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역사재현형 축제 관점에서 본 홍성역사인물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ongseong Hero Festival from the Viewpoint of Historical Reactment Festiv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66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ngseong Hero Festival, which held in Hongseong and has changed as the name changed to Hongseong Naepo Love Big Festival, Hongseong Naepo Culture Festival, and Hongseong Hero Festival, has changed its appearance. During Hongseong Naepo Culture Festiv...

      Hongseong Hero Festival, which held in Hongseong and has changed as the name changed to Hongseong Naepo Love Big Festival, Hongseong Naepo Culture Festival, and Hongseong Hero Festival, has changed its appearance. During Hongseong Naepo Culture Festival, it is a local people-centered festival for residents, and it was held as a department store-style festival without a clear theme and differentiated programs. However, as the need for a festival change emerged, through the consultation of experts and opinions from local people, the theme of the festival is changed from the theme of “Naepo” to “Historical figure”, the local people changed the name of festival in to “Hongseong Hero Festival”. All the programs of the festival consisted of 6 members of Hongseong’s historical figure(Mumin Choi Yeong, Maejukheon Seong Sam-mun, Manhae Han Yong-un, Baekya Kim Jwa-jin, Myungosoo Han Seong-jun, Goam Lee Eung-no), and we developed a historical figure as characters so that people can approach the heavy subject of history, Various experience programs and performance programs that can experience, see, and enjoy directly were conducted in order to give visitors an educational effect on historical figure and history. As the result of this, the festival has been qualitatively grown such as being selected as a cultural tourism festival in 2015. Still it has not overcome the limitation as a festival based on historical figure, so fa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Hongseong Hero Festiva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and to establish a strategy to develop into a representativ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in the future.
      So through 26 questions targeting the local people, we grasped the importance of going to the shape of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and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through the group analysis of marital status, age, occup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survey subjects. The analysis result are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Hongseong Hero Festival to go to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is ‘The reflection of the times factor’, which creates the atmosphere of the festival hall reflecting the times, and I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festival program using historical events experienced by historical figures. In addition, ‘Promotion relation factor’ representing historical facts such as the production of promotion video and poster design reflecting times were also analyzed as important factors.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 average value of married people was higher than of unmarried people in all questions. It is a characteristic of the material of a historical figure needing to include educational content through a history test to raise awareness of history and it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influence of married people who have a lot of interes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married people, a plan is needed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differed in the recognition of corporate sponsorship by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festival operation and those who participated as simple visitors in terms of raising funds. Those who participated directly in the festival operation seem to think it is important to feel the need for corporate sponsorship. Currently, The Hongseong Hero Festival Promotion Committee which is jointly organized arbitrarily by the private sector and governments prepares for the Hongseong Hero Festival. However, Since the chairman of committee is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it is difficult to finance the festival such as corporate sponsorship and profitability
      At the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Hongseong Hero Festival needs a foundation with expertise in situation tha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entions the importance of the organization dedicated to festivals, and is adding a need for a separate organization to the festival evaluation system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al foundation nationwide.
      In this study, The Hongseong Hero Festival has undergone changed in name and theme, achieving qualitative growth. Also, at the point where it was necessary to accurately set the direction to go to the shape of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with historical figure as the subjects, it figures out and analyzed the importance of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But,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strategies to develop the Hongseong Hero Festival into a representativ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by grasping the importance of the historical reenactment festival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visitors who have experienced many other festiv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홍성역사인물축제는 홍성에서 개최되는 축제로 홍주문화제를 시작으로 홍성내포사랑큰축제, 홍성내포문화축제, 홍성역사인물축제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축제의 모습도 변화해왔다. 홍성내...

