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구어적 관습과 문어적 관습이 운율 형성에 어떻게 관여했는가에 대한 시론적인 연구다. 운율이 시가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가 하는 존재론적 차원이 아니라, 운율의 발생론적 문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61635
2015
Korean
언어 관습 ; 문학적 관습 ; 문어 ; 구어 ; 고려속요 ; 운율 ; 말뭉치 ; lLanguage Convention ; Literary Convention ; Literal language ; Oral language ; Goryeo Sokyo(高麗俗謠) ; Prosody ; Corpus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289-318(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구어적 관습과 문어적 관습이 운율 형성에 어떻게 관여했는가에 대한 시론적인 연구다. 운율이 시가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가 하는 존재론적 차원이 아니라, 운율의 발생론적 문제...
본고는 구어적 관습과 문어적 관습이 운율 형성에 어떻게 관여했는가에 대한 시론적인 연구다. 운율이 시가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가 하는 존재론적 차원이 아니라, 운율의 발생론적 문제를 파헤치고자 하였다. 서양의 운율론이 문어로 작성된 시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우리의 경우에는 구전 전승되던 노래들이 문헌에 정착된 것들이 대부분이라는 점도 본고에서 논의의 전제로 삼은 것이었다. 분석 대상으로 삼았던 고려속요가 조선조에 문자화 되었기에 중세 국어에서의 구어와 문어를 구분했고, 속요의 어떤 표현이 구어적인가 문어적인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중세 국어자료를 최대한 확보하는 일이 필요했다. 그래서 21세기세종계획의 말뭉치를 기본 검색 자료로 하여 용례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검색하여 구어적 층위와 문어적 층위에서의 영향에 대해 면밀하게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구어 층위의 언어관습으로는 비규범적 표현, 맥락 의존적 생략, 말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주저음과 감탄음, 속담의 변용, 방언과 토속어의 사용을, 문어 층위의 언어관습으로는 불경 언해류의 관습적 표현, 현토식 표현, 번역식 표현, 문언문 노출, 타장르의 관습 차용을 속요 텍스트에서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각각의 언어 관습이 어떻게 한 작품에 나타나는지를 제시하였다. 본고를 통해 우리 시가의 운율 형성에 미친 언어 관습과 문학적 관습의 양상에 대한 학술적 관심이 제고되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uld be preliminary study on how spoken language convention and written language convention got involved in building up the korean prosody. I have tried to deal with genetic aspect of the korean prosody, not with ontologistic aspect that is abou...
This would be preliminary study on how spoken language convention and written language convention got involved in building up the korean prosody. I have tried to deal with genetic aspect of the korean prosody, not with ontologistic aspect that is about how rhythms of poetry were formulated. The major premise is that most korean old poetry were settled down in literature after being handed down orally, whereas most western poetry were in written language. It was needed to collect medieval korean language materials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tell some verbal expressions between oral or literal, for works of Goryeo Sokyo(高麗俗謠) which are main subject of analysis in this paper were not written until Chosen dynasty. Basically making use of corpus of 21th century Sejong Plan, I have examined some conventional effect upon formation of metrical layers in linguistic and literature on the Goryeo Sokyo(高麗俗謠) texts with many possible search methods. I have concluded that there are some oral level language convention such as "irregular expression, omission by context, hesitation and exclamation that are used in controlling speed of speech, variation of proverbs, dialect and local language" and some literal level language convention such as "conventional expression originated in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s, expression from adding Korean endings to classical Chinese phrases, translating type phrase, exposure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work, borrowing some expressions in other genre" Also I have presented how each of language convention could be found in korean old poetry by analyzing Goryeo Sokyo(高麗俗謠) texts. I hope this paper would provoke some academic interests on language convention and literary convention which affected on the formation of korean prosody.
