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복지의 헌법적 의의와 실천 =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and Implementation of Cultural Welf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44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issue of welfare has spread over our community, cultural welfare becomes a new propaganda in a political field. Because in welfare-state, desirable human life requires a government to fulfill psychological need as well as material one, welfare policy-makers put emphasis on cultural welfare. Also, cultural welfare would be demanded as a significant cultural polic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 by enlightening aesthetic sensitivity and strengthening cultural creativity. However, it is hard to find a constitutional study elaborating what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welfare is in a constitutional context and how to implement cultural welfare coherent to a given constitutional system. So, this study focuses on embracing the conception of cultural welfare in our constitution and suggesting a minimal guideline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cultural welfare. The conception of cultural welfare would be supported and justified by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social state in that they guarantees basic minimum for human life in the psychological or material aspect. Also,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cultural state justify the conception of cultural welfare, for their common goal is to promote the chance of citizens in creating and enjoying culture. Then, we might explore the way to implement the consitutional significance of cultural welfare, and debating on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welfare right would be the first step. Depending on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social right provisions in our constitution, cultural welfare right might be accepted as a constitutional right which claims the government to provide basic minimum for cultural human life. Also, because, in international declarations, the cultural rights tend to range from the liberty and equality in culture to the right of cultural participation, payment and education, the right to cultural welfare might be understood as a part of cultural right. As the right to cultural welfare is accepted as a constitutional right under other constitutional rights and principles though it is not enumerated in our constitution, the policy and law about cultural welfare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ight to cultural welfare. Also, cultural welfare reaches forward to cultural democracy in which citizens autonomously create and enjoy diverse cultures in a cultural environment government constructs. According to these basic ways to implement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cultural welfare, we should propose and evaluate the policy and law of cultural welfare.
      번역하기

      As the issue of welfare has spread over our community, cultural welfare becomes a new propaganda in a political field. Because in welfare-state, desirable human life requires a government to fulfill psychological need as well as material one, welfare ...

      As the issue of welfare has spread over our community, cultural welfare becomes a new propaganda in a political field. Because in welfare-state, desirable human life requires a government to fulfill psychological need as well as material one, welfare policy-makers put emphasis on cultural welfare. Also, cultural welfare would be demanded as a significant cultural polic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 by enlightening aesthetic sensitivity and strengthening cultural creativity. However, it is hard to find a constitutional study elaborating what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welfare is in a constitutional context and how to implement cultural welfare coherent to a given constitutional system. So, this study focuses on embracing the conception of cultural welfare in our constitution and suggesting a minimal guideline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cultural welfare. The conception of cultural welfare would be supported and justified by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social state in that they guarantees basic minimum for human life in the psychological or material aspect. Also,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cultural state justify the conception of cultural welfare, for their common goal is to promote the chance of citizens in creating and enjoying culture. Then, we might explore the way to implement the consitutional significance of cultural welfare, and debating on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welfare right would be the first step. Depending on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social right provisions in our constitution, cultural welfare right might be accepted as a constitutional right which claims the government to provide basic minimum for cultural human life. Also, because, in international declarations, the cultural rights tend to range from the liberty and equality in culture to the right of cultural participation, payment and education, the right to cultural welfare might be understood as a part of cultural right. As the right to cultural welfare is accepted as a constitutional right under other constitutional rights and principles though it is not enumerated in our constitution, the policy and law about cultural welfare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ight to cultural welfare. Also, cultural welfare reaches forward to cultural democracy in which citizens autonomously create and enjoy diverse cultures in a cultural environment government constructs. According to these basic ways to implement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cultural welfare, we should propose and evaluate the policy and law of cultural welfa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4

      2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4

      4 홍성방, "헌법학" 박영사 2013

      5 장영수, "헌법학" 弘文社 2014

      6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4

      7 한국헌법학회, "헌법주석(I)" 박영사 2013

      8 이시우, "헌법적 문제로서 문화보호와 문화복지에 관한 입법정책" 32 (32): 1999

      9 홍성방, "헌법재판소결정례에 나타난 사회적 기본권" 4 : 2002

      10 전광석, "헌법과 문화" 18 : 1990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4

      2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4

      4 홍성방, "헌법학" 박영사 2013

      5 장영수, "헌법학" 弘文社 2014

      6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4

      7 한국헌법학회, "헌법주석(I)" 박영사 2013

      8 이시우, "헌법적 문제로서 문화보호와 문화복지에 관한 입법정책" 32 (32): 1999

      9 홍성방, "헌법재판소결정례에 나타난 사회적 기본권" 4 : 2002

      10 전광석, "헌법과 문화" 18 : 1990

      11 김일환, "헌법개정을 위한 기본권 관련 쟁점에 관한 고찰"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67-98, 2010

      12 김수갑, "한국헌법에서의 '문화국가' 조항의 법적 성격과 의의" 한국공법학회 32 (32): 179-198, 2004

      13 김기곤, "한국사회의 문화권 구성과 제도화" 5.18연구소 11 (11): 207-238, 2011

      14 류시조, "한국 헌법상의 문화국가원리에 관한 연구" 14 (14):

      15 김철수, "학설판례 헌법학" 박영사 2009

      16 김선미, "프랑스 문화정책 준거의 발전과 문화의 민주화" 인문학연구원 (21) : 139-173, 2012

      17 원도연, "이명박 정부 이후 문화정책의 변화와 문화민주주의에 대한 연구 - 이명박 정부의 문화정책 평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32) : 219-245, 2014

