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그 계보-신소설 작가들의 사회진화론 인식론에 대한 서설(序說)- = Acceptance of East Asia Social Evolution Theory and its Genealogy-Introductory Study on the Epistemology of Social Evolution Theory of New Novel Wri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75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신소설 작가들의 사회진화론 인식론에 대한 서설로,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그 계보를 거칠게나마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중국의 옌푸(嚴復)·량치차오(梁啓超), 일본...

      이 논문은 신소설 작가들의 사회진화론 인식론에 대한 서설로, 동아시아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그 계보를 거칠게나마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중국의 옌푸(嚴復)·량치차오(梁啓超), 일본의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를 중심으로 살피기는 했지만, 이들과 유럽의 연쇄고리를 전제한 후 영국의 스펜서·헉슬리·키드와 독일의 블룬칠리·헤켈 등의 진화론사상을 동시에 포괄했다. 이를 통해 중국의 엄복·양계초, 일본의 가토 히로유키 등의 사회진화론사상의 뿌리를 확인하기도 했다. 즉 개인의 방임을 강조한 영국 발 사상이냐, 아니면 개인마저도 국가에 수렴하는 강력한 국가우위의 독일 발 사회진화론이냐, 하는 갈림길에 주목했던 것이다. 양계초는 영국 사상가들에게서, 가토 히로유키는 독일의 사상을 적극 수용했음을 알 수가 있었다. 당시 조선의 신소설 작가들 또한 자신의 사상적 바탕을 사회진화론에 두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하다면 양계초를 매개로 사회진화론사상을 받아들였는가, 아니면 가토 히로유키를 키워드로 수용했는가 하는 문제는 중요하게 다가올 수밖에 없을 터다. 그 결과 양계초와 카토 히로유키를 매개로 수용한 조선의 사회진화론은 그 성격을 달리했던 것이다. 이들로부터 영향을 받은 신소설 작가들 또한 작품의 지향점이 극명하게 갈리게 된다. 이 논문이 거듭 근대문학 해석에서 사회진화론을 상정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n introductory study on the epistemology of social evolution theory of new novel writers and aims to figure out the acceptance of East Asia social evolution theory and its genealogy in a broad manner. While Yenpu and Ryangchichao of China, an...

      This is an introductory study on the epistemology of social evolution theory of new novel writers and aims to figure out the acceptance of East Asia social evolution theory and its genealogy in a broad manner. While Yenpu and Ryangchichao of China, and Kato Hiroyuki of Japan were focused in the study, the study also included the evolution theory of Spencer, Huxley and Kidd of England and Bluntschli and Hegel of Germany as well in the presupposition of their link to the Europe.
      In doing so, the study could find the root of social evolution theory of Eom Bok and Yang Gecho of China and Kato Hiroyuki of Japan. It means that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fork load between the idea of England that focused on individual rights and the idea of Germany that put strong national superiority over individual. Yang Gecho accepted the ideas of English thinkers and Kato Hiroyuki adopted the idea of Germany actively. If new noble writers in Joseon of the time were based on social evolution theory in their ideological foundation, it would be significant if they received social evolution theory via Yang Gecho or if they accepted Kato Hiroyuki as their key wor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volution theory in Joseon were different by the media from Yang Gecho and Kato Hiroyuki. The orientation of novels of new novel writers was dramatically divided. That is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evolution theory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litera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봉희, "「倫理學」을 통해 본 동아시아 전통사상과 이해조의 사회진화론 수용" 한국현대소설학회 (52) : 349-381, 2013

      2 梁啓超, "「中國積弱溯源論」, 淸議報 제77-84책"

      3 장수익, "한국근대소설과 사회진화론" 한국현대문학회 (19) : 273-308, 2006

      4 최원식, "한국계몽주의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5 스티븐 제이 굴드, "풀하우스" 사이언스북스 2004

      6 신홍철, "청년시기 魯迅의 진화론 사상의 형성과 성격"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17 : 130-131, 1999

      7 이혜경, "천하관과 근대화론 : 양계초를 중심으로" 문학과지성사 2002

      8 양일모, "천연론" 소명출판 2008

      9 이택후, "중국근대사상사론" 한길사 2005

      10 이광수, "이광수 전집 17" 삼중당 1962

      1 유봉희, "「倫理學」을 통해 본 동아시아 전통사상과 이해조의 사회진화론 수용" 한국현대소설학회 (52) : 349-381, 2013

      2 梁啓超, "「中國積弱溯源論」, 淸議報 제77-84책"

      3 장수익, "한국근대소설과 사회진화론" 한국현대문학회 (19) : 273-308, 2006

      4 최원식, "한국계몽주의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5 스티븐 제이 굴드, "풀하우스" 사이언스북스 2004

      6 신홍철, "청년시기 魯迅의 진화론 사상의 형성과 성격"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17 : 130-131, 1999

      7 이혜경, "천하관과 근대화론 : 양계초를 중심으로" 문학과지성사 2002

      8 양일모, "천연론" 소명출판 2008

      9 이택후, "중국근대사상사론" 한길사 2005

      10 이광수, "이광수 전집 17" 삼중당 1962

      11 조병한, "양계초의 국민국가론과 민권․민족 관념" 서강대인문과학연구소 22 : 2007

      12 김용구, "세계관의 충돌과 한말외교사" 문학과 지성사 2001

      13 유봉희, "사회진화론과 신소설 연구 : 이해조와 이인직을 중심으로" 인하대 대학원 2013

      14 루이스 A. 코저, "사회사상사" 일지사 191-, 1992

      15 벤저민 슈워츠, "부와 권력을 찾아서" 한길사 2006

      16 벤저민 슈워츠, "부와 권력을 찾아서" 한길사 2006

      17 김용구, "만국공법" 소화 2008

      18 백지운, "량 치차오(梁啓超)의 사회진화론 ― 계몽주의의 종교적 재구성" 중국어문학연구회 (55) : 323-345, 2009

      19 愼連縡, "동아시아 3국의 社會進化論 受容에 관한 연구 : 加藤弘之, 梁啓超, 申采浩의 사상을 중심으로" 서울대 1991

      20 趙京蘭, "進化論의 中國的 수용과 역사인식의 전환 : 嚴復·梁啓超·章炳麟·魯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 1995

      21 백지운, "自由書를 구성하는 텍스트들-양계초의 ‘자유’ 개념에 대한 연구" 韓國中國 現代文學學會 (31) : 2004

      22 梁啓超, "自由書․放自棄由由之罪"

      23 梁啓超, "点校, 點校 제4집" 雲南敎育出版社 2001

      24 丸山眞男, "日本の思想" 岩波書店 1966

      25 加藤弘之, "日本の名著34 西周․加藤弘之" 中央公論社 1978

      26 加藤弘之, "强者の權利の競爭" 哲學書院 1893

      27 梁啓超, "吳松 외 點校, 「自由書․序言」"

      28 加藤弘之, "加藤弘之自叙伝" 大空社 1991

      29 外山正一, "再び人權新說者に質し倂せてスぺソセル氏の爲に寃を解く" 日本評論社 2 : 192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7-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enter for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9 1.314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