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련(靑蓮) 이후백(李後白)의 당시풍(唐詩風) 수용(受容) 양상(樣相) 고찰(考察) -절구(絶句)의 시어(詩語)와 소재분석(素材分析)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Acceptance of Tang(唐) Poetical Style by Cheonglyeon(靑蓮) Lee Hu-Baek(李後白)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oetic diction and materials of Jeolgu(絶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5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本稿는 靑蓮李後白(1520~1578)의 絶句에 활용된 詩語와 素材分析을 중심으로 唐詩風의 受容樣相에 대하여 考察하였다. 청련 唐詩風의 외적 특징을 살펴보면 대우의 美感에 관심과 特長이 있어, 17수의 절구에서 대우가 활용되었고, 詩語의 경우 抒情과 敍景에 적합한 시어의 활용 빈도가 높았다. 특히 ‘淸’한 풍격의 작품 구성에 적합한 시어의 활용빈도가 높았다. 청련은 매화 같은 경물도 고향의 표상으로 제한하여 인식하였고, 풍경시는 淸新한 시어와 색감의 대조를 통해서 ‘淸奇’한 풍격의 작품세계를 구현했다. 또한 ‘閨怨’이나, 조선의 전설 및 지명도 과감하게 작품화하였다. 청련의 당시풍은 절구시에 잘 구현되었고, 당시풍의 서정적 意境을 구현하였지만, 지나친 대우의 활용이나 唐詩의 模擬에 머문 한계가 있다. 그러나 思庵朴淳과 더불어 學唐의 선구자로서 청련의 위상은 재조명 받아야 한다.
      번역하기

      本稿는 靑蓮李後白(1520~1578)의 絶句에 활용된 詩語와 素材分析을 중심으로 唐詩風의 受容樣相에 대하여 考察하였다. 청련 唐詩風의 외적 특징을 살펴보면 대우의 美感에 관심과 特長이 있어...

      本稿는 靑蓮李後白(1520~1578)의 絶句에 활용된 詩語와 素材分析을 중심으로 唐詩風의 受容樣相에 대하여 考察하였다. 청련 唐詩風의 외적 특징을 살펴보면 대우의 美感에 관심과 特長이 있어, 17수의 절구에서 대우가 활용되었고, 詩語의 경우 抒情과 敍景에 적합한 시어의 활용 빈도가 높았다. 특히 ‘淸’한 풍격의 작품 구성에 적합한 시어의 활용빈도가 높았다. 청련은 매화 같은 경물도 고향의 표상으로 제한하여 인식하였고, 풍경시는 淸新한 시어와 색감의 대조를 통해서 ‘淸奇’한 풍격의 작품세계를 구현했다. 또한 ‘閨怨’이나, 조선의 전설 및 지명도 과감하게 작품화하였다. 청련의 당시풍은 절구시에 잘 구현되었고, 당시풍의 서정적 意境을 구현하였지만, 지나친 대우의 활용이나 唐詩의 模擬에 머문 한계가 있다. 그러나 思庵朴淳과 더불어 學唐의 선구자로서 청련의 위상은 재조명 받아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cceptance of Tang(唐) poetical styl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oetic diction and materials that were used in Jeolgu(絶句) of Cheonglyeon(靑蓮) Lee Hu-Baek(李後白, 1520~1578). On external characteristics of Cheonglyeon(靑蓮) Tang(唐) poetical style, he had an interest in an aesthetic sense of contraposition and showed a strong feature in it. Therefore, contraposition was used in 17 Su(首) of Jeolgu(絶句), and poetic diction suitable for lyrics and scenery were frequently used. In particular, poetic diction proper for ‘clear[淸]’ style of work composition was frequently used. Cheonglyeon(靑蓮) perceived the scenery of the season such as Japanese apricot flower as a representation of home. In a scenery poem, he realized a ‘clear and unique[淸奇]’ style of literary world by making a contrast between clear and fresh poetic diction and the impression of colors. Moreover, ‘Gyuwon(閨怨)’, or legends and names of location of Joseon were boldly made into works. Tang(唐) poetical style of Cheonglyeon(靑蓮) was greatly realized in Jeolgu(絶句), and lyrical mood and view of Tang(唐) poetical style was realized as well. However, contrastposition was overly used and his poems remained as a simulation of Tang(唐) poems. Nevertheless, status of Cheonglyeon(靑蓮) needs to be shed new light on as a pioneer in learning Tang(唐) along with Saam(思庵) Park Soon(朴淳).
      번역하기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cceptance of Tang(唐) poetical styl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oetic diction and materials that were used in Jeolgu(絶句) of Cheonglyeon(靑蓮) Lee Hu-Baek(李後白, 1520~1578). On external characteristic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cceptance of Tang(唐) poetical styl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oetic diction and materials that were used in Jeolgu(絶句) of Cheonglyeon(靑蓮) Lee Hu-Baek(李後白, 1520~1578). On external characteristics of Cheonglyeon(靑蓮) Tang(唐) poetical style, he had an interest in an aesthetic sense of contraposition and showed a strong feature in it. Therefore, contraposition was used in 17 Su(首) of Jeolgu(絶句), and poetic diction suitable for lyrics and scenery were frequently used. In particular, poetic diction proper for ‘clear[淸]’ style of work composition was frequently used. Cheonglyeon(靑蓮) perceived the scenery of the season such as Japanese apricot flower as a representation of home. In a scenery poem, he realized a ‘clear and unique[淸奇]’ style of literary world by making a contrast between clear and fresh poetic diction and the impression of colors. Moreover, ‘Gyuwon(閨怨)’, or legends and names of location of Joseon were boldly made into works. Tang(唐) poetical style of Cheonglyeon(靑蓮) was greatly realized in Jeolgu(絶句), and lyrical mood and view of Tang(唐) poetical style was realized as well. However, contrastposition was overly used and his poems remained as a simulation of Tang(唐) poems. Nevertheless, status of Cheonglyeon(靑蓮) needs to be shed new light on as a pioneer in learning Tang(唐) along with Saam(思庵) Park Soon(朴淳).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