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군(軍)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ilitary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Using Digital Im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738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strategy messages using digital images and selection of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he event of a military crisis.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strategy and the message form according to the type of crisis in the military. The effect of communication was confirmed by factor design between 2×2×2 groups. The factor design is crisis type (incident/accident),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position (crisis concession/crisis denial) and message form (text/message using digital image in tex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the message form, messages using digital images in the position of crisis concession in an incident-type crisis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values in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than text messages without digital images. In addition, in an accident-type crisis, messages using digital images in the position of crisis denial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values in reliability than text messages without digital images.
      This shows digital images’ possibility as a mean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by empirically proving some effects of using digital images in military crisis communication messages.
      번역하기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strategy messages using digital images and selection of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he event of a military crisis.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strategy messages using digital images and selection of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he event of a military crisis.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strategy and the message form according to the type of crisis in the military. The effect of communication was confirmed by factor design between 2×2×2 groups. The factor design is crisis type (incident/accident),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position (crisis concession/crisis denial) and message form (text/message using digital image in tex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the message form, messages using digital images in the position of crisis concession in an incident-type crisis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values in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than text messages without digital images. In addition, in an accident-type crisis, messages using digital images in the position of crisis denial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values in reliability than text messages without digital images.
      This shows digital images’ possibility as a mean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by empirically proving some effects of using digital images in military crisis communication messa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군(軍)의 위기 시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메시지에 디지털 이미지를활용한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이다. 위기 유형(사건, 사고)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입장(위기 시인, 위기 부인) 및 메시지 형태(텍스트, 텍스트에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확인하는 2×2×2 집단 간 요인설계의 실험연구를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사건 유형의 위기 시에 위기 시인 입장의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가 텍스트만으로 된 메시지보다 진실성과 신뢰성에서 유의미하게 평균값이 높았고, 사고 유형의 위기 시에는 위기 부인 입장의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가 텍스트만으로 된 메시지보다 신뢰성에서 유의미하게 평균값이 높았다. 군(軍) 위기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전략 사용 시에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일부 효과가 실증적으로 입증된것이다.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가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단으로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군(軍)의 위기 시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메시지에 디지털 이미지를활용한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이다. 위기 유형(사건, 사고)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입장(위기 시인, 위...

      본 연구는 군(軍)의 위기 시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메시지에 디지털 이미지를활용한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이다. 위기 유형(사건, 사고)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입장(위기 시인, 위기 부인) 및 메시지 형태(텍스트, 텍스트에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확인하는 2×2×2 집단 간 요인설계의 실험연구를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사건 유형의 위기 시에 위기 시인 입장의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가 텍스트만으로 된 메시지보다 진실성과 신뢰성에서 유의미하게 평균값이 높았고, 사고 유형의 위기 시에는 위기 부인 입장의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가 텍스트만으로 된 메시지보다 신뢰성에서 유의미하게 평균값이 높았다. 군(軍) 위기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전략 사용 시에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일부 효과가 실증적으로 입증된것이다.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가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단으로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성정, "효율적인 스마트교육을 위한 인포그래픽의 활용 가능성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일반 이론수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 김민석, "텍스트를 배제한 이미지 표현의 광고효과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2 (22): 128-136, 2019

      3 권호천, "크라이시스 커뮤니케이션" 새녘 2021

      4 이종선 ; 최유진, "지방자치단체 위기 대응에 있어 위기 책임성이 메시지 수용도와 지방자치단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정치 성향별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매체 유형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PR학회 24 (24): 66-104, 2020

      5 오유란 ; 고정민, "중국 화장품 광고에서 한류 텍스트와 비주얼 메시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산업학회 17 (17): 1-8, 2017

      6 이유나 ; 문비치, "조직-공중 관계성의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사내 커뮤니케이션 맥락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9 (19): 149-166, 2008

      7 정민이, "정보 수용자들의 정보에 대한 이해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 정보제공 형태, 수용자의 사전지식 수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4) : 329-338, 2015

      8 배성우, "잡지에 대한 신뢰도와 광고 메시지 이해도가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0 (10): 235-259, 2008

      9 이성한, "인쇄매체편집에서 나타나는 일러스트레이션과 상품의 배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5 (15): 201-210, 2012

      10 유종숙 ; 정만수 ; 조삼섭, "위기시 기업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형태 비교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104-128, 2007

      1 손성정, "효율적인 스마트교육을 위한 인포그래픽의 활용 가능성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일반 이론수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 김민석, "텍스트를 배제한 이미지 표현의 광고효과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2 (22): 128-136, 2019

