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드 논쟁의 국내정치와 북한의 압박 = Domestic Politics of the THAAD debate in the South Korea and the pressure of the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74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ssibility of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ROK-US-Japan vs, the North Korea-China-Russia are rising surrounding the deployment of THAAD in the South Korea. The case of the controversy in the deployment of THAAD in the South Korea is a political phenomenon on the Korean Peninsula requires simultaneous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domestic political process, and the elements of the North Korea. The position of the pros and cons of the THAAD deployment also reflects a clear disagreement in political ideology. In the current presidential phase, those major political parties and presidential candidates also reflect this. At the same time,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THAAD deployment also show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n the North Korea. North Korea has intentionally created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order to expand the Northeast Asian new cold war framework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If the current regime of the South Korea changes, a new policy toward the North Korea will be introduced, and if the present opposition party win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ill be revised in the South Korea. Additional progress which reserve the THAAD deployment may also can be. North Korea sees the political environment in the South Korea is advantageous for the North Korea, and strengthens the political oppression including the THAAD.
      번역하기

      The possibility of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ROK-US-Japan vs, the North Korea-China-Russia are rising surrounding the deployment of THAAD in the South Korea. The case of the controversy in the deployment of THAAD ...

      The possibility of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ROK-US-Japan vs, the North Korea-China-Russia are rising surrounding the deployment of THAAD in the South Korea. The case of the controversy in the deployment of THAAD in the South Korea is a political phenomenon on the Korean Peninsula requires simultaneous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domestic political process, and the elements of the North Korea. The position of the pros and cons of the THAAD deployment also reflects a clear disagreement in political ideology. In the current presidential phase, those major political parties and presidential candidates also reflect this. At the same time,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THAAD deployment also show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n the North Korea. North Korea has intentionally created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order to expand the Northeast Asian new cold war framework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If the current regime of the South Korea changes, a new policy toward the North Korea will be introduced, and if the present opposition party win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ill be revised in the South Korea. Additional progress which reserve the THAAD deployment may also can be. North Korea sees the political environment in the South Korea is advantageous for the North Korea, and strengthens the political oppression including the THAA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드의 한국 내 배치를 둘러싼 한국 내, 미중 간, 한중 간 안보 갈등이 발생하면서 미국 대 중국, 한·미·일 대 북·중·러의 신냉전 대립구도의 형성도 거론되고 있다. 사드 논쟁은 한국의 정치현상이 국제정치, 국내정치, 북한에 대한 동시적 고찰을 필요로 하는 사례 중 하나다. 따라서 사드와 관련한 국내의 찬반 논쟁은 군사안보, 국제정치의 차원과 함께 한국 내의 정치상황과 미국과 중국에 대한 대외인식 및 북한에 대한 인식과 대북정책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국내정치적 요소에 대한 이해가 논쟁의 실체적 성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사드 배치에 대한 국내의 찬반 입장은 정치적 이념과 지지 기반에 따라 사드 배치에 대해 극명한 이견을 나타나고 있으며 대선 국면에서 주요 정당과 대선후보자들의 사드 관련 입장도 이를 반영하고 있다. 동시에 사드 배치를 둘러싼 논쟁에는 미국과 중국 중 어느 나라와 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한지의 대외인식과 북한에 대한 인식의 차이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북한은 사드와 관련한 국내외의 논쟁을 최대한 이용해 대외관계와 대남관계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려 하고 있다. 북한은 사드의 한국 내 배치 결정을 기회로 미․중간 나아가 한․미․일 대 북․중․러의 동북아 신냉전 구도를 확대하기 위해 동북아 국가들 간 대립과 갈등을 의도적으로 조성하고 있다. 북한은 대남관계에 있어서는 집권이 유력시되는 야당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사드 관련 대남 압박을 지속하고 있다. 북한과의 대화와 교류협력을 중시하는 야당이 집권할 경우 대북제재 무용론이 제기될 가능성이 있으며 북한을 관리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유지한다는 명분으로 대북지원과 협력을 재개할 수도 있다. 이미 시작된 사드 배치의 추가적 진행도 일단 유보하고 다시 검토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북한은 사드 배치에 대한 대남협박과 함께 ‘남남갈등’을 격화시키고 있다. 대통령이 탄핵당하고 국회가 여소야대인 상황에서 남한 내부의 정치 환경이 북한에 유리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북한은 사드를 포함한 대남 정치공세를 강화하면서 북한이 원하는 방향으로의 대북정책을 의도하고 있다.
      번역하기

      사드의 한국 내 배치를 둘러싼 한국 내, 미중 간, 한중 간 안보 갈등이 발생하면서 미국 대 중국, 한·미·일 대 북·중·러의 신냉전 대립구도의 형성도 거론되고 있다. 사드 논쟁은 한국의 정�...

