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더 나은 기술수업 만들어가기를 위한 실행연구 - 노마드 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07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수업에서 더 나은 수업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밝혀냄으로써 좋은
      기술 수업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가 연구자가 되어 수업 개선을 위한 계획과 실행, 실행 후 반성 그리고 또다시 실행의 과
      정을 반복적으로 탐색하는 실행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장소는 공립 대안교육 특성
      화 중학교인 G 광역시 노마드 중학교이며, 연구 기간은 2022년 3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4학
      기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수업 촬영, 학생 면담, 수업자의 성찰 일지, 수업 결과물 등 다
      양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더 나은 기술수업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더 나은 기술수업 만들어가기를 위한 첫 번째 과정인 현장에 대한 이해에서 연구자
      가 알게 된 노마드 중학교 학생들의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은 ‘노는 수업’, ‘재미없는 수업’,
      ‘일부 학생만 참여하는 수업’이었다.
      둘째, 더 나은 기술수업 만들어가기를 위한 실행은 ‘대화를 통해 생각을 나누며 수업에 초
      대하기’, ‘온라인 포트폴리오 작성을 통한 성찰의 기회 제공하기’, ‘학생의 삶과 연결된 수업하
      기’, ‘학생 맞춤형 과제 제시하기와 도움주기’, ‘학생의 성향을 반영한 방법으로 수업하기’, ‘진
      로와 연계한 수업하기’, ‘기술 활동을 위한 시간과 공간 제공하기’로 주제화하였다.
      셋째, 실행의 과정을 통해 ‘텍스트와 컨텍스트를 연결한 수업’, ‘반성적 사고를 통해 몰입하
      는 수업’,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는 수업’으로의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더 나은 기술수업 만들어가기의 교육적 의미를 ‘학습과 교수의 해석적 상호작용’, ‘더
      나은 인간 형성의 존재론적 지향’, ‘변증법적 대화의 과정’이라는 세 가지 교육의 본질에 비추
      어 논의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더 나은 기술수업을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하는 기술교사와 좋은 기술수
      업의 본질을 탐구하는 연구자에게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을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수업에서 더 나은 수업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밝혀냄으로써 좋은 기술 수업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수업에서 더 나은 수업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밝혀냄으로써 좋은
      기술 수업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가 연구자가 되어 수업 개선을 위한 계획과 실행, 실행 후 반성 그리고 또다시 실행의 과
      정을 반복적으로 탐색하는 실행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장소는 공립 대안교육 특성
      화 중학교인 G 광역시 노마드 중학교이며, 연구 기간은 2022년 3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4학
      기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수업 촬영, 학생 면담, 수업자의 성찰 일지, 수업 결과물 등 다
      양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더 나은 기술수업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더 나은 기술수업 만들어가기를 위한 첫 번째 과정인 현장에 대한 이해에서 연구자
      가 알게 된 노마드 중학교 학생들의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은 ‘노는 수업’, ‘재미없는 수업’,
      ‘일부 학생만 참여하는 수업’이었다.
      둘째, 더 나은 기술수업 만들어가기를 위한 실행은 ‘대화를 통해 생각을 나누며 수업에 초
      대하기’, ‘온라인 포트폴리오 작성을 통한 성찰의 기회 제공하기’, ‘학생의 삶과 연결된 수업하
      기’, ‘학생 맞춤형 과제 제시하기와 도움주기’, ‘학생의 성향을 반영한 방법으로 수업하기’, ‘진
      로와 연계한 수업하기’, ‘기술 활동을 위한 시간과 공간 제공하기’로 주제화하였다.
      셋째, 실행의 과정을 통해 ‘텍스트와 컨텍스트를 연결한 수업’, ‘반성적 사고를 통해 몰입하
      는 수업’,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는 수업’으로의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더 나은 기술수업 만들어가기의 교육적 의미를 ‘학습과 교수의 해석적 상호작용’, ‘더
      나은 인간 형성의 존재론적 지향’, ‘변증법적 대화의 과정’이라는 세 가지 교육의 본질에 비추
      어 논의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더 나은 기술수업을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하는 기술교사와 좋은 기술수
      업의 본질을 탐구하는 연구자에게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hat constitutes better technology classes in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and to uncover the essence of quality technology education. Employing the
      action research method, with the teacher assuming the role of a researcher, the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reflecting on, and re-implementing lessons for class improvement.
      Conducted at G Nomad Middle School, a public alternative education specialized middle school,
      from March 2022 to December 2023 across four semester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such as class recordings, student interview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class output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better technology classes.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n initial step in understanding the field to create better technology classes, the
      researchers gained insights into how students at Nomad Middle School perceived technology classes,
      which were described as playful classes, uninteresting classes, and classes where only some
      students participate.
      Second, the process for creating better technology classes was categorized into themes such as
      invit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through dialogu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through online portfolio writing, connecting class with students' lives, providing customized
      assignments and assistance to students, teaching classes that reflect students' preferences,
      incorporating career-related aspects into classes, and providing time and space for technological
      activities.
      Third, implementation resulted in observable changes in the classes, transforming them into
      classes that connect text and context, classes that foster immersion through reflective thinking,
      and classes that recognize each other's existence.
      Fourth,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reating better technology classes was discussed within the
      context of three educational essences: interpretive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teaching,
      existential orientation towards better human formation, and dialectical dialogue process.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technology teachers striving to enhance their classes and
      researchers exploring the essence of effective technology class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hat constitutes better technology classes in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and to uncover the essence of quality technology education. Employing the action research method, with the teacher assuming the role of a...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hat constitutes better technology classes in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and to uncover the essence of quality technology education. Employing the
      action research method, with the teacher assuming the role of a researcher, the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reflecting on, and re-implementing lessons for class improvement.
      Conducted at G Nomad Middle School, a public alternative education specialized middle school,
      from March 2022 to December 2023 across four semester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such as class recordings, student interview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class output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better technology classes.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n initial step in understanding the field to create better technology classes, the
      researchers gained insights into how students at Nomad Middle School perceived technology classes,
      which were described as playful classes, uninteresting classes, and classes where only some
      students participate.
      Second, the process for creating better technology classes was categorized into themes such as
      invit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through dialogu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through online portfolio writing, connecting class with students' lives, providing customized
      assignments and assistance to students, teaching classes that reflect students' preferences,
      incorporating career-related aspects into classes, and providing time and space for technological
      activities.
      Third, implementation resulted in observable changes in the classes, transforming them into
      classes that connect text and context, classes that foster immersion through reflective thinking,
      and classes that recognize each other's existence.
      Fourth,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reating better technology classes was discussed within the
      context of three educational essences: interpretive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teaching,
      existential orientation towards better human formation, and dialectical dialogue process.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technology teachers striving to enhance their classes and
      researchers exploring the essence of effective technology class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