      18 정갑영, "우리나라 문화복지 정책의 흐름과 전망" 17 : 2005

      19 김수갑, "예술가의 사회적 지위 보장을 위한 법제연구" 24 (24): 2013

      20 임학순, "새 정부의 문화정책 이념과 발전방안" 한국행정학회 2013

      21 김종보, "사회적 기본권의 구체적 권리성 여부" 법학연구소 49 (49): 75-98, 2008

      22 한수웅, "사회복지의 헌법적 기초로서 사회적 기본권 ― 사회적 기본권의 개념과 법적 성격을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8 (18): 51-104, 2012

      23 최옥채, "사회복지실천에서 문화복지의 개념화- 문화의 용례에 따른 해석학적 접근 -" 1 (1): 2007

      24 현택수, "사회복지사의 문화복지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학연구소 (38) : 491-519, 2011

      25 표명환, "사회복지국가실현과 헌법 -사회국가의 헌법적 의무와 그 실현을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50) : 1-27, 2013

      26 전광석, "사회변화와 헌법과제로서의 복지국가의 실현" 한국공법학회 31 (31): 3-3, 2002

      27 이준일, "복지국가와 복지수급권의 보장― 신뢰보호원칙과 재산권보장을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20 (20): 1-30, 2014

      28 박종현, "법률구조 서비스의 재원조달 방안 모색" 법과사회이론학회 (43) : 165-190, 2012

      29 김정수, "문화행정론 : 이론적 기반과 정책적 과제" 집문당 2010

      30 이동연, "문화정책의 새로운 철학과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2 (2): 2013

      31 김남국, "문화적 권리와 보편적 인권: 세계 인권 선언에서 문화다양성 협약까지" 한국국제정치학회 50 (50): 261-284, 2010

      32 손윤석, "문화이용권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법학연구원 (44) : 1-22, 2013

      33 서순복, "문화의 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의 정책적 함의" 대한지방자치학회 8 (8): 23-44, 2007

      3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융성 : 우리의 삶의 질이 달라진다" 2013

      35 권영설, "문화와 법: 역동적 관계의 진화" 2014

      36 정철현, "문화연구와 문화정책" 서울경제경영 2005

      37 심광현, "문화사회와 문화정치" 문화과학사 2003

      38 정홍익, "문화복지정책의 의의와 진로" 2011

      39 양혜원, "문화복지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추정과 정책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40 김휘정, "문화복지정책의 동향과 문화복지사업의 발전 방향" 한국예술경영학회 (26) : 35-64, 2013

      41 이시우, "문화복지의 헌법적 의미와 그 입법정책적 과제" 5 (5): 1999

      42 현택수, "문화복지의 법적 권리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157-173, 2008

      43 현택수, "문화복지와 문화복지정책의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7) : 101-122, 2006

      44 문화체육부, "문화복지 중장기 실천계획(안)" 1996

      45 김세훈, "문화복지 중기계획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46 최종혁, "문화복지 제도정착에 관한 실천가 인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179-206, 2012

      47 김세훈, "문화복지 정책의 흐름과 전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1

      48 심창학, "문화복지 쟁점을 통해서 본 한국의 문화복지정책 : 특징 및 한계 그리고 대안"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0) : 149-184, 2013

      49 정갑영, "문화복지 법제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50 최종혁, "문화복지 개념 정립을 위한 질적 연구 - 휴먼서비스 실천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145-182, 2009

      51 김창규, "문화법정책의 이론과 실제" 한국법정책학회 14 (14): 749-794, 2014

      52 장 미셸 지앙, "문화는 정치다" 동녘 2011

      53 이종수, "문화기본권과 문화법제의 현황 및 과제" 한국공법학회 43 (43): 1-20, 2015

      54 국가인권위원회, "문화권 NAP수립을 위한 기초현황 실태조사와 정책연계방안" 용역연구보고서 2004

      55 김세규, "문화국가의 구현과 문화분권 - 부산문화재단의 설립에 즈음하여 -" 한국토지공법학회 43 (43): 483-504, 2009

      56 한상희, "대중예술문화산업과 헌법-법제개선을 위한 기본방향-" 법학연구소 (26) : 523-563, 2013

      57 이대성, "다문화사회에서 요구되는 문화적 권리의 개념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35-47, 2011

      58 레이먼드 윌리엄스, "기나긴 혁명(The Long Revolution)" 문학동네 2007

      59 정인섭, "국제인권조약집" 사람생각 2000

      60 이인호, "文化에 대한 國家介入의 헌법적 한계 ― 한글전용정책의 헌법적 문제점을 포함하여 ―" 한국공법학회 43 (43): 1-30, 2014

      61 전광석, "憲法裁判所가 바라 본 福祉國家原理" 한국공법학회 34 (34): 222-252, 2006

      62 Edward Burnett Tylor,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Cust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63 Langsted, J, "Double strategies in a Modern Cultural Policy" 19 (19): 1990

      64 Ronald F. Inglehart, "Changing Values among Western Publics from 1970 to 2006" 31 (31): 2008

      65 Abraham H. Maslow,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50 (50): 1943

      66 정갑영, "21세기 우리나라 문화복지 증진방안"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5

      67 정갑영, "21세기 변화에 부응하는 문화복지 추구"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5 0.81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