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7404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 형태사항

        iii, 77장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미숙
        참고문헌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52-000000230975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quality of childcar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xplain the effect of childcare. Since interaction in childcare is a key factor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childcare, the core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required by childcare teachers are important to promote the overall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ho spend the basic period of forming personality with childcare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ield of childcare I try to find out what interaction methods are affected by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care and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of evaluative accreditation specifically included in the expertise of childcare teachers. I also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develop the practical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infant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3) What is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6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fter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of 50 childcare teacher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ndex of the childcare courses and interaction areas among the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of the 31 evaluative items of the childcare courses and interaction areas related to interaction among the 4 evaluation areas of the 3rd childcare center evaluation accreditation in 2018 were confirm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en, 26 evaluation indicators were used as a tool for recognition of the index of the childcare courses and interaction areas among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areas.
      Second, in order to measur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est tool used the questionnaires of Kang Byung-jae and Baek Young-sook(2013) who modified their self-assessment questionnaires of Lee Jeong-sook(2003) that was based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rating scale(Bredekamp and Apple, 1986; Howes and Smith, 199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verify the reliability between the questionnaires of the measurement too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calcul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on the general tendency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by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mong the evaluation area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high level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care course and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interaction area among the evaluation areas of the childcare teache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career of childcare teachers,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influenced emotional,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recognition index of interaction had a little more influence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an the recognition index of childcare course.
      In conclusion, it means that the higher is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childcare process and the interaction among the evaluation areas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 more influential is it to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However, a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eachers in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is increasing through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o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n essential element of professionalism that the childcare teachers should hav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inform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which is the basic manual of the evalu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childcare teachers, especi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rough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index so that the childcare teachers can recognize and implement it that is gradually simplified more specifically and comprehensively, and to achieve the higher quality evaluation certification effect. In addition, it also needs follow-up studies along with various policies that can help realistically such as adjustment of teacher-to-child ratio, support of assistant teachers in childcare field, and even adjustment of commute time for dual-income parent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quality of childcare is the most important f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quality of childcar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xplain the effect of childcare. Since interaction in childcare is a key factor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childcare, the core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required by childcare teachers are important to promote the overall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ho spend the basic period of forming personality with childcare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ield of childcare I try to find out what interaction methods are affected by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care and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of evaluative accreditation specifically included in the expertise of childcare teachers. I also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develop the practical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infant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3) What is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6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fter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of 50 childcare teacher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ndex of the childcare courses and interaction areas among the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of the 31 evaluative items of the childcare courses and interaction areas related to interaction among the 4 evaluation areas of the 3rd childcare center evaluation accreditation in 2018 were confirm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en, 26 evaluation indicators were used as a tool for recognition of the index of the childcare courses and interaction areas among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areas.
      Second, in order to measur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est tool used the questionnaires of Kang Byung-jae and Baek Young-sook(2013) who modified their self-assessment questionnaires of Lee Jeong-sook(2003) that was based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rating scale(Bredekamp and Apple, 1986; Howes and Smith, 199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verify the reliability between the questionnaires of the measurement too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calcul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on the general tendency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by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f childcare teacher,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mong the evaluation area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high level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care course and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interaction area among the evaluation areas of the childcare teache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area among evaluative accreditation area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career of childcare teachers, the recognition of the index for childcare course and interaction influenced emotional,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recognition index of interaction had a little more influence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an the recognition index of childcare course.
      In conclusion, it means that the higher is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childcare process and the interaction among the evaluation areas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 more influential is it to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However, a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eachers in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is increasing through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o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n essential element of professionalism that the childcare teachers should hav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inform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 recognition index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which is the basic manual of the evalu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childcare teachers, especi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rough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index so that the childcare teachers can recognize and implement it that is gradually simplified more specifically and comprehensively, and to achieve the higher quality evaluation certification effect. In addition, it also needs follow-up studies along with various policies that can help realistically such as adjustment of teacher-to-child ratio, support of assistant teachers in childcare field, and even adjustment of commute time for dual-income par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보육의 질은 보육효과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보육에서의 상호작용은 보육의 성과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인 만큼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와 함께 인격이 형성되는 기초적 시기를 보내는 영유아들의 전인적인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과 전문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육현장에 있어서 영유아 보육의 질적 향상과 보육교사 전문성에 구체적으로 포함되는 평가인증 지표인식이 어떠한 상호작용 방법에 영향을 주는지 알고 실행능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계발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려고 한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50명의 1차 예비조사 후 246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2018년 제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의 4개의 평가영역 중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는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의 31개의 지표 평가항목의 내용이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는지를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하여 26개의 평가지표를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의 도구로 설문지에 사용하였다.
