which makes all the people feel frustrated and angry with such an incompetent and irresponsible seamenship. The main impetus for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was going on during the tragic event and improve our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lternatives to install a control tower of our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by reviewing the various suggestions, including the government proposal. This research has also focused on: 1) analyzing various approaches to the enhancement of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in general and 2) investigating more effective ways to strengthen crisis preparedness capability by evaluating specific steps taken on stages of crisis management. Among them, suggested here is the restoration of the function of crisis manage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And a major campain program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and establish a code of security conduct is emphasized as an essential apparatus to strengthen 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capability to guard against ever increasing risks of national disasters.
      번역하기

      The Sewolho Tragedy occurred in last April 16 is a typical case of a national crisis management failure, which is no doubt put on the worst of all the naval catastrophes. It has appeared to be one of the most shameful accidents which makes all the peo...

      The Sewolho Tragedy occurred in last April 16 is a typical case of a national crisis management failure, which is no doubt put on the worst of all the naval catastrophes. It has appeared to be one of the most shameful accidents which makes all the people feel frustrated and angry with such an incompetent and irresponsible seamenship. The main impetus for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was going on during the tragic event and improve our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lternatives to install a control tower of our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by reviewing the various suggestions, including the government proposal. This research has also focused on: 1) analyzing various approaches to the enhancement of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in general and 2) investigating more effective ways to strengthen crisis preparedness capability by evaluating specific steps taken on stages of crisis management. Among them, suggested here is the restoration of the function of crisis manage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And a major campain program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and establish a code of security conduct is emphasized as an essential apparatus to strengthen 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capability to guard against ever increasing risks of national disas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4월 16일 오전 진도 앞 바다에서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건은 역대 최악의 재난사고로서 심각한 위기관리 실패사례이다. 이 사고는 발생시점에서 침몰과정까지의 승객구조과정 그리고 침몰이후의 실종자 수색과정이나 가족들을 위한 긴급구호대책에 이르기까지 총체적 위기관리 실패와 재난관리의 미숙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세월호 사건을 통해 현 국가위기관리 시스템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증요법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방안에 초점을 맞추어 국가위기관리체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번 세월호 사고의 발생과 사태수습과정에서 보듯이 우리 국가위기관리 능력은 거의 총체적인 부실로서 피해최소화에 필요한 초동조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유관부처 간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재난관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게다가 선박안전이나 운행관리체계의 점검과 감독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기본적인 재난상황 보고 및 전파체계가 작동되질 않았다. 미국의 경우 카트리나 허리케인에 대한 재난관리 실패를 조사한 미의회보고서에 따르면 정보의 정확한 파악과 혼란을 바로 잡는 콘트롤 시스템의 부재, 국토안보부 상황센터의 중요한 정보제공 실패, 국토안보부장관의 대응 미숙 등이 신랄하게 지적되었다. 본 논문은 이번의 재난사태를 통히여 Ⓐ 청와대 국가안보실의 “국가위기관리실”로 확대개편, Ⓑ 선박안전관리 및 선박운행관리 김독체계의 쇄신, Ⓒ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감독기능 및 핵심기반시설의 안전관리 강화, Ⓓ 위기관리와 재난관리에 관한 법령제정 및 제도 개선 등등을 제안한다. 또한 장기적인 과제로는 ⓐ 선진 위기관리 통합정보체계의 구축 ⓑ 안전행정부의 국가재난안전부로 승격, ⓒ현장 실무인력 및 재난 전문인력 양성/배치 ⓓ국민안전수칙 공표를 시작으로 한 국민안전문화 정착 등등을 제안한다. 이번의 사고가 비록 비극적이긴 하지만 이번의 사태를 계기로 국가위기관리체계의 혁신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우리사회가 자성하고 성찰하는 안전관리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삼아야 하겠다.
      번역하기

      지난 4월 16일 오전 진도 앞 바다에서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건은 역대 최악의 재난사고로서 심각한 위기관리 실패사례이다. 이 사고는 발생시점에서 침몰과정까지의 승객구조과정 그리고 ...

