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orest Education on Children's Attentive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94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orest education affects children's attentiveness by comparing three groups of children: children in a forest-kindergarten who meet in a forest everyday, children in a forest-group who experience a forest twice a week, and children in H kindergarten who do not experience a forest education at all. The pre-test on the children's attentiveness revealed that, before the experimen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also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age.
      After education in a forest, a test measuring the children's attentiveness was conducted. An one-way ANOVA (F-test) revealed that the forest-kindergarten children achieved the highest average score for attentiveness level (39.50), followed by the forest-group children (38.08), which in turn, was followed by the children in the H kindergarten (32.32).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education in a forest affected the children's attentiveness.
      The results by age were as follows: for children of age 5, the average scores of attentiveness were 42.73 (forest kindergarten children), 41.42 (forest group children), and 34.74 (children in H kindergarten); for children of age 4, the average scores were 36.27 (forest kindergarten children), 34.75 (forest group children), 29.89 (children in H kindergarten). For both ag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education in a forest promotes children's attentiveness as well as their emotional stability, and that play and activity in a forest naturally enhance children's ability to pay atten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orest education affects children's attentiveness by comparing three groups of children: children in a forest-kindergarten who meet in a forest everyday, children in a forest-group who experience a forest twice a week, and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orest education affects children's attentiveness by comparing three groups of children: children in a forest-kindergarten who meet in a forest everyday, children in a forest-group who experience a forest twice a week, and children in H kindergarten who do not experience a forest education at all. The pre-test on the children's attentiveness revealed that, before the experimen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also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age.
      After education in a forest, a test measuring the children's attentiveness was conducted. An one-way ANOVA (F-test) revealed that the forest-kindergarten children achieved the highest average score for attentiveness level (39.50), followed by the forest-group children (38.08), which in turn, was followed by the children in the H kindergarten (32.32).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education in a forest affected the children's attentiveness.
      The results by age were as follows: for children of age 5, the average scores of attentiveness were 42.73 (forest kindergarten children), 41.42 (forest group children), and 34.74 (children in H kindergarten); for children of age 4, the average scores were 36.27 (forest kindergarten children), 34.75 (forest group children), 29.89 (children in H kindergarten). For both ag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education in a forest promotes children's attentiveness as well as their emotional stability, and that play and activity in a forest naturally enhance children's ability to pay atten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숲유치원(매일반)과 주2회 숲에서 체험교육을 하는 숲그룹유치원 그리고 숲체험교육을 하지 않는 H유치원의 유아를 대상으로 주의집중력 검사를 실시하여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였다.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세 집단의 평균점수와 연령별 평균점수에 있어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동질집단으로 보았다. 숲에서의 교육 후 주의집중력검사를 일원분산분석(F-검증)을 실시한 결과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9.50로 가장 높았으며, 숲그룹 유아는 38.08, H유치원 유아는 32.32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어,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령에 따른 결과는 만5세아의 경우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42.73로 가장 높았으며, 숲그룹 유아는 41.42, H유치원 유아는 34.74의 순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만4세아의 경우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6.27, 숲그룹 유아는 34.75, H유치원 유아는 29.8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숲에서의 교육을 통하여 유아는 정서적 안정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사물을 집중하여 관찰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숲에서의 놀이와 활동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집중력이 촉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숲유치원(매일반)과 주2회 숲에서 체험교육을 하는 숲그룹유치원 그리고 숲체험교육을 하지 않는 H유치원의 유아를 대상으로 주의집중력 검사를 실시하여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

      본 연구는 숲유치원(매일반)과 주2회 숲에서 체험교육을 하는 숲그룹유치원 그리고 숲체험교육을 하지 않는 H유치원의 유아를 대상으로 주의집중력 검사를 실시하여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였다.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세 집단의 평균점수와 연령별 평균점수에 있어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동질집단으로 보았다. 숲에서의 교육 후 주의집중력검사를 일원분산분석(F-검증)을 실시한 결과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9.50로 가장 높았으며, 숲그룹 유아는 38.08, H유치원 유아는 32.32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어,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령에 따른 결과는 만5세아의 경우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42.73로 가장 높았으며, 숲그룹 유아는 41.42, H유치원 유아는 34.74의 순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만4세아의 경우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6.27, 숲그룹 유아는 34.75, H유치원 유아는 29.8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숲에서의 교육을 통하여 유아는 정서적 안정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사물을 집중하여 관찰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숲에서의 놀이와 활동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집중력이 촉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집중력센터"