목차 (Table of Contents)
1 이소영, "현대 국어의 구어 문형 연구" 숙대박론 , 1996
2 노대규,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 1996
3 성기옥, "한국시가율격의 이론" 새문社 새문사 , 1986
4 전희숙, "치료 받은 말더듬 성인의 느린 구어에서 나타나는 휴지 특성" 음성과학 15 (4) : 189 ~ 197 , 2008
5 김대행, "운율" 문학과 지성사 , 1984
6 전지은, "세종 구어 말뭉치의 사회적 변인별 세부 분류 방안 및 활용 가능성" 언어와언어학 (62) : 255 ~ 284 , 2014
7 원철, "문자성과 구어성의 통합과 공감각적 서사로서의 텍스트" 인문연구 (58) : 337 ~ 358 , 2010
8 김창섭, "문어와 구어에서의 조사 ‘의’의 문법" 진단학보 (106) : 79 ~ 115 , 2008
9 장경현, "문어/문어체·구어/구어체 재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어 의미학 13 : 143 ~ 166 , 2003
10 박진원, "말더듬 성인의 심한정도에 따른 구어속도 특성 비교연구"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1 (1) : 129 ~ 146 , 2010
1 이소영, "현대 국어의 구어 문형 연구" 숙대박론 , 1996
2 노대규,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 1996
3 성기옥, "한국시가율격의 이론" 새문社 새문사 , 1986
4 전희숙, "치료 받은 말더듬 성인의 느린 구어에서 나타나는 휴지 특성" 음성과학 15 (4) : 189 ~ 197 , 2008
5 김대행, "운율" 문학과 지성사 , 1984
6 전지은, "세종 구어 말뭉치의 사회적 변인별 세부 분류 방안 및 활용 가능성" 언어와언어학 (62) : 255 ~ 284 , 2014
7 원철, "문자성과 구어성의 통합과 공감각적 서사로서의 텍스트" 인문연구 (58) : 337 ~ 358 , 2010
8 김창섭, "문어와 구어에서의 조사 ‘의’의 문법" 진단학보 (106) : 79 ~ 115 , 2008
9 장경현, "문어/문어체·구어/구어체 재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어 의미학 13 : 143 ~ 166 , 2003
10 박진원, "말더듬 성인의 심한정도에 따른 구어속도 특성 비교연구"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1 (1) : 129 ~ 146 , 2010
11 노대규, "국어의 구어와 문어의 특성"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 81 ~ 84 , 1989
12 지은희, "국어교육에서 ‘구어, 문어’와 ‘구어성, 문어성’의 구분 문제" 한국언어문화 (44) : 427 ~ 449 , 2011
13 문금현, "구어적 관용표현의 특징" 언어 25 (1) : 51 ~ 71 , 2000
14 전영옥, "구어와 문어에서의 감탄사 비교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101 ~ 116 , 2008
15 배진영, "구어와 문어 사용역에 따른 정도부사의 분포와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국제어문 (54) : 95 ~ 140 , 2012
16 유혜원, "구어에 나타난 주격조사 연구" 한국어 의미학 28 : 147 ~ 169 , 2009
17 이현희, "구어성 언어 단위의 설정과 그 유형" 한글 (303) : 41 ~ 76 , 2014
18 김진웅, "구어말뭉치에 나타난 대등연결어미 운율의 양상" 담화와 인지 20 (3) : 65 ~ 87 , 2013
19 이은경, "구어 텍스트에서의 목적격 조사의 비실현 양상" 우리말글 64 : 57 ~ 86 , 2015
20 신지영, "구어 연구와 운율: 소리를 담은 의미․통사론, 의미를 담은 음성학․음운론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어 의미학 44 : 119 ~ 139 , 2014
21 서은아,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조각문 유형 연구" 한글 (264) : 123 ~ 151 , 2004
22 전혜영, "구어 담화에 나타나는 ‘-ㄴ 것이’의 화용 의미" 國語學 (46) : 255 ~ 276 , 2005
23 정병욱, "고전시가론" 새문사 , 1984
24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 연구(새로고친)" 국학자료원 , 1994
25 박경우, "高麗俗謠 노랫말의 兩層性과 律格 意識에 關한 考察" 열상고전연구 (35) : 363 ~ 398 , 2012
26 趙東一, "韓國詩歌의 傳統과 律格" 한길사 , 1982
27 "樂章歌詞"
28 "樂學軌範"
29 "朝鮮王朝實錄" 1970
30 "時用鄕樂譜"
31 박경우, "呼吸律 再論과 基底律 生成에 對한 考察 -時調와 俗談을 中心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40 (3) : 247 ~ 271 , 2012
32 成昊慶, "元 散曲이 한국시가에 끼친 영향에 대한 고찰-元曲이 한국문학에 끼친 영향에 대한 연구(1)" 韓國詩歌硏究 3 : 223 ~ 252 , 1998
33 Goody, "The Interface Between the Written and the Or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63 ~ 264 , 1987
34 "21세기세종계획 말뭉치"
외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화자의 질의응답 양상 분석 연구
충무공 이순신가의 문중 교육과 <나부가>류 가사 작품들
설화 <호랑이 눈썹>과 드라마 <너의 목소리가 들려>의 비교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