      홍성역사인물축제는 홍성에서 개최되는 축제로 홍주문화제를 시작으로 홍성내포사랑큰축제, 홍성내포문화축제, 홍성역사인물축제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축제의 모습도 변화해왔다. 홍성내포문화축제로 개최되는 동안에는 지역민 중심의 주민화합형 축제로 명확한 주제와 차별화된 프로그램 없는 백화점식의 축제로 개최되었다. 하지만, 지역민들이 축제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전문가 자문과 지역민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축제의 주제를 ‘내포’라는 주제에서 ‘역사인물’을 주제로 변화하며, 축제의 명칭을 홍성역사인물축제로 변경하여 개최하였다. 축제의 모든 프로그램은 홍성의 역사인물 6인(무민공 최영, 매죽헌 성삼문, 만해 한용운, 백야 김좌진, 명고수 한성준, 고암 이응노)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역사인물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역사인물을 캐릭터로 개발하였으며, 방문객들에게 역사인물과 역사에 대한 교육적인 효과를 주기위해 직접 체험하고, 보며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공연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2015년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되는 등 축제가 질적으로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역사인물을 소재로 하는 축제로서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재현형 축제의 관점에서 홍성역사인물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대표적인 역사재현형 축제로 발전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26개의 항목을 통해 역사재현형 축제의 모습으로 가기 위한 중요도를 파악하고, 조사 대상자들의 결혼여부와 연령, 직업, 참여분야에 따른 그룹별 분석을 통해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홍성역사인물축제가 역사재현형 축제로 가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시대반영 요인’으로 시대를 반영한 축제장 분위기를 조성하며, 역사인물들이 겪은 역사적 사건을 활용하여 축제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역사적 사실을 나타내는 홍보영상 제작, 시대를 반영한 포스터 디자인 등 ‘홍보 관련 요인’도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결혼여부에 따른 독립표본 t검정 분석 결과, 기혼자들의 평균값이 미혼자들보다 모든 항목에서 높은 평균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사에 대한 인식 고취를 위해 역사의 고증을 거쳐 교육적인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 역사인물 소재의 특성으로 자녀들의 교육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기혼자들의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기혼자들이 생각하는 중요도에 따라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편, 역사재현형 축제는 재원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업의 협찬에 대한 인식에 대해 축제운영에 참여한 사람과 단순 방문객으로 참여한 사람의 인식에 차이가 났다. 축제운영에 직접 참여한 사람들은 기업 협찬의 필요성에 대해 몸소 느끼는 것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홍성역사인물축제는 임의단체인 홍성역사인물축제 추진위원회가 민·관 공동으로 구성되어 축제를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위원장이 지자체장으로 기업의 협찬이나 수익성 등 축제의 재원을 마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축제 전담조직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축제 평가 시스템에 별도의 전담조직 필요 사항을 추가하여 전국적으로 재단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홍성역사인물축제도 전문성을 지닌 재단의 구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홍성역사인물축제가 명칭과 주제의 변화를 겪어오며 질적 성장을 이루었고, 역사인물을 소재로 하는 역사재현형 축제의 모습으로 가기 위해 방향을 정확히 잡아야 하는 시점에서 지역민들이 생각하고 있는 역사재현형 축제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분석하였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타 축제를 많이 경험했던 외지 방문객 입장에서 역사재현형 축제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홍성역사인물축제가 대표적인 역사재현형 축제로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ⅰ
      • 목 차 ⅳ
      • 그림목차 ⅵ
      • 목 차
      • 국문초록 ⅰ
      • 목 차 ⅳ
      • 그림목차 ⅵ
      • 도표목차 ⅶ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1
      • 제2절 연구의 목적 3
      •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 연구의 범위 4
      • 2. 연구의 방법 5
      • 제2장 이론적 고찰 6
      • 제1절 축제의 이해 6
      • 1. 축제의 정의 6
      • 2. 축제의 분류 16
      • 3. 축제의 현황 18
      • 제2절 역사재현형 축제의 이해 26
      • 1. 역사재현형 축제의 개념 26
      • 2. 역사재현형 축제의 유형 28
      • 3. 역사재현형 축제의 사례 30
      • 제3절 연구대상지 분석 33
      • 1. 홍성역사인물축제의 태동 33
      • 2. 홍성역사인물축제의 개최현황 35
      • 제3장 연구방법 및 조사설계 42
      • 제1절 연구설계 및 자료수집 42
      • 1. 연구의 설계 42
      •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42
      • 제2절 조사설계 43
      • 1. 자료분석 방법 43
      • 2. 설문지 구성 44
      • 제4장 실증분석 45
      • 제1절 조사대상의 기술 통계 분석 45
      • 1.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45
      • 2. 측정항목의 기술 분석 48
      • 제2절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52
      • 1. 표본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52
      • 2. 인구통계학적 분류에 의한 분석 62
      •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22
      • 제1절 연구결론 및 시사점 122
      • 1. 연구결론 122
      • 2. 시사점 128
      •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136
      • 참고문헌 138
      • 영문초록 143
      • 설문지 147
      • 감사의 글 1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