      2 김은숙, "한국 최초 숲유치원 교육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2010

      3 김영진, "학습상담연구" 양서원 2003

      4 김정권, "특수학교경영핸드북" 형설출판사 1994

      5 유경임,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경인교육대학교 2006

      6 강위영, "주의력결함 과잉행동 아동지도" 국립특수교육원 1996

      7 이명환, "자연 친화적 유아교육의 모델 독일의 숲유치원" 교육아카데미 2007

      8 안정현,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유형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9 류문화, "자기교시훈련이 주의집중결함 과잉행동 아동의 문제행동수정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1996

      10 오연주, "유아의 주의집중과 운동능력 관계 연구" 2 (2): 19-32, 2001

      1 "한국집중력센터"

      2 김은숙, "한국 최초 숲유치원 교육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2010

      3 김영진, "학습상담연구" 양서원 2003

      4 김정권, "특수학교경영핸드북" 형설출판사 1994

      5 유경임,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경인교육대학교 2006

      6 강위영, "주의력결함 과잉행동 아동지도" 국립특수교육원 1996

      7 이명환, "자연 친화적 유아교육의 모델 독일의 숲유치원" 교육아카데미 2007

      8 안정현,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유형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9 류문화, "자기교시훈련이 주의집중결함 과잉행동 아동의 문제행동수정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1996

      10 오연주, "유아의 주의집중과 운동능력 관계 연구" 2 (2): 19-32, 2001

      11 Rousseau J.J, "에밀" 범우사 1762

      12 윤상욱, "숲과 환경과 인간" 문음사 1998

      13 박용구, "삼림욕과 건강, In 나무․숲․사람"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 대학 2003

      14 김지연, "명상훈련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정서안정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2007

      15 권은경, "만다라그리기가 중학생의 주의집중력과의 상관관계연구" 서울교육대학교 2008

      16 이명환, "독일의 숲유치원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23-48, 2003

      17 신원섭, "도시 사회에 있어서 숲의 의미와 가치" 285 : 57-63, 1998

      18 전영우, "노랫말에 나타난 한국인의 수목관. 김기원편. 숲과 음악" 수문출판사 1997

      19 남효창, "나는 매일 숲으로 출근한다" 청림출판 2004

      20 이숙희, "가정환경과 아동의 주의집중력 발달과의 관계" 인천대학교

      21 Kaplan, R, "With People in Mind: Design and Management for Everyday Nature" Island Press 1998

      22 Gorges, R, "Waldkindergartenkinder im ersten Schuljahr–eine empirische Untersuchung"

      23 Grahn,P, "Ute pa Dagis"

      24 Buck,R, "The communication of emotion" Guilford 1984

      25 Keatinge,M.W, "The Great Didactic" Part Z. A., & c. Black Ltd 1917

      26 Häfner,P, "Natur-und Waldkindergärten in Deutschland-eine Alternative zum Regelkindergarten in der vorschulischen Erziehung"

      27 Corbett,K, "Motor development and attentional capacity in the young child: A neo-Piagetian Perspective" Steven Pulos 1998

      28 Brown, E. G., "Mother-child conversation about peers: Contributions to competence" 43 : 425-432, 1994

      29 Seitz, M., "Montessori oder Waldorf" Kösel 96-98, 1996

      30 Sandhof,K, "Mit Kinder in der Welt" Ökotopia Verlag 1998

      31 Keele, S.W., "Mechanisms of attention in: Handbook of Perception(Vol. 9)" Academic Press 1978

      32 Zimmer, R, "Leben braucht Bewegung-Förderung der ganzheitlichen Entwicklung"

      33 Louv,R, "Last Child in the woods"

      34 Freud,M, "Ein Männlein spielt im Walde, in : Arbeitsgemeinschaft Natur-und Umweltbildung"

      35 Unterberg,P, "Der Waldkindergarten aus der Sicht einer Mutter, in : Arbeitsgemeinschaft Natur-und Umweltbildung"

      36 Schede,H-G, "Der Waldkindergarten auf einen Blick" Kösel Verlag 7-77, 2000

      37 Bickel,K, "Der Waldkindergarten"

      38 Schetz, "2007년 유럽유아교육기관 탐방 연수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7-1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2 2.0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22 2.52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