      사드의 한국 내 배치를 둘러싼 한국 내, 미중 간, 한중 간 안보 갈등이 발생하면서 미국 대 중국, 한·미·일 대 북·중·러의 신냉전 대립구도의 형성도 거론되고 있다. 사드 논쟁은 한국의 정치현상이 국제정치, 국내정치, 북한에 대한 동시적 고찰을 필요로 하는 사례 중 하나다. 따라서 사드와 관련한 국내의 찬반 논쟁은 군사안보, 국제정치의 차원과 함께 한국 내의 정치상황과 미국과 중국에 대한 대외인식 및 북한에 대한 인식과 대북정책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국내정치적 요소에 대한 이해가 논쟁의 실체적 성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사드 배치에 대한 국내의 찬반 입장은 정치적 이념과 지지 기반에 따라 사드 배치에 대해 극명한 이견을 나타나고 있으며 대선 국면에서 주요 정당과 대선후보자들의 사드 관련 입장도 이를 반영하고 있다. 동시에 사드 배치를 둘러싼 논쟁에는 미국과 중국 중 어느 나라와 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한지의 대외인식과 북한에 대한 인식의 차이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북한은 사드와 관련한 국내외의 논쟁을 최대한 이용해 대외관계와 대남관계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려 하고 있다. 북한은 사드의 한국 내 배치 결정을 기회로 미․중간 나아가 한․미․일 대 북․중․러의 동북아 신냉전 구도를 확대하기 위해 동북아 국가들 간 대립과 갈등을 의도적으로 조성하고 있다. 북한은 대남관계에 있어서는 집권이 유력시되는 야당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사드 관련 대남 압박을 지속하고 있다. 북한과의 대화와 교류협력을 중시하는 야당이 집권할 경우 대북제재 무용론이 제기될 가능성이 있으며 북한을 관리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유지한다는 명분으로 대북지원과 협력을 재개할 수도 있다. 이미 시작된 사드 배치의 추가적 진행도 일단 유보하고 다시 검토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북한은 사드 배치에 대한 대남협박과 함께 ‘남남갈등’을 격화시키고 있다. 대통령이 탄핵당하고 국회가 여소야대인 상황에서 남한 내부의 정치 환경이 북한에 유리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북한은 사드를 포함한 대남 정치공세를 강화하면서 북한이 원하는 방향으로의 대북정책을 의도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휘락,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의 오해와 진실" 2016

      2 안성규, "한반도 사드 배치와 중국" 아산정책연구원 2016

      3 최영미, "한반도 사드 배치를 둘러싼 논쟁과 평가기준: 전문가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극동문제연구소 32 (32): 57-87, 2016

      4 박휘락, "한미동맹과 한중관계에서 사드(THAAD) 논란이 갖는 의미: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의 적용"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1 (21): 33-63, 2016

      5 이호재, "한국인의 국제정치관" 법문사 1994

      6 박건영, "한국의 안보와 사드(THAAD)" 극동문제연구소 32 (32): 27-55, 2016

      7 이호재, "한국외교정책의 이상과 현실" 법문사 1988

      8 "한국경제, 2017년 3월 8일"

      9 남광규, "표류하는 사드배치와 대안의 모색" 자유총연맹 2016

      10 박휘락, "중국의 내정간섭에 무릎? 또다시 속국이 되고 싶은가"

      1 박휘락,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의 오해와 진실" 2016

      2 안성규, "한반도 사드 배치와 중국" 아산정책연구원 2016

      3 최영미, "한반도 사드 배치를 둘러싼 논쟁과 평가기준: 전문가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극동문제연구소 32 (32): 57-87, 2016

      4 박휘락, "한미동맹과 한중관계에서 사드(THAAD) 논란이 갖는 의미: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의 적용"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1 (21): 33-63, 2016

