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전자변형식품에 관한 세 가지 논의 = Three Sides of K orean Genetically Modified Food Controversies : Global Standards, Right-to-know and Counter-expe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83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식품에 관련된 사회 운동은 그동안 주로 표시제를 통해 소비자가 알권리와 선택할 권리를 보장해주어야 할 정부의 책임을 사회운동의 전면에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식품에 관련된 사회 운동은 그동안 주로 표시제를 통해 소비자가 알권리와 선택할 권리를 보장해주어야 할 정부의 책임을 사회운동의 전면에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실질적 동등성 개념에 기반을 두고 유전자 변형식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현행의 규제 방식에 대항적 전문성을 통하여 맞서고 비판하는 활동은 사회적으로 크게 확산되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인터뷰와 문헌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식품에 관련된 논의에 참가한 세 그룹-규제 과학자, 시민단체, 대항 전문가-의 활동이 각각 현행 유전자변형식품 규제의 방식과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항 전문가들은 ‘국제기준 순응의 담론’의 생산자인 규제 과학자들과 충돌하면서 규제 형성의 과정에서 배제되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식품을 둘러싼 논란의 지형을 이해하기 위하여, 대항적 전문지식을 가진 행위자들이 다른 집단과 폭넓은 연대를 형성하지 못했던 과정과 맥락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issue in Korean debates over genetically modified (GM) foods have been government’s responsibility to guarantee consumers’ right-to-know and make informed choice. Counter-experts’ critique over the current regulatory processes based up...

      The main issue in Korean debates over genetically modified (GM) foods have been government’s responsibility to guarantee consumers’
      right-to-know and make informed choice. Counter-experts’ critique over the current regulatory processes based upon substantial equivalence have not been widely publicized. Through interviews and textual analysis, this paper explored three groups’ performances in Korean GM food controversies-regulatory scientists,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counter-experts. Analytic focus was made upon how each of the groups interact with current GM food regulations. While making conflicts with regulatory scientists and their ‘discourse of compliance with global standards,’ counter-experts were excluded from regulatory processes.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processes and contexts in which counter-experts failed to form strong alliance with other groups need to be examined in order to further understand the specific contours of Korean GM food controvers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GMO, 안전성의 문제와 알권리의 문제
      • 2. 실질적 동등성에 대한 식약청, 농촌진흥청, 규제과학자들의 입장
      • 3. 녹색연합, 참여연대, 한겨레신문: 우리는 시민단체고 과학자가 아니에요
      • 4. 대항 전문가
      • 5. 결론
      • 1. 서론: GMO, 안전성의 문제와 알권리의 문제
      • 2. 실질적 동등성에 대한 식약청, 농촌진흥청, 규제과학자들의 입장
      • 3. 녹색연합, 참여연대, 한겨레신문: 우리는 시민단체고 과학자가 아니에요
      • 4. 대항 전문가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