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진 LaVO3 박막은 태양광 발전 소자에서 활성층의 재료로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LaVO3 박막의 여러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광학적, 구조적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87563
용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 물리학과 프론티어융합 , 2024. 8
2024
한국어
530 판사항(20)
경기도
Study of opt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perovskite LaVO3 and applications
vii, 38 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호선
참고문헌: p. 35-37
I804:11006-20000080800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진 LaVO3 박막은 태양광 발전 소자에서 활성층의 재료로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LaVO3 박막의 여러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광학적, 구조적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진 LaVO3 박막은 태양광 발전 소자에서 활성층의 재료로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LaVO3 박막의 여러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광학적, 구조적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AFM, SEM 그리고 XRD 측정을 통해 박막의 표면 및 단면 그리고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Ellpsometry 를 통해 1.41eV 의 LaVO3 밴드갭 에너지를 구하였으며, 흡광도 및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LaVO3를 활성층으로 사용한 자체 전력 광검출기와 반투명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WS2/h-BN/LaVO3 구조의 광검출기의 광전류/암전류 비율은 0V 에서 델타 함수 특성을 나타내어 ‘자체 구동’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광검출기는 최대 0.27AW-1 반응성(R), 730nm 에서 4.6×1010 cm
Hz1/2 W-1 검출성(D*)을 보여줬다. 또한, 온도 25℃, 상대습도 30%의 조건에서 2000 시간 동안 초기 R 의 87%를 유지하였다. 다음으로, TETA-Gr/WS2/LaVO3 구조의 태양전지는 LaVO3 박막의 두께가 200nm 일 때 5.07%의 전력 변환 효율(PCE)와 35%의 AVT 를 보였다. 소자의 반투명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Al 반사 거울을 사용하여 소자의 PCE 를 5.64%로 더욱 개선하였다. 온도 60℃, 상대습도 30% 및 온도 80℃, 상대습도 50%의 두 조건에서 1000 시간동안 원래 PCE 의 91 및 84%를 유지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