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李珥, "栗谷全書"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85
2 김봉곤, "嶺南地域에서의 蘆沙學派와 寒洲學派의 成立과 學說交流" 한국공자학회 (14) : 65-84, 2007
3 박학래, "蘆沙奇正鎭의性理說을둘러싼기호학계의논쟁 - 「猥筆」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48) : 407-445, 2008
4 奇正鎭, "蘆沙先生全集" 保景文化社 1983
5 鄭載圭, "老栢軒集" 경인문화사 1993
6 금장태, "한국유학의 心說"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7 田愚, "艮齋集" 경인문화사 2004
8 崔琡民, "溪南集" 경인문화사 1993
9 김근호, "溪南 崔琡民의 ‘明理之學’으로서의 心論" 경남문화연구원 (30) : 161-188, 2010
10 朱熹, "朱子語類" 中華書局 1983
1 李珥, "栗谷全書"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85
2 김봉곤, "嶺南地域에서의 蘆沙學派와 寒洲學派의 成立과 學說交流" 한국공자학회 (14) : 65-84, 2007
3 박학래, "蘆沙奇正鎭의性理說을둘러싼기호학계의논쟁 - 「猥筆」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48) : 407-445, 2008
4 奇正鎭, "蘆沙先生全集" 保景文化社 1983
5 鄭載圭, "老栢軒集" 경인문화사 1993
6 금장태, "한국유학의 心說"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7 田愚, "艮齋集" 경인문화사 2004
8 崔琡民, "溪南集" 경인문화사 1993
9 김근호, "溪南 崔琡民의 ‘明理之學’으로서의 心論" 경남문화연구원 (30) : 161-188, 2010
10 朱熹, "朱子語類" 中華書局 1983
11 鄭義林, "日新齋集" 경인문화사 1995
12 박학래, "奇正鎭의 「納凉私議」를 둘러싼 畿湖學界의 論爭" 한국유교학회 (39) : 309-341, 2010
13 박학래, "奇正鎭의 心論과 明德說" 한국사상사학회 16 : 2001
14 김낙진, "奇正鎭과 田愚의 성리학적 쟁점과 鄭載圭의 성리설" 경남문화연구원 (29) : 77-11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