      두 번째,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검사 도구는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Bredekamp and Apple, 1986;Howes and Smith, 1995)를 기초로 수정한 이정숙(2003)의 연구도구를 강병재, 백영숙(2013)이 영유아 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자기 보고식 평정척도 연구도구로 하여 설문지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문항 간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고,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 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 평가 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모두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두 번째, 보육교사의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지표인식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 요소인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며 보육과정 지표의 인식 보다는 상호작용 지표의 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조금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높아지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평가인증 지표인식을 통해 보육교사가 영유아와 생활함에 있어 영유아의 상호작용에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해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지금, 영유아 보육교사가 갖추어야할 전문성의 필수 요소로 평가인증 지표에 대한 인식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평가인증을 통해 보육시설의 질적 향상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특히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의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무엇보다 보육교사들이 평가인증의 기본 매뉴얼인 평가인증 지표에 대한 인식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알려줘야 함을 연구의 의의로 둔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함께 점차 간소화 되어지는 평가인증지표에 대해 보육교사가 보다 구체적이고 포괄적으로 인식하고 실행하여 보다 질적으로 높은 평가인증의 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평가인증 지표 간소화뿐만 아니라 보육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사 대 영유아 비율 조정, 보조교사 지원 등과 함께 맞벌이 부모를 위한 출퇴근 시간 조절 등의 현실적으로 도와 줄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함께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보육의 질은 보육효과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

      본 연구는 보육교사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보육의 질은 보육효과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보육에서의 상호작용은 보육의 성과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인 만큼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와 함께 인격이 형성되는 기초적 시기를 보내는 영유아들의 전인적인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과 전문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육현장에 있어서 영유아 보육의 질적 향상과 보육교사 전문성에 구체적으로 포함되는 평가인증 지표인식이 어떠한 상호작용 방법에 영향을 주는지 알고 실행능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계발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려고 한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50명의 1차 예비조사 후 246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2018년 제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의 4개의 평가영역 중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는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의 31개의 지표 평가항목의 내용이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는지를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하여 26개의 평가지표를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의 도구로 설문지에 사용하였다.
      두 번째,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검사 도구는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Bredekamp and Apple, 1986;Howes and Smith, 1995)를 기초로 수정한 이정숙(2003)의 연구도구를 강병재, 백영숙(2013)이 영유아 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자기 보고식 평정척도 연구도구로 하여 설문지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문항 간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고,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 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보육교사 평가 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모두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두 번째, 보육교사의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지표인식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 요소인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며 보육과정 지표의 인식 보다는 상호작용 지표의 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조금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평가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이 높아지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평가인증 지표인식을 통해 보육교사가 영유아와 생활함에 있어 영유아의 상호작용에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해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지금, 영유아 보육교사가 갖추어야할 전문성의 필수 요소로 평가인증 지표에 대한 인식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평가인증을 통해 보육시설의 질적 향상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특히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의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무엇보다 보육교사들이 평가인증의 기본 매뉴얼인 평가인증 지표에 대한 인식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알려줘야 함을 연구의 의의로 둔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함께 점차 간소화 되어지는 평가인증지표에 대해 보육교사가 보다 구체적이고 포괄적으로 인식하고 실행하여 보다 질적으로 높은 평가인증의 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평가인증 지표 간소화뿐만 아니라 보육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사 대 영유아 비율 조정, 보조교사 지원 등과 함께 맞벌이 부모를 위한 출퇴근 시간 조절 등의 현실적으로 도와 줄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함께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정리 7
      • Ⅱ. 이론적 배경 9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정리 7
      • Ⅱ. 이론적 배경 9
      • 1. 평가인증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 지표 9
      • 1) 어린이집 평가인증의 이해 및 개요 9
      • 2) 평가인증 지표의 구성영역 및 요소 12
      • 3) 보육과정 영역 지표인식에 대한 선행연구 14
      • 4) 상호작용 영역 지표인식에 대한 선행연구 15
      • 2.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17
      • 1)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개념 17
      • 2)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구성요소 18
      • 3)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선행연구 21
      • 3.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지표인식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23
      • Ⅲ. 연구방법 29
      • 1. 연구대상 29
      • 2. 연구절차 32
      • 3. 연구도구 33
      • 4. 자료분석 36
      • Ⅳ. 연구 결과 37
      • 1. 주요 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성 37
      • 2.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지표인식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상관관계 40
      • 3. 평가인증 영역 중 보육과정과 상호작용 지표인식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42
      • Ⅴ. 논의 및 결론 46
      • 1. 요약 46
      • 2. 논의 및 결론 48
      •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4
      • 참고문헌 57
      • <부 록> 설문지 63
      • 국문초록 69
      • Abstract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