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보행공간 경계요소에 있어서 디지털 매체를 통한 정서적 변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motional Versatility of Boundary Elements in Pedestrian Spaces through Digital Med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549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oundaries of modern pedestrian spaces have evolved into multi-layered environments that integrate physical demarc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information provision, and aesthetic experiences. However, these changes often fail to fully address pedestrians’ emotional needs. Boundary spaces combined with digital media tend to provide excessive information and focus on commercial elements, making it difficult for pedestrians to experience consistent emotional stability while limiting opportunities for social bonding. This study aims to redefine boundary elements beyond their physical functions by emphasizing their role in enhancing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connectedness. Through the integration of digital media,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offering pedestrians meaningful and emotionally supportive experiences.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s the fundamental meaning of boundary elements, categorizes them by their attributes, and analyzes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impacts. Additionally, it investigates case studies on digital media applications to identify how boundary elements can create emotionally engaging spatial experienc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when physical boundaries are transformed into media-based elements, pedestrians can achiev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nriched emotional experiences. This transformation supports public, artistic, and social interactions, emphasizing the potential of boundary elements as multi-dimensional mediators. The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applying this transformation framework in real-world pedestrian environments and suggests future empirical research for validation.
      번역하기

      The boundaries of modern pedestrian spaces have evolved into multi-layered environments that integrate physical demarc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information provision, and aesthetic experiences. However, these changes often fail to fully address ...

      The boundaries of modern pedestrian spaces have evolved into multi-layered environments that integrate physical demarc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information provision, and aesthetic experiences. However, these changes often fail to fully address pedestrians’ emotional needs. Boundary spaces combined with digital media tend to provide excessive information and focus on commercial elements, making it difficult for pedestrians to experience consistent emotional stability while limiting opportunities for social bonding. This study aims to redefine boundary elements beyond their physical functions by emphasizing their role in enhancing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connectedness. Through the integration of digital media,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offering pedestrians meaningful and emotionally supportive experiences.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s the fundamental meaning of boundary elements, categorizes them by their attributes, and analyzes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impacts. Additionally, it investigates case studies on digital media applications to identify how boundary elements can create emotionally engaging spatial experienc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when physical boundaries are transformed into media-based elements, pedestrians can achiev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nriched emotional experiences. This transformation supports public, artistic, and social interactions, emphasizing the potential of boundary elements as multi-dimensional mediators. The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applying this transformation framework in real-world pedestrian environments and suggests future empirical research for valid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보행공간의 경계는 물리적 구획을 넘어 심리적 안정감, 정보 제공, 미적 경험을 통합하는 다층적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이러한 변화가 보행자의 정서적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매체와 결합된 경계공간은 과도한 정보와 상업적 요소로 인해 보행자가 일관된 정서적 경험을 느끼기 어려우며, 사회적 유대감 형성에도 한계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경계요소를 물리적 경계를 넘어 보행자의 정서적 안정과 유대감을 강화하는 매개체로 재정의하고자 하며, 디지털 매체와의 결합을 통해 보행자에게 유익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경계요소의 근본적 의미를 고찰하고, 유형별 속성과 신체적·심리적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디지털 매체를 적용한 경계 변용 사례를 통해 정서적 공간 경험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경계가 매체적 경계로 변용될 때 보행자는 심리적 안정과 정서적 체험을 강화할 수 있으며, 공공적·예술적·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변용 체계의 실질적 적용과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현대 보행공간의 경계는 물리적 구획을 넘어 심리적 안정감, 정보 제공, 미적 경험을 통합하는 다층적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이러한 변화가 보행자의 정서적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

      현대 보행공간의 경계는 물리적 구획을 넘어 심리적 안정감, 정보 제공, 미적 경험을 통합하는 다층적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이러한 변화가 보행자의 정서적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매체와 결합된 경계공간은 과도한 정보와 상업적 요소로 인해 보행자가 일관된 정서적 경험을 느끼기 어려우며, 사회적 유대감 형성에도 한계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경계요소를 물리적 경계를 넘어 보행자의 정서적 안정과 유대감을 강화하는 매개체로 재정의하고자 하며, 디지털 매체와의 결합을 통해 보행자에게 유익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경계요소의 근본적 의미를 고찰하고, 유형별 속성과 신체적·심리적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디지털 매체를 적용한 경계 변용 사례를 통해 정서적 공간 경험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경계가 매체적 경계로 변용될 때 보행자는 심리적 안정과 정서적 체험을 강화할 수 있으며, 공공적·예술적·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변용 체계의 실질적 적용과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