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포문의 오류 양상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
국문초록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포문의 오류 양상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제출자: 딩티투히엔( Dinh Thi Thu Hien)
지도교수: 서종학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내포문 사용을 관찰하여 내포문 오류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교육 방안을 제언하는 목적을 위하여 작성된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4 가지 분석 철자를 거쳤다. 첫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어휘적 문법적 오류 양상을 전체적으로 분류하고, 내포문 재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기 위해 내포문 오류가 전체 오류 중에서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 통계를 냈다. 둘째, 한국어 내포문 및 베트남어 내포문에 대해서 파악하고 두 언어의 내포문 구성이 어떻게 각별한지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학습자 오류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셋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내포문 오류를 유형별로 학년별로 분석하였고 오류 유형은 내포문을 만든 어미 누락, 내포문 대치, 내포문 첨가, 내포문 환언, 형태론적인 오류, 관형사절 누락, 보문명사 오류 등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오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내포문 교육 현황 및 베트남인 학습자에 맞는 내포문 교육 방안을 제언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내포문 종류 오류 중에 가장 어렵고 복잡한 관형사절 오류가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학년별로 내포문 오류율은 3학년이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3학년에 올라가면서 단순한 문장보다 복잡한 문장을 많이 쓰게 되는데, 내포문 쓰임에 대한 지식이 별로 많지 않아서 오류가 제일 많이 발생한다. 전성어미의 누락, 대치, 첨가, 환언, 형태적 오류, 관형사절 누락 오류, 보문명사 오류 유형 중에 대치 오류는 제일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의미가 비슷하지만 쓰임이 다른 전성어미이기 때문에 오류가 많이 생겼다. 이러한 오류 양상 분석을 바탕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내포문 오류 원인을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와 목표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 두 가지로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로는 어미와 조사가 없는 베트남어 문법의 영향으로 어미, 조사 누락 오류, 관형사절 오류에서의 ‘것’ 보문명사 누락 오류, 그리고 베트남어 표현을 한국어로 그대로 번역해서 생긴 오류 등 3 가지가 있다.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로는 굳은 문형에 의한 오류, 품사에 의한 오류, 긴 관형사형 및 짧은 관형사형을 구별하지 못해서 생긴 오류, 주어 및 술어 호응 관계에 의한 오류, ‘-기’ 및 ‘-는 것’의 의미가 비슷해서 생긴 오류, 시제에 의한 오류, 어순에 의한 오류 등 7 가지가 이에 해당되었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통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내포문 교육에 보탬이 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라 기대한다.
주제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작문 오류 분석, 내포문 오류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