      3 권호천, "크라이시스 커뮤니케이션" 새녘 2021

      4 이종선 ; 최유진, "지방자치단체 위기 대응에 있어 위기 책임성이 메시지 수용도와 지방자치단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정치 성향별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매체 유형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PR학회 24 (24): 66-104, 2020

      5 오유란 ; 고정민, "중국 화장품 광고에서 한류 텍스트와 비주얼 메시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산업학회 17 (17): 1-8, 2017

      6 이유나 ; 문비치, "조직-공중 관계성의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사내 커뮤니케이션 맥락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9 (19): 149-166, 2008

      7 정민이, "정보 수용자들의 정보에 대한 이해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 정보제공 형태, 수용자의 사전지식 수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4) : 329-338, 2015

      8 배성우, "잡지에 대한 신뢰도와 광고 메시지 이해도가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0 (10): 235-259, 2008

      9 이성한, "인쇄매체편집에서 나타나는 일러스트레이션과 상품의 배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5 (15): 201-210, 2012

      10 유종숙 ; 정만수 ; 조삼섭, "위기시 기업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형태 비교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104-128, 2007

      11 김영욱, "위기관리의 이해" 책과길 2002

      12 이동훈, "위기관리의 사회학" 집문당 1999

      13 김정규,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뉴스사진이 수용자의 뉴스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한국소통학회 (26) : 162-183, 2015

      14 티모시 쿰즈,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Ongoing Crisis Communication - 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5 조수영 ; 이민우, "위기 유형에 따른 사과문 선호도 연구" 한국PR학회 13 (13): 99-132, 2009

      16 김영욱, "우리나라 조직의 사과 수사학 : 신문에 난 사과광고문의 내용과 수용여부 분석" 한국광고학회 17 (17): 179-207, 2006

      17 이상화, "영상디자인에 나타난 디지털 특수영상의 효과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0 (10): 37-50, 2004

      18 정희정, "악성 소비자 루머에 대한 기업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 루머유형,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사회적 동조, 정보처리 동기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19 윤영민, "수용자의 관점에서 본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공중은 조직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한국언론학회 51 (51): 424-442, 2007

      20 장정민 ; 이진화, "소비자 조절초점에 따른 광고 내 그림 메시지 효과 연구" 한국상품학회 32 (32): 81-94, 2014

      21 한승엽, "소방조직 내부 PR활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4

      22 김영석, "설득 커뮤니케이션" 나남 2019

      23 윤재현 ; 김한구, "사회자본과 지각된 억제성이 조작적 의도에 대한 추론과 메시지 신뢰성을 통해 SNS 광고태도 및 SNS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31 (31): 1163-1185, 2018

      24 백진숙, "사과광고의 메시지 유형과 공중의 반응"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25 윤영민 ; 최윤정, "사과 포함 여부가 책임귀인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방어적 사과 전략의 효용성 탐구" 한국언론학회 52 (52): 207-226, 2008

      26 박가려 ; 이호배, "배너광고와 웹사이트 컨텐츠의 맥락간 일치성 및 광고유형이 광고노출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21 (21): 115-146, 2010

      27 차유리 ; 유현재, "방사능 오염 식품 이슈 정보 추구, 처리 및 전달 역학에 대한 탐색 : 신문기사의 유인가 프레임 유형과 정부기관에 대한 신뢰수준별 메시지 공신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92-120, 2012

      28 이주연, "미술교육과 문화" 학지사 2020

      29 이세진 ; 추동엽 ; 이재영, "모바일 배너광고의 맥락효과와 메시지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한국광고학회 26 (26): 167-185, 2015

      30 유승찬, "메시지가 미디어다" 나무바다 2018

      31 이미나 ; 김민정,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본 비영리기관 후원 메시지 전략"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41-74, 2014

      32 정민이, "메시지 제시형태와 관여도에 따른 메시지 주목도와 이해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237-246, 2015

      33 황애리 ; 나은영, "메시지 유형이 자살예방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3 (63): 196-228, 2019

      34 최명일, "메시지 유형에 따른 에이즈 예방 캠페인 효과:공포소구와 메시지 측면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8 (18): 185-206, 2007

      35 이성희 ; 이미연,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23-53, 2020

      36 김효일, "디지털 이미지" 창지사 2003

      37 박성수, "디지털 영화의 미학" 문화과학사 2005

      38 티모시 쿰즈, "디지털 시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계획수립·관리·대응" 한울아카데미 2016

      39 김지혜 ; 황상재 ; 손동영, "기업의 위기 이력이 공중의 책임 지각과 대응 메시지 평가에 미치는 영향: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7 (17): 33-64, 2015