      지난 4월 16일 오전 진도 앞 바다에서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건은 역대 최악의 재난사고로서 심각한 위기관리 실패사례이다. 이 사고는 발생시점에서 침몰과정까지의 승객구조과정 그리고 침몰이후의 실종자 수색과정이나 가족들을 위한 긴급구호대책에 이르기까지 총체적 위기관리 실패와 재난관리의 미숙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세월호 사건을 통해 현 국가위기관리 시스템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증요법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방안에 초점을 맞추어 국가위기관리체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려고 한다. 이번 세월호 사고의 발생과 사태수습과정에서 보듯이 우리 국가위기관리 능력은 거의 총체적인 부실로서 피해최소화에 필요한 초동조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유관부처 간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재난관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게다가 선박안전이나 운행관리체계의 점검과 감독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기본적인 재난상황 보고 및 전파체계가 작동되질 않았다. 미국의 경우 카트리나 허리케인에 대한 재난관리 실패를 조사한 미의회보고서에 따르면 정보의 정확한 파악과 혼란을 바로 잡는 콘트롤 시스템의 부재, 국토안보부 상황센터의 중요한 정보제공 실패, 국토안보부장관의 대응 미숙 등이 신랄하게 지적되었다. 본 논문은 이번의 재난사태를 통히여 Ⓐ 청와대 국가안보실의 “국가위기관리실”로 확대개편, Ⓑ 선박안전관리 및 선박운행관리 김독체계의 쇄신, Ⓒ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감독기능 및 핵심기반시설의 안전관리 강화, Ⓓ 위기관리와 재난관리에 관한 법령제정 및 제도 개선 등등을 제안한다. 또한 장기적인 과제로는 ⓐ 선진 위기관리 통합정보체계의 구축 ⓑ 안전행정부의 국가재난안전부로 승격, ⓒ현장 실무인력 및 재난 전문인력 양성/배치 ⓓ국민안전수칙 공표를 시작으로 한 국민안전문화 정착 등등을 제안한다. 이번의 사고가 비록 비극적이긴 하지만 이번의 사태를 계기로 국가위기관리체계의 혁신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우리사회가 자성하고 성찰하는 안전관리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삼아야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태회, "현 국가위기관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자유민주연구원 59-85, 2014

      2 이채언, "한국의 국가위기관리 조직체계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28, 2012

      3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통합안전관리시스템 기본계획수립 및 지역안전진단시스템 개발설계" 2013

      4 이동훈, "진단과 대응의 사회학" 박영사 2002

      5 "중앙일보"

      6 허태회, "위기관리이론과 사이버안보 강화방안 :이론과 정책과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48 (48): 29-62, 2005

      7 허태회, "위기관리와 국가안전보장회의: 법․제도적 고찰"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13-130, 2013

      8 조민상,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통합무선연결망 구축방안"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14, 2012

      9 "오마이뉴스"

      10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 "업무보고"

      1 허태회, "현 국가위기관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자유민주연구원 59-85, 2014

      2 이채언, "한국의 국가위기관리 조직체계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28, 2012

      3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통합안전관리시스템 기본계획수립 및 지역안전진단시스템 개발설계" 2013

      4 이동훈, "진단과 대응의 사회학" 박영사 2002

      5 "중앙일보"

      6 허태회, "위기관리이론과 사이버안보 강화방안 :이론과 정책과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48 (48): 29-62, 2005

      7 허태회, "위기관리와 국가안전보장회의: 법․제도적 고찰"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13-130, 2013

      8 조민상,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통합무선연결망 구축방안"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14, 2012

      9 "오마이뉴스"

      10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 "업무보고"

      11 성기환, "안전복지서비스 증진을 위한 한국정부의 재난관리체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327-354, 2014

      12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스마트 재난상황실구축전략 및 시범운영" 2013

      13 김혁수, "세월호 사고로 본 해난구조: 문제점과 개선방안" 자유민주연구원 29-45, 2014

      14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새로운 도전, 국가위기관리" 2008

      15 윤태영, "미국과 한국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체제 조직과 운영: 위기관리 시각에서 분석"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0 (10): 229-253, 2010

      16 전경만, "동북아안보정세분석: 국가위기관리체계의 발전적 운영에 관한 소고" 한국국방연구원 2008

      17 양철호, "군의 위기상황 처리 시 지휘책임에 관한 연구- 천안함 피격 사건시 지휘책임 사례를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57-175, 2014

      18 김인태, "국가위기관리기본법(안) 제정 발전방안"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41-166, 2013

      19 이채언, "국가위기관리기본법 제정 방안에 관한 소고"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93-211, 2014

      20 정찬권, "국가위기관리 조직운영체계 발전방안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57-76, 2013

      21 鄭炳敎, "국가안전보장회의 운영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1995

      22 길병옥, "국가 위기관리체계 확립방안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339-359, 2003

      23 정춘일, "국가 위기관리체계 정비방안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1998

      24 Davies, John, "Preventive Measures: Building Risk Assessment and Crisis Early Warning" Rowman & Littlefield 1998

      25 Hopple, Gerald, "National Security: Crisis Forecasting and Management" Westview Press 1998

      26 Bueno de Mesquita, Bruce, "Handbook of War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143-169, 1989

      27 Sundri Khalsa, "Forecasting Terrorism" Scarecrow Press 2004

      28 Schmeidl, S., "Early Warning and Early Respons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8

      29 Brecher, M., "A Study of Crisis"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0

      30 김열수, "21세기 국가위기관리체제론 : 한국 및 외국사례 비교연구" 오름 2005

      31 해양수산부, "2014년 해사안전시행계획" 2014

      32 해양경찰청, "2013 해양경찰백서"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제문제연구 -> 국가안보와 전략
      외국어명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7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