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어머니들의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 Korean Elementary School Par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garding their Children's English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910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elementary school mot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garding their children’s English education. Ten elementary school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twenty in-depth interviews. Two interviews for each participant were analyzed in three main recurring themes: (1) elementary school mothers' perceptions of English education, (2) difficulties in English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3) suggestions for a successful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program. All of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at English was an important part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they expressed different opinions as to when children should begin to learn English. Some believed that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s easier when one is younger, favoring early English education; however, others believed that young children do not possess the cognitive abilities to cope with the pressures of learning another language, thus favoring the idea of delayed English education.
      Despite the differences, most participants agreed that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 offered in the public schools was not adequate, and that private lessons were necessary if their children were to succeed in English. The participants further indicated that more support was required from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school system. Suggestions of extending English class hours, implementing English immersion programs, and maintaining qualified English teachers were made.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elementary school mot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garding their children’s English education. Ten elementary school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twenty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investigates elementary school mot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garding their children’s English education. Ten elementary school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twenty in-depth interviews. Two interviews for each participant were analyzed in three main recurring themes: (1) elementary school mothers' perceptions of English education, (2) difficulties in English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3) suggestions for a successful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program. All of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at English was an important part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they expressed different opinions as to when children should begin to learn English. Some believed that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s easier when one is younger, favoring early English education; however, others believed that young children do not possess the cognitive abilities to cope with the pressures of learning another language, thus favoring the idea of delayed English education.
      Despite the differences, most participants agreed that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 offered in the public schools was not adequate, and that private lessons were necessary if their children were to succeed in English. The participants further indicated that more support was required from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school system. Suggestions of extending English class hours, implementing English immersion programs, and maintaining qualified English teachers were ma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초등학생을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탐구한 질적 연구이다. 인천광역시의 한 초등학교의 어머니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질적 자료는 각 참여자당 2회씩 모두 20회의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1회 평균 면담 시간은 60분이었다. 면담 자료 분석 결과, 3가지 주요 주제가 순환 또는 반복되어 나타났다. 첫 번째 주제는 ‘어머니들의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이었으며, 두 번째 주제는 ‘초등학생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어려움,’ 그리고 마지막으로 ‘초등학생 자녀 영어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지원들’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녀 영어교육에 있어서 영어능력을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어교육 시작 시기에 대해서는 의견이 달랐다. 그들 중 일부는 외국어는 일찍 배울수록 리하다고 생각하고 영어 조기 교육을 선호하였다. 반면, 다른 참여자들은 외국어 학습에서 오는 압감을 견디기에 초등학생들은 인지적 능력이 부족하므로 영어 조기 교육에 반대하였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자녀 영어교육이 공교육만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여기고,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 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들은 또한 정부와 학교에서 자녀 영어 교육을 위해 더 많은 지원을 하여야 한다고 말하였다. 예를 들어, 영어 수업 시수 및 시간 확대, 몰입 학습 프로그램 개설, 그리고 유능한 교사 확보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초등학생을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탐구한 질적 연구이다. 인천광역시의 한 초등학교의 어머니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질적 자료는 각 ...

      본 논문은 초등학생을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탐구한 질적 연구이다. 인천광역시의 한 초등학교의 어머니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질적 자료는 각 참여자당 2회씩 모두 20회의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1회 평균 면담 시간은 60분이었다. 면담 자료 분석 결과, 3가지 주요 주제가 순환 또는 반복되어 나타났다. 첫 번째 주제는 ‘어머니들의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이었으며, 두 번째 주제는 ‘초등학생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어려움,’ 그리고 마지막으로 ‘초등학생 자녀 영어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지원들’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녀 영어교육에 있어서 영어능력을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어교육 시작 시기에 대해서는 의견이 달랐다. 그들 중 일부는 외국어는 일찍 배울수록 리하다고 생각하고 영어 조기 교육을 선호하였다. 반면, 다른 참여자들은 외국어 학습에서 오는 압감을 견디기에 초등학생들은 인지적 능력이 부족하므로 영어 조기 교육에 반대하였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자녀 영어교육이 공교육만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여기고,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 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들은 또한 정부와 학교에서 자녀 영어 교육을 위해 더 많은 지원을 하여야 한다고 말하였다. 예를 들어, 영어 수업 시수 및 시간 확대, 몰입 학습 프로그램 개설, 그리고 유능한 교사 확보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문제
      • II. 문헌 연구
      • 1. 학부모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문제
      • II. 문헌 연구
      • 1. 학부모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 2. 학부모의 초등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 III.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자료 수집
      • 3. 자료 분석
      • IV. 연구결과
      • 1.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 2. 초등학생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어려움
      • 3. 초등학생 자녀 영어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지원들
      • 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유진, "현행 초등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2007

      2 김영천,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35 (35): 135-170, 1997

      3 송승민, "총체적 언어접근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에서의 실제 문해활동과의 관계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4 (14): 401-409, 2005

      4 정인자,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조기영어교육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2005

      5 이윤영, "초등학생 학부모들의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경인교육대학교 2008

      6 김미숙, "초등학생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도 연구" 창원대학교 2006

      7 박명희,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2005

      8 김명희, "초등영어교육에 관한 학부모 설문조사 연구" 52 (52): 229-241, 1997

      9 최진숙, "초등단계에 영어조기유학을 하고 귀국한 학생들의 학부모 포커스그룹인터뷰" 대한언어학회 15 (15): 77-98, 2007

      10 장복명, "천안지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현황분석 및 사, 학부모 인식도 조사" 5 : 191-228, 1999

      1 장유진, "현행 초등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2007

      2 김영천,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35 (35): 135-170, 1997

      3 송승민, "총체적 언어접근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에서의 실제 문해활동과의 관계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4 (14): 401-409, 2005

      4 정인자,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조기영어교육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2005

      5 이윤영, "초등학생 학부모들의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경인교육대학교 2008

      6 김미숙, "초등학생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도 연구" 창원대학교 2006

      7 박명희,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2005

      8 김명희, "초등영어교육에 관한 학부모 설문조사 연구" 52 (52): 229-241, 1997

      9 최진숙, "초등단계에 영어조기유학을 하고 귀국한 학생들의 학부모 포커스그룹인터뷰" 대한언어학회 15 (15): 77-98, 2007

      10 장복명, "천안지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현황분석 및 사, 학부모 인식도 조사" 5 : 191-228, 1999

      11 이정승, "조기영어교육의 필요성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2003

      12 안영애,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중앙대학교 2005

      13 김명선,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의 의식 및 실태 조사" 수원대학교 2006

      14 한유미, "조기영어교육 실태와 어머니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20 : 325-342, 1997

      15 이명조, "조기영어교육 시작시기에 대한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3 (13): 399-418, 2006

      16 김은아,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1995

      17 이숙영,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와 의식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1

      18 정의영, "영어 조기 교육 실태 및 어머니의 인식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2

      19 차종숙, "영어 사교육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연구" 안동대학교 2006

      20 정호진, "어머니의 조기영어교육 인식 및 참여가 어린이 영어의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4 (4): 495-506, 2000

      21 이현주, "어린이집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원장,교사의 인식조사" 8 (8): 1-24, 2004

      22 이은경, "가정환경이 아동의 영어성적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 태도 및 가족 변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0

      23 이숙자, "가정에서 유아의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1

      24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Revised and expanded from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Jossey-Bass Inc. 1998

      25 Patton,M.Q, "Qualitative Education Methods. (2nd ed.)" Sage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