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 DEA-Window 모형과 MPI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5002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 국정관리학과 , 2010. 8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5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productivity analysis of national parks in Korea: using DEA-Window model and MPI

      • 형태사항

        x, 146 p.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권기헌.
        부록: 1. DEA-Window 분석결과, 2. MPI 분석결과 수록.
        참고문헌 : p. 121-129.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우리나라 국립공원에 적용하여 실제 생산성을 측정하여 향후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생산성 향상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국립공원의 생산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도출하여 이를 우리나라 18개 국립공원에 적용하여 횡단면, 시계열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전체적 생산성에 경제적 생산성과 환경적 생산성 중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향후 지속가능하고 바람직한 국립공원의 관리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우리나라 국립공원에 적용하여 실제 생산성을 측정하여 향후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생산성 향상 방안...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우리나라 국립공원에 적용하여 실제 생산성을 측정하여 향후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생산성 향상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국립공원의 생산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도출하여 이를 우리나라 18개 국립공원에 적용하여 횡단면, 시계열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전체적 생산성에 경제적 생산성과 환경적 생산성 중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향후 지속가능하고 바람직한 국립공원의 관리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roductivity of the 18 national parks during 9 years 2001 and 2009 in Korea, discuss methods of measuring the productivity and sugges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national park management policy. To analyze this, quantitative evaluation tolls used were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nd Post-DEA(DEA-Window model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his study progress in two step. First step is an analysis whole productivity(economical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productivity) score of 18 national parks in Korean. Second step is an analysis only economical productivity score of 18 national parks and compare it with whole productivity score to draw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roductivity on whole productivity.
      This study shows the results to be summed up in two aspects as follows.
      In theoretical aspect first, studies about productivity of national parks especially considering national park's environmental purpose ware insufficient in Korea. But this study focuses two contradictory purpose of national park, economical purpose and environmental purpose. Second, Using Post-DEA(DEA-Winodow model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as well as DEA, we suggest various measuring method to analyze and evaluate a productivity. Third, we suggest measuring method that can measure environmental productivity.
      In political aspect, first, we suggest relative ranking between 18 national parks and present influence factor of productivity. By focusing effort(resources, time, manpower...) on shortage, it can prevent unnecessary waste. Second, we show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ductivity management. It means that effort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re required more to improve the national park's whole productivity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roductivity of the 18 national parks during 9 years 2001 and 2009 in Korea, discuss methods of measuring the productivity and sugges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national park management p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roductivity of the 18 national parks during 9 years 2001 and 2009 in Korea, discuss methods of measuring the productivity and sugges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national park management policy. To analyze this, quantitative evaluation tolls used were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nd Post-DEA(DEA-Window model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his study progress in two step. First step is an analysis whole productivity(economical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productivity) score of 18 national parks in Korean. Second step is an analysis only economical productivity score of 18 national parks and compare it with whole productivity score to draw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roductivity on whole productivity.
      This study shows the results to be summed up in two aspects as follows.
      In theoretical aspect first, studies about productivity of national parks especially considering national park's environmental purpose ware insufficient in Korea. But this study focuses two contradictory purpose of national park, economical purpose and environmental purpose. Second, Using Post-DEA(DEA-Winodow model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as well as DEA, we suggest various measuring method to analyze and evaluate a productivity. Third, we suggest measuring method that can measure environmental productivity.
      In political aspect, first, we suggest relative ranking between 18 national parks and present influence factor of productivity. By focusing effort(resources, time, manpower...) on shortage, it can prevent unnecessary waste. Second, we show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ductivity management. It means that effort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re required more to improve the national park's whole productivity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문제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3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문제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3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4
      • 1. 연구범위 4
      • 2. 연구방법 5
      • 제2장 이론적·제도적 배경 6
      • 제1절 공공부문의 효율성 및 생산성 측정에 관한 논리 6
      • 1. 공공부문의 효율성 측정 6
      • 1) 효율성 및 생산성에 대한 논의 6
      • 2. 상대적 효율성 평가모형으로서의 DEA 9
      • 1) DEA 모형의 개념과 이론적 형태 9
      • 2) DEA 모형의 유용성과 한계 15
      • 3. 시계열적 생산성 분석에 관한 논의:Post-DEA 17
      • 1) DEA-Window모형을 이용한 생산성 측정 17
      • 2) MalmquistProductivityIndex(MPI)를 이용한 생산성 측정 21
      • 제2절 국립공원관리에 대한 이론적·제도적 논의 26
      • 1. 환경재로서의 국립공원 26
      • 2. 국립공원의 생산성 측정 및 평가에 관한 논의 30
      • 3. 국립공원의 의의 38
      • 4.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제도 40
      • 제3절 선행연구 검토 50
      • 제3장 연구설계 56
      • 제1절 분석모형 56
      • 제2절 평가지표의 선정 58
      • 1. 생산성 평가지표 선정 시 유의점 58
      • 2. 투입·산출 변수의 선정 59
      • 제3절 평가지표를 적용한 연구 분석 방법 60
      •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60
      • 2. 자료수집 방법 65
      • 3. 연구분석 방법 66
      • 제4장 국립공원 생산성 측정의 분석 결과 68
      • 제1절 DEA-Window 모형에 의한 생산성 측정 68
      • 1. 총괄적 기술통계 분석 68
      • 2. 년도별 생산성 분석 69
      • 3. 시대별 생산성 분석 76
      • 제2절 MalmquistProductivityIndex(MPI)를 이용한 생산성 측정 84
      • 제3절 논의의 종합 91
      • 제5장 경제적 생산성과 환경적 생산성의 차이 분석 94
      • 제1절 DEA-Window 모형에 의한 차이분석 95
      • 1. 경제적 측면의 변수만을 추출한 생산성 분석 95
      • 2. 전체 생산성과의 차이를 통한 환경적 생산성 도출 및 함의 99
      • 제2절 MalmquistProductivityIndex(MPI)에 의한 차이 분석 105
      • 1. 경제적 측면의 변수만을 추출한 생산성 분석 105
      • 2. 전체 생산성과의 차이를 통한 환경적 생산성 도출 및 함의 111
      • 제3절 논의의 종합 113
      • 제6장 결론 및 함의 115
      • 제1절 연구의 요약 115
      • 제2절 연구의 함의 118
      • 제3절 향후과제 119
      • 참고문헌 121
      • 부록 130
      • ABSTRACT 1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