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408594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14. 2
2014
한국어
338 판사항(4)
서울
v, 78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김주일
참고문헌 : p. 59-6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
연구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0’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중학교 1학년 1차년도 자료 중 결측치를 제거한 2,3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 and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통하여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청소년의 행복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은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test를 실시한 결과 P<0.001 수준에서 부분매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