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포문의 오류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Error Analysis of the Embedded Sentences in Korean Writing for Vietnamese Learn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682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mbedded sentence error occured in essays of 80 students from Hue University. In chapter one, the purpose, method of this study and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were mentioned. In chapter two, based on the differences of embedded sentence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a hypothesis of the error analysis were proposed. In chapter 3, the numbers of different grammar and spelling errors were calculated. One of our significant results was that 23.31% of total errors was the embedded sentence error which was also the second most common one. Our result suggested that using embeded sentence could be quite difficult for Vietnamese students. Regard to embeded sentence errors, adnominal clause was the most common reason. Among student groups, from the first-year to the forth-year student group, the third-year students tended to make more mistake than others. This could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third year students used complex sentences more often than the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who prefered to use simple sentence. Compared with all other kinds of errors, substitution errors were the most common one. Because different types of sentence ending could have the same meaning but must be used in different situation, students may feel confused. The present study also pointed out 2 reasons for embedded sentence error: the error influenced by their native tongue and the error influenced by the target language. The error influenced by their native tongue could lead to omission the ending since Vietnamese language had no ending part while the error influenced by the target language were commonly found as relative tense errors.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the present study. The direct interview, which could give strong support for the conclusion, was not conducted. Furthermore, errors occurred in speaking language was not evaluated. The study could not suggest any better method in teaching embedded sentence for certain type of student. However,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be a valuable reference for improving teaching embedded sentence for Vietnamese students.
      번역하기

      Abstract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mbedded sentence error occured in essays of 80 students from Hue University. In chapter one, the purpose, method of this study and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were mentioned. In chapter two, based o...

      Abstract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mbedded sentence error occured in essays of 80 students from Hue University. In chapter one, the purpose, method of this study and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were mentioned. In chapter two, based on the differences of embedded sentence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a hypothesis of the error analysis were proposed. In chapter 3, the numbers of different grammar and spelling errors were calculated. One of our significant results was that 23.31% of total errors was the embedded sentence error which was also the second most common one. Our result suggested that using embeded sentence could be quite difficult for Vietnamese students. Regard to embeded sentence errors, adnominal clause was the most common reason. Among student groups, from the first-year to the forth-year student group, the third-year students tended to make more mistake than others. This could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third year students used complex sentences more often than the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who prefered to use simple sentence. Compared with all other kinds of errors, substitution errors were the most common one. Because different types of sentence ending could have the same meaning but must be used in different situation, students may feel confused. The present study also pointed out 2 reasons for embedded sentence error: the error influenced by their native tongue and the error influenced by the target language. The error influenced by their native tongue could lead to omission the ending since Vietnamese language had no ending part while the error influenced by the target language were commonly found as relative tense errors.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the present study. The direct interview, which could give strong support for the conclusion, was not conducted. Furthermore, errors occurred in speaking language was not evaluated. The study could not suggest any better method in teaching embedded sentence for certain type of student. However,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be a valuable reference for improving teaching embedded sentence for Vietnamese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포문의 오류 양상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제출자: 딩티투히엔( Dinh Thi Thu Hien)
      지도교수: 서종학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포문 사용을 관찰하여 내포문 오류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교육 방안을 제언하는 목적을 위하여 작성된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4 가지 분석 철자를 거쳤다. 첫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어휘적 문법적 오류 양상을 전체적으로 분류하고, 내포문 재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기 위해 내포문 오류가 전체 오류 중에서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 통계를 냈다. 둘째, 한국어 내포문 및 베트남어 내포문에 대해서 파악하고 두 언어의 내포문 구성이 어떻게 각별한지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학습자 오류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셋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내포문 오류를 유형별로 학년별로 분석하였고 오류 유형은 내포문을 만든 어미 누락, 내포문 대치, 내포문 첨가, 내포문 환언, 형태론적인 오류, 관형사절 누락, 보문명사 오류 등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오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내포문 교육 현황 및 베트남인 학습자에 맞는 내포문 교육 방안을 제언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내포문 종류 오류 중에 가장 어렵고 복잡한 관형사절 오류가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학년별로 내포문 오류율은 3학년이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3학년에 올라가면서 단순한 문장보다 복잡한 문장을 많이 쓰게 되는데, 내포문 쓰임에 대한 지식이 별로 많지 않아서 오류가 제일 많이 발생한다. 전성어미의 누락, 대치, 첨가, 환언, 형태적 오류, 관형사절 누락 오류, 보문명사 오류 유형 중에 대치 오류는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의미가 비슷하지만 쓰임이 다른 전성어미이기 때문에 오류가 많이 생겼다. 이러한 오류 양상 분석을 바탕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내포문 오류 원인을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와 목표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 두 가지로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로는 어미와 조사가 없는 베트남어 문법의 영향으로 어미, 조사 누락 오류, 관형사절 오류에서의 ‘것’ 보문명사 누락 오류, 그리고 베트남어 표현을 한국어로 그대로 번역해서 생긴 오류 등 3 가지가 있다.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로는 굳은 문형에 의한 오류, 품사에 의한 오류, 긴 관형사형 및 짧은 관형사형을 구별하지 못해서 생긴 오류, 주어 및 술어 호응 관계에 의한 오류, ‘-기’ 및 ‘-는 것’의 의미가 비슷해서 생긴 오류, 시제에 의한 오류, 어순에 의한 오류 등 7 가지가 이에 해당되었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통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내포문 교육에 보탬이 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라 기대한다.
      주제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작문 오류 분석, 내포문 오류 양상
      번역하기