      5 이호재, "한국인의 국제정치관" 법문사 1994

      6 박건영, "한국의 안보와 사드(THAAD)" 극동문제연구소 32 (32): 27-55, 2016

      7 이호재, "한국외교정책의 이상과 현실" 법문사 1988

      8 "한국경제, 2017년 3월 8일"

      9 남광규, "표류하는 사드배치와 대안의 모색" 자유총연맹 2016

      10 박휘락, "중국의 내정간섭에 무릎? 또다시 속국이 되고 싶은가"

      11 구본학, "중국 반(反)사드 협박, 덩샤오핑 개혁개방 물거품 되나"

      12 채소현, "중․미 안보 갈등과 한반도 : 사드배치를 중심으로"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2015

      13 "조선중앙통신, 2016년 3월 4일"

      14 "조선일보, 2017년 3월 21일, 2014년 6월 4일"

      15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사업총화에 대하여"

      16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 결정서"

      17 박동선, "외교광장" 한국외교협회 2017

      18 "서울신문, 2017년 3월 7일"

      19 "서울경제신문, 2017년 2월 16일"

      20 이기완, "사드와 AIIB를 둘러싼 미중관계와 한국"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8 (18): 331-346, 2015

      21 홍진표, "사드배치의 합리적 논쟁을 위해" 자유경제원 2016

      22 조한범, "사드(THADD)배치와 한반도 안보" 국방대 국가안전보장연구소 116 : 2016

      23 이지용, "사드(THADD) 배치 논쟁과 한·중관계"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6

      24 박근재, "사드(THAAD)의 한국 배치를 둘러싼 논란과 정책적 함의"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3 (23): 37-66, 2016

      25 홍규덕, "사드(THAAD) 배치에 관한 주요쟁점과 미사일방어(MD) 전략" 신아시아연구소 22 (22): 110-134, 2015

      26 한재진, "사드 배치에 따른 주요 이슈와 전망" 현대경제연구원 2017

      27 이헌경, "북한 핵문제 딜레마와 북한과 미국의 대응전략" 도서출판 매봉 2017

      28 편집부, "북한 ‘조선로동당’ 대회 주요 문헌집" 돌베개 1988

      29 김한권,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북중관계 전망, In주요국제문제분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6

      30 김지윤, "미중 패권경쟁 속 한국인의 사드(THAAD) 인식" 아산정책연구원 2017

      31 박휘락, "미국 사드의 한국 배치 논란에서 드러난 오인식(misperception)과 집단사고(groupthink) 분석" 국가정책연구소 29 (29): 25-48, 2015

      32 신원식, "미 BMD 소개 및 THAAD 관련 대응방향, In 미국의 BMD(미사일방어)체계와 THAAD, 우리의 선택은"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2017

      33 "동아일보, 2016년 7월 25일"

      34 "노동신문, 2017년 2월 13일"

      35 "내외통신, 제9692호, 1995년 9월 20일"

      36 이관세, "김정은체제, 앞으로 대외, 대남공세 강화하나, IFES현안진단"

      37 평화연구원, "국정동력 잃은 박근혜 정부, '해서는 안될 일'과 '해야 할 일'"

      38 "국민일보, 2016년 2월 20일"

      39 刘冲, "美国酝酿在韩部署"萨德"系统问题辨析" 現代國際關系編輯部 5 (5): 13-22, 2015

      40 "環球時報, 2016年 7月 9日"

      41 이성현, "中대사, 사드발언과 한국의 대응전략" 세종연구소 (313) : 2016

      42 정경영, "“사드 배치 결정 파장과 정책 대안 ,” 「한반도 사드배치」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 : 현상 진단, 전략적 선택과 해법을 중심으로" 더불어 민주당 민주정책연구원 2017

      43 이헌경,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의 한반도 배치 구상에 의한 북핵 문제 해결 방안 모색 - 자극․반응의 극대화 -" 한국통일전략학회 15 (15): 159-180, 2015

      44 Rosenau. James N., "Linkage politics : essays on the convergence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systems" Free Press

      45 Herz John, "International politics in the atomic ag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9

      46 Putnam. Robert D., "Double-edged diplomacy : international bargaining and domestic politics" Univ. of California Press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5 1.054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