      40 김소연 ; 성민정, "기업의 위기 이력과 평판이 공중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식품 사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1 (21): 81-105, 2010

      41 유성신 ; 최용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소재로 한 광고의 설득효과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6 (16): 126-155, 2014

      42 김한석, "기업 위기 시 기업 TV광고 메시지의 설득효과에 관한 실험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0

      43 이철한, "금연홍보 캠페인의 메시지 효과평가 : 영상홍보물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44 (44): 223-247, 2008

      44 합동참모본부 합동교범, "군사기본교리"

      45 김진수, "군 위기 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효과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대학원 2022

      46 나승용, "군 위기 대응시 쟁점의 GAP과 TEMPO가 위기 커뮤니케이션 수용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1

      47 박경희, "국민은 정부의 공공서비스 위기 대응 메시지를 어떻게 평가하는가? :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감성적 소구, 쟁점 관여도, 정부 책임성이 국민의 커뮤니케이션 수용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48 윤원식, "국가안보 위기 시 軍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사례 분석과 보도준칙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6

      49 심현준, "광고사진의 표현 방식과 시각적 은유 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50 허철무 ; 안상현, "광고메시지 신뢰성과 광고태도, 금연의도에 대한 스포츠모델 및 메시지 유형별 효과"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8 (18): 17-28, 2013

      51 정만수 ; 유종숙 ; 조삼섭, "광고 형태의 메시지와 퍼블리시티 형태의 메시지가 소비자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 제품에 대한 관여도 (Involvement)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8 (18): 29-51, 2007

      52 노상미, "고등학교 물리수업에서 학생들의 인포그래픽 구성 특징과 학습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53 김은정 ; 유홍식 ; 오다슬, "경제뉴스 보도에서 텍스트 기사와 보도사진의 획득⋅손실 프레임이 경제 이슈 지각과 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8 (28): 31-54, 2020

      54 네그로폰테, "being digital" 커뮤니케이션북스 1995

      55 Lerbinger, Otto., "The crisis manager : Facing risk and responsibilit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7

      56 김종무, "TV공익광고영상에서 시각적 촉각 자극에 관한 연구 - 모델 속성 및 메시지 전달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7) : 21-28, 2008

      57 신인식, "TV공익광고에 나타난 영상이미지와 언어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8 (18): 111-122, 2005

      58 이학식, "SPSS 26 매뉴얼" 집현재 2021

      59 김태웅 ; 양종훈 ; 이상은, "SNS를 통한 군(軍)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 :메시지 형태가 장병의 위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102-110, 2019

      60 Coombs, W. T., "Responding to crisis: A rhetorical approach to crisis Communication" Lawrence Erlbaum 95-115, 2004

      61 윤희중, "PR전략론" 책과길 2004

      62 김영석, "PR 커뮤니케이션-체계, 수사, 비판 이론의 통합"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1

      63 Coombs, W. T., "Ongoing Crisis Communication: 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 Sage publications 2012

      64 Coombs, W. T., "Ongoing Crisis Communication: 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 Sage publications 1999

      65 Coombs, "Ongoing Crisis Communication-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 2018

      66 Santarcangelo, M., "Improving accuracy of veracity judgment through cue training" 98 (98): 1039-1048, 2004

      67 Coombs, W. T., "Helping crisis managers protect reputational assets : Initial tests of the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16 : 165-186, 2002

      68 Fearn-Banks, K., "Crisis Communication : A casebook approach" Lawrence Erlbaum 1996

      69 Hallahan, K., "Content class as a contextual cue in the cognitive processing of publicity versus advertising" 11 (11): 293-320, 1999

      70 Coombs, W. T., "Communication and attributions in a crisis : An experimental study of crisis communication" 8 : 279-295, 1996

      71 Coombs, W. T., "Code red in the boardroom: Crisis management as organizational DNA" praeger 2006

      72 Coombs, W. T., "Choosing the right words: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he selection of the "approciate" crisis response strategies" 8 : 447-476, 1995

      73 이윤하 ; 최인호 ; 염정윤 ; 정세훈, "CSR 메시지에서 내러티브와 영상 이미지의 설득 전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소통학회 (22) : 66-100, 2013

      74 Lee, B. K, "Audience-oriented approach to crisis communication : A study of Hong Kong consumer's evaluation of an organizational crisis" 31 (31): 600-618, 2004

      75 Coombs, W. T., "Attribution theory as a guide for post-crisis" 33 : 135-139, 2007

      76 Weiner, B., "An attribution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 92 : 548-573, 1986

      77 Benoit, W. L., "Accounts, Excuses, and Apologies-A theory of image restor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