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는 청소년들이 성장하여 성인이 되는데 있어 제일 중요한 시기이지만, 신체활동 부족과 에너지 불균형으로 인한 비만은 청소년 성장에 악영향을 준다. 이러한 비만을 예방하는 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609507
춘천 :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대학원 , 스마트헬스 과학기술 융합학과 , 2023. 2
2023
한국어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 비만 여자 청소년 ; 성장 ; IGF-1 ; 하지장길이
513.398 판사항(6)
강원특별자치도
32 L. : 삽화 ; 30 cm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강성훈
참고문헌: L. 27-30
I804:42002-00000003316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청소년기는 청소년들이 성장하여 성인이 되는데 있어 제일 중요한 시기이지만, 신체활동 부족과 에너지 불균형으로 인한 비만은 청소년 성장에 악영향을 준다. 이러한 비만을 예방하는 방...
청소년기는 청소년들이 성장하여 성인이 되는데 있어 제일 중요한 시기이지만, 신체활동 부족과 에너지 불균형으로 인한 비만은 청소년 성장에 악영향을 준다. 이러한 비만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규칙적인 운동이 필수적이며, 최근 고강도 운동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2주간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통하여 비만 여자 청소년들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근 기능, 혈액인자(성장관련 호르몬, 혈중지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의 연령별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과체중, 비만의 수치에 해당하는 참가자들을 모집하였으며, 초등학생군(Elementary Group ; EG, n=9)과 중학생군(Middle Group ; MG n=7)로 나누어 운동을 12주간 진행하였다. 모든 측정은 운동 전, 후에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2주간 트레이닝 전 ,후로 그룹 내 대응 t-test를, 그룹 간 사전, 사후의 변화율(% Change)에 대하여 독립 t-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12주간 진행한 후 EG의 신체조성에서 신장, 체중, 체지방률, 하지장의 길이(ASIS)(R, L), 장골능(R, L)에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기초체력에서 EG의 근력과 심폐지구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근 기능 평가에서 EG의 좌·우측 굴근과 신근 60°/sec의 총 일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혈액변인에서 EG의 TG, IGF-1, IGF-B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12주간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비만 여자 청소년들에게 신체조성, 기초체력, 근기능평가, 혈액인자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IGF-1, IGF-BP에서 유의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성장관련 호르몬의 증가가 비만 여자 청소년들의 체지방률을 감소시키고 하지장 길이와 신장의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MG에 비하여 더 어린 EG에서 더욱 큰 효과가 나타나 어린나이부터 지속적인 트레이닝을 통해 건강에 더욱 유익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dolescence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for adolescents to grow into adults, but obesity due to lack of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imbalance adversely affects adolescent growth. Regular exercises are essential as a way to prevent such obesity, and ...
Adolescence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for adolescents to grow into adults, but obesity due to lack of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imbalance adversely affects adolescent growth. Regular exercises are essential as a way to prevent such obesity, and a high-intensity plyometric training,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ie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basal fitness, muscle function, and blood factors (growth-related hormones(IGF-1, IGF-BP), blood lipids) of obesity adolescents girls by plyometric training for 12 week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recruited based on the 'Body Mass by Age Index of the 2017 Growth Cha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participants corresponding to the levels of overweight and obesity were recruited,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lementary Group ; EG, n=9) and middle school students (Middle Group ; MG, n = 7) and exercise was performed for 12 weeks.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exercise. Data processing was verifi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Paired t-tests were used for within-group testing before and after 12 weeks of training and independent t-tests were used to test for change rate(% Change)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training.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at α=.05. After 12 weeks of plyometric train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ight, weight, body fat percentage, length of lower extremity (ASIS) (R, L), and iliac crest (R, L) in body composition of EG(p<.0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uscle strength an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of EG in basal fitness(p<.05). In the muscle function evalua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otal work done of the left and right flexors and extensors of EG at 60°/sec(p<.0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G's TG, IGF-1, and IGF-BP in blood variables(p<.05). Summarizing the above conclusion, 12 weeks of plyometric train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dy composition, basal fitness, muscle function assessment and blood factors in obesity adolescent girls. In particular, significant effects were shown on IGF-1 and IGF-BP. It is believed that the increase in growth-related hormones decreased the percentage of body fat in obesity adolescent girls and affected the increase in length and height of the lower extremity. In addition, plyometric training shows a greater effect in younger EG compared to MG, and it is judged that continuous training from a young age will have a more beneficial effect on health.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