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주된 목표는 2015 개정 영어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영어 교과서에 문화 간 학습 내용과 학습활동의 제시된 양상을 살펴보는 것으로, Byram의 모형(1997)과 Moran의 모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61026
2021
English
KCI등재
학술저널
367-389(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된 목표는 2015 개정 영어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영어 교과서에 문화 간 학습 내용과 학습활동의 제시된 양상을 살펴보는 것으로, Byram의 모형(1997)과 Moran의 모형(...
본 연구의 주된 목표는 2015 개정 영어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영어 교과서에 문화 간 학습 내용과 학습활동의 제시된 양상을 살펴보는 것으로, Byram의 모형(1997)과 Moran의 모형(2001)에 기반하여 각 영어 교과서의 문화 간 구성 요소와 학습활동을 내용분석기법으로 코딩화 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91개의 문화 내용과 학습활동을 언어적 기능과 그에 상응하는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에 관하여 내용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각 학교급에 따른 문화 간 학습 내용과 학습활동은 2015년 개정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하게 제시되었다. 둘째, Moran의 모형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 두 학교급 모두 언어적 기능의 기술 단계(즉, 경험학습의 관점에서 지식 알기)에서 높은 비율이 나타났다(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에서는 92.68%,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서는 66%). 그러나 문화 언어 학습의 다른 나머지 단계에 대해서는 중학교 영어 교과서가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분석 결과를 Byram의 모형에 적용하여 보면, 학습자들이 불균형적인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습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예를 들어 자문화와 타문화에 대한 지식 요소만 습득될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EFL의 영어 교과서에 균형 잡힌 문화 간 학습 내용과 학습활동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이를 각 학교급 영어 교과서에 반영시킬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intercultural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were provided in the English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the 2015 revised version.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cultural components o...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intercultural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were provided in the English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the 2015 revised version.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cultural components of each English textbook, Byram’s (1997) model and Moran’s (2001) model were adopted. With ninety-one cultural contents and activities, the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n the cultural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and their correspond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rcultural contents and activities for each school level conformed to the goal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cond, according to Moran’s model, a high percentage was revealed in the description stage (which is knowing about in terms of cultural experience cycle) in both school levels (92.68% for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and 66% for middle school textbooks). However, the rest of the stages of cultural language learning were demonstrated with relatively higher percentage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compared to those in elementary textbooks. Third, imbalanced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ies were expected to be acquired based on Byram’s model, such as Knowledge of ones’ own culture and other culture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balanced intercultural contents and activities in EFL English textbooks was emphasized and the pedagogical implication was suggested.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아, "학업성취도 변화추이 분석을 통한 사회과 교육의 질 관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0 (40): 47-70, 2008
2 장나래, "초등학교 3,4학년 영어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8, 2018
3 김진석, "초등영어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관련 성취기준 및 소재목록 설정 방안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91-208, 2010
4 정다운,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기반 초등영어 문화 수업 모형 개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9 (19): 219-239, 2013
5 안지영,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분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9 (19): 105-129, 2013
6 P. S. D. Bhawuk, "The measuremen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using the concept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16 : 413-436, 1992
7 M. Byram, "The Sage Handbook of Intercultural Competence" 321-332, 2009
8 D. K. Deardorff, "The SAGE Handbook of Intercultural Competence" Sage Publications 2009
9 Ministry of Educati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10 C. Crozet, "Teaching culture as an integrated part of language teaching: An introduction" 14 (14): 1-22, 1997
1 박은아, "학업성취도 변화추이 분석을 통한 사회과 교육의 질 관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0 (40): 47-70, 2008
2 장나래, "초등학교 3,4학년 영어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8, 2018
3 김진석, "초등영어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관련 성취기준 및 소재목록 설정 방안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1 (21): 191-208, 2010
4 정다운,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기반 초등영어 문화 수업 모형 개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9 (19): 219-239, 2013
5 안지영,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분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9 (19): 105-129, 2013
6 P. S. D. Bhawuk, "The measuremen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using the concept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16 : 413-436, 1992
7 M. Byram, "The Sage Handbook of Intercultural Competence" 321-332, 2009
8 D. K. Deardorff, "The SAGE Handbook of Intercultural Competence" Sage Publications 2009
9 Ministry of Educati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10 C. Crozet, "Teaching culture as an integrated part of language teaching: An introduction" 14 (14): 1-22, 1997
11 M. Byram, "Teach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 Multilingual Matters 1997
12 P. R. Moran, "Teaching Culture: Perspectives in Practice" Heinle & Heinle Thomson Learning 2001
13 B. S. Bloom,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1956
14 C. Crozet, "Striving for the Third Place:Intercultural Competence through Language Education" Language Australia 113-125, 1999
15 L. Cohen,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Routledge Falmer 2000
16 A. J. Liddicoat, "Report on Intercultural Language Learning" Commonwealth of Australia 2003
17 Ministry of Education,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5-74 (Annex 14): The English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18 H. D. Brown,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earson Education Company 2000
19 D. Wilkins, "Notional Syllabuses"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20 J. E. Park, "Middle School English 3" YBM 2018
21 J. Y. Lee, "Middle School English 3" Chunjae Education 2018
22 M. Agar, "Language Shock: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Conversation" William Morrow & Company 1994
23 S. G. Blair, "Intercultural Competence in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 Approaches, Assessment and Application" Routledge 110-123, 2017
24 J. Newt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Implication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2010
25 C. J. Orwig, "Guidelines for a language and culture learning program"
26 C. Kramsch, "Foreign Langauge Research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John Benjamins 217-240, 1991
27 D. A. Kolb,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retice-Hall 1984
28 S. A. Ham, "Elementary School English 6" Chunjae Education 2018
29 H. G. Choi, "Elementary School English 6" YBM 2018
30 K. Chastain, "Developing Second Language Skills: Theory to Practice" Rand-McNally 1976
31 O. R. Holsti,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69
32 M. O. Seo, "An analysis of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English textbooks for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19 (19): 97-116, 2014
33 김선영, "An analysis of culture-related content in English textbooks" 언어정보연구소 32 : 83-104, 2015
34 김영숙, "2015개정 등어 교육과정의 문화교육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5 (25): 55-78, 2019
35 이혜경, "2015 개정 초등영어 교과서 문화 분석 -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언어학회 34 (34): 249-260, 2018
36 정다빈,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 영역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51-675, 2020
37 권정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공통영어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 대한언어학회 26 (26): 117-137, 2018
역사성의 근원으로서의 심미성 - 최하림의 초기 시를 중심으로 -
한국어 이중주어 구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단일 주어 고찰
A Modified Multimodal Pragmatic Model for Translation Analysi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80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