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미숙, "학령기의 통합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살펴본 예비교사의 통합교육 인식" 한국재활심리학회 24 (24): 279-296, 2017
2 서보순,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장애인에 대한 은유(metaphor)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87-109, 2014
3 김기흥,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들이 바라본 일반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 특수학교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26, 2014
4 서효정,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한 예비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교수적 수정 실행, 교사 효능감에 대한 인식 변화 및 관련성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7 (17): 103-125, 2018
5 이영선,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99-416, 2010
6 김경양, "통합학급에서 협력적 AAC 지원이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자폐학회 15 (15): 19-44, 2015
7 서은정, "통합학급에서 사회성 기술훈련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감정 다루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8 (8): 21-49, 2015
8 김번영, "통합학급에서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9-49, 2007
9 김현진,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운영에 대한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33-55, 2008
10 이재원, "통합체육수업에서의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 신체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20 (20): 87-106, 2012
1 이미숙, "학령기의 통합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살펴본 예비교사의 통합교육 인식" 한국재활심리학회 24 (24): 279-296, 2017
2 서보순,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장애인에 대한 은유(metaphor)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87-109, 2014
3 김기흥,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들이 바라본 일반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 특수학교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26, 2014
4 서효정,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한 예비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교수적 수정 실행, 교사 효능감에 대한 인식 변화 및 관련성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7 (17): 103-125, 2018
5 이영선,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99-416, 2010
6 김경양, "통합학급에서 협력적 AAC 지원이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자폐학회 15 (15): 19-44, 2015
7 서은정, "통합학급에서 사회성 기술훈련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감정 다루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8 (8): 21-49, 2015
8 김번영, "통합학급에서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9-49, 2007
9 김현진,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운영에 대한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33-55, 2008
10 이재원, "통합체육수업에서의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 신체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20 (20): 87-106, 2012
11 김기흥,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 일반 초 중등교사들의 태도" 한국발달장애학회 21 (21): 69-97, 2017
12 이옥인, "통합교육 환경에서 자기결정 학습모형이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조정 학습전략 사용 및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167-181, 2008
13 김영숙,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교사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95-211, 2005
14 손영화, "통합교육 문제점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91-113, 2012
15 류현주, "통합교육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통한 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향상과 또래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변화"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4 (44): 149-173, 2005
16 김미정, "통합교실의 자유놀이에서 나타난 장애유아에 대한일반유아의 인식 및 상호작용 전략"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417-449, 2007
17 박찬웅, "통합 정도에 따른 지적장애아의 사회성 발달 특성"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41-56, 2015
18 변찬석,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통합교육 관련요인에 대한 인식수준과 만족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5 (25): 215-238, 2009
19 지종민,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천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181-205, 2010
20 박창언, "중등 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381-395, 2012
21 이현주, "중등 예비교사의 통합교육 교수 효능감과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117-140, 2018
22 백수진, "장애인의 행복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메타포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20 (20): 1-26, 2018
23 우충완, "장애인식 관련 연극수행활동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입장과 견해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23-46, 2017
24 서희선, "장애이해 교육과 통합교육 경험이 초등학교 학생의 장애인식 및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국립특수교육원 16 (16): 63-82, 2009
25 황정희, "장애 유아 통합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39-262, 2012
26 박주경, "자기결정학습모형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15-139, 2011
27 정정은,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을 활용한 교수적 지원이 통합된 중학교 장애학생의 과학과 수업참여행동 및 수행평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83-205, 2012
28 이옥인, "자기결정 기술이 포함된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이 통합된 학습장애 아동의 학업성취 및 자기결정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153-175, 2010
29 이연선,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53-275, 2015
30 류수민, "은유(metaphor) 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169-188, 2015
31 유솔아, "은유 분석을 통해 본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117-145, 2011
32 김자경, "예비일반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을 통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 효능감 변화" 한국학습장애학회 10 (10): 93-110, 2013
33 서유진, "예비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학개론 과목이수와 통합학급 교육실습 경험을 통한 교사효능감과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변화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91-325, 2010
34 이대식,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필요한 일반교육의 조건" 한국통합교육학회 2 (2): 1-27, 2007
35 Lakoff, G.,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36 장혜원, "사회성을 촉진하는 음악활동이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23-249, 2011
37 정광조, "국내 통합교육의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중재반응모형 가능성 탐색- 통합학급에서의 교육과정적 통합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통합교육학회 9 (9): 159-184, 2014
38 주미경, "고등학교 과정에서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일반교육교원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397-420, 2009
39 임지룡, "개념적 은유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20 : 29-60, 2006
40 서보순, "‘장애대학생’ 및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다니는 대학’에 관한 비장애대학생들의 메타포(metaphor)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3 (13): 317-347, 2014
41 Kirk, R., "The link between university course work and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learning needs" 32 (32): 153-160, 1998
42 Lee. S. H.,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in inclusive settings" Hakjisa 2006
43 Shuell, T. J., "Teaching and learning as problem solving" 29 : 102-108, 1990
44 Bender, W. N., "Teachers' attitudes to increased mainstraming : Implementing effective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28 : 87-94, 1995
45 McDonnell, J., "Supporting the inclusion of stud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disabilities in junior high school general education classes : The effects of classwide peer tutoring, multi-element curriculum, and accommodations" 24 (24): 141-160, 2001
46 Park, S. H., "Social validation of the components of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4 (4): 72-120, 2000
47 Saban, A., "Prospective teachers'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of leaner" 26 : 290-305, 2010
48 Garriott, P. P.,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inclusive education : What should teacher educators know?" 25 (25): 48-54, 2003
49 Jordan, A., "Preparing teachers for inclusive classrooms" 25 (25): 535-542, 2009
50 Carter, E. W., "Peer interactions and academic engagement of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inclusive middle and high school classrooms" 113 (113): 479-494, 2008
51 Lakoff, G., "Metaphors we live b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52 Katz, J.,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educational outcom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inclusive “multiple intelligences” and typical inclusive classrooms" 27 (27): 227-238, 2002
53 The Korean Society of inclusive Education, "Inclusive Education" Hakjisa 2005
54 Sharma, U., "Impact of training o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and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and sentiments about persons with disabilities" 23 (23): 773-785, 2008
55 Copeland, S. R., "High school peer buddies : A win–win situation" 35 : 16-21, 2002
56 Shade, R. A.,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on" 46 (46): 37-, 2001
57 Korkmarz, H., "Exploring first grade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using metaphors : implications for medical curricular" 19 : 1-7, 2014
58 Park, S. H.,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in Korea" Gyoyukgwahaksa 2003
59 Fisher, M., "Development and social competence after two years for students enrolled in inclusive and self-contained educational programs" 27 (27): 165-174, 2002
60 Huberman, A. M.,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s" Sage Publications, Inc 1994
61 Hunt, P., "Collaborative teaming to support students at risk and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69 (69): 315-332, 2003
62 Byun, C. S., "A Study on the Parents Attitude toward Inclusion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9 (9): 25-37, 2003
63 Park, E. 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Education Policy" Ministry of Education 2015
64 Hwang, S. J., "A Study of Teachers' Recognition of and Their Attitudes toward Integration" 13 (13): 153-179, 2000
65 Ministry of Education, "2018 특수교육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