      국문초록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포문의 오류 양상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

      국문초록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포문의 오류 양상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제출자: 딩티투히엔( Dinh Thi Thu Hien)
      지도교수: 서종학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포문 사용을 관찰하여 내포문 오류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교육 방안을 제언하는 목적을 위하여 작성된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4 가지 분석 철자를 거쳤다. 첫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어휘적 문법적 오류 양상을 전체적으로 분류하고, 내포문 재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기 위해 내포문 오류가 전체 오류 중에서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 통계를 냈다. 둘째, 한국어 내포문 및 베트남어 내포문에 대해서 파악하고 두 언어의 내포문 구성이 어떻게 각별한지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학습자 오류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셋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내포문 오류를 유형별로 학년별로 분석하였고 오류 유형은 내포문을 만든 어미 누락, 내포문 대치, 내포문 첨가, 내포문 환언, 형태론적인 오류, 관형사절 누락, 보문명사 오류 등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오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내포문 교육 현황 및 베트남인 학습자에 맞는 내포문 교육 방안을 제언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내포문 종류 오류 중에 가장 어렵고 복잡한 관형사절 오류가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학년별로 내포문 오류율은 3학년이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3학년에 올라가면서 단순한 문장보다 복잡한 문장을 많이 쓰게 되는데, 내포문 쓰임에 대한 지식이 별로 많지 않아서 오류가 제일 많이 발생한다. 전성어미의 누락, 대치, 첨가, 환언, 형태적 오류, 관형사절 누락 오류, 보문명사 오류 유형 중에 대치 오류는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의미가 비슷하지만 쓰임이 다른 전성어미이기 때문에 오류가 많이 생겼다. 이러한 오류 양상 분석을 바탕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내포문 오류 원인을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와 목표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 두 가지로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로는 어미와 조사가 없는 베트남어 문법의 영향으로 어미, 조사 누락 오류, 관형사절 오류에서의 ‘것’ 보문명사 누락 오류, 그리고 베트남어 표현을 한국어로 그대로 번역해서 생긴 오류 등 3 가지가 있다.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로는 굳은 문형에 의한 오류, 품사에 의한 오류, 긴 관형사형 및 짧은 관형사형을 구별하지 못해서 생긴 오류, 주어 및 술어 호응 관계에 의한 오류, ‘-기’ 및 ‘-는 것’의 의미가 비슷해서 생긴 오류, 시제에 의한 오류, 어순에 의한 오류 등 7 가지가 이에 해당되었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통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내포문 교육에 보탬이 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라 기대한다.
      주제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작문 오류 분석, 내포문 오류 양상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연구 방법 3
      • 1.2.1. 연구 대상 및 범위 3
      • 1.2.2. 자료 분석 절차 8
      • I. 서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연구 방법 3
      • 1.2.1. 연구 대상 및 범위 3
      • 1.2.2. 자료 분석 절차 8
      • 1.3. 선행연구 분석 9
      • 1.3.1. 오류 분석에 관한 연구 9
      • 1.3.2. 베트남인 학습자 대상 오류 분석 연구 11
      • 1.3.3. 한국어 내포문에 관한 연구 13
      • 1.3.4. 한국어 교육에서 내포문 오류 분석에 관한 연구 15
      • II. 이론적 배경 17
      • 2.1. 한국어 내포문과 베트남어 내포문 대조 17
      • 2.1.1. 한국어 내포문 18
      • 2.1.2. 베트남어 내포문 23
      • 2.1.3. 한국어 내포문과 베트남어 내포문(câu phức) 대조 27
      • 2.2. 오류에 대한 관점 29
      • 2.2.1. 대조분석 가설 29
      • 2.2.2. 오류분석 가설 30
      • III. 베트남인 학습자의 내포문 사용 오류 양상 분석 34
      • 3.1. 어휘적 오류 및 문법적 오류 34
      • 3.2. 학년별 내포문의 사용률과 오류율 35
      • 3.2.1. 명사절 사용비율 및 오류비율 36
      • 3.2.2. 관형사절 사용비율 및 오류비율 37
      • 3.2.3. 부사절 사용비율 및 오류비율 38
      • 3.2.4. 인용절 사용비율 및 오류비율 39
      • 3.3. 유형별 내포문 사용 오류 분석 40
      • 3.3.1. 명사절 오류의 유형 41
      • 3.3.2. 관형사절 오류의 유형 47
      • 3.3.3. 부사절 오류의 유형 68
      • 3.3.4. 인용절 오류의 유형 73
      • 3.4. 오류 원인 분석 75
      • 3.4.1. 모국어 영향에 의한 오류 76
      • 3.4.2. 목표어 영향에 의한 오류 78
      • 3.5. 결과 및 제언 82
      • IV. 결론 85
      • 참고문헌 87
      • Abstract 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