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어 작문과 한국어 작문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L1-L2 Composition of Chinese KF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75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composition and interview results of Chinese KFL students in order to discove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 examined each part of the composition structure. We found that the Korean compositions (KCs) were mainly deductive. However, the Chinese compositions (CCs) were more non-deductive and had more personal stories. In the body, KCs showed structures which had sequence indicators and parallel lists. On the other hand, CCs showed a structure in which the authors used several examples and facts to support their main opinions. Most KCs had conclusions that summarized the body. Conversely, there were several different kinds of conclusions in CCs. By examining both expressions and meanings of the texts’ linguistic characteristics, we were able to see a difference in discourse markers including final phrases. Exclamatory sentences, rhetorical questions, and sentence parallelism were used in CCs. Usage of many of these Chinese rhetorical devices was also spread to KCs. Also, many Chinese cultural subjects were used in KCs. Through this study, we discovered that L1-L2 compositions had large differences when looking at their structures. However, there were both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lso, there is a need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to be open to interlanguage results when completing L2 compositions using L1 resources.(Korea University)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composition and interview results of Chinese KFL students in order to discove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 examined each part of the composition structure. We found that the Korean compositions (KCs) were mainly deductive. How...

      This study analyzed composition and interview results of Chinese KFL students in order to discove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 examined each part of the composition structure. We found that the Korean compositions (KCs) were mainly deductive. However, the Chinese compositions (CCs) were more non-deductive and had more personal stories. In the body, KCs showed structures which had sequence indicators and parallel lists. On the other hand, CCs showed a structure in which the authors used several examples and facts to support their main opinions. Most KCs had conclusions that summarized the body. Conversely, there were several different kinds of conclusions in CCs. By examining both expressions and meanings of the texts’ linguistic characteristics, we were able to see a difference in discourse markers including final phrases. Exclamatory sentences, rhetorical questions, and sentence parallelism were used in CCs. Usage of many of these Chinese rhetorical devices was also spread to KCs. Also, many Chinese cultural subjects were used in KCs. Through this study, we discovered that L1-L2 compositions had large differences when looking at their structures. However, there were both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lso, there is a need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to be open to interlanguage results when completing L2 compositions using L1 resources.(Korea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성도, "현대 중국어 어법의 이해" 사람과 책 2007

      2 진대연,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대한 대조 수사학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325-356, 2006

      3 이미혜,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석 연구의 방향과 과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7 : 275-301, 2012

      4 이수미, "텍스트성에 기반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법 연구 : 자기 표현적 쓰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0

      5 정다운, "중국인과 일본인의 한국어 작문 텍스트 대조 분석-텍스트 구조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33) : 215-244, 2007

      6 이치수, "육유시사작기교" 경북대학교 어학연구소 15 : 99-113, 1990

      7 김희용, "대학생 한국어 작문의 L1/L2 수정 양상 비교 연구 : 텍스트, 사고구술, 반성적 쓰기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2

      8 김정숙, "내용 지식 구성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23-44, 2009

      9 김성숙, "내·외국인 학생 간의 작문 수정 결과 비교" 국어국문학회 (153) : 377-416, 2009

      10 전형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정 양상 연구" 한국어학회 61 : 307-337, 2013

      1 허성도, "현대 중국어 어법의 이해" 사람과 책 2007

      2 진대연,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대한 대조 수사학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325-356, 2006

      3 이미혜,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석 연구의 방향과 과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7 : 275-301, 2012

      4 이수미, "텍스트성에 기반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법 연구 : 자기 표현적 쓰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0

      5 정다운, "중국인과 일본인의 한국어 작문 텍스트 대조 분석-텍스트 구조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33) : 215-244, 2007

      6 이치수, "육유시사작기교" 경북대학교 어학연구소 15 : 99-113, 1990

      7 김희용, "대학생 한국어 작문의 L1/L2 수정 양상 비교 연구 : 텍스트, 사고구술, 반성적 쓰기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2

      8 김정숙, "내용 지식 구성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23-44, 2009

      9 김성숙, "내·외국인 학생 간의 작문 수정 결과 비교" 국어국문학회 (153) : 377-416, 2009

      10 전형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정 양상 연구" 한국어학회 61 : 307-337, 2013

      11 Eggington, W. G, "Writing across languages: analysis of L2 text" Addison-Wesley 153-168, 1987

      12 Kadar-Fulop, J., "Writing across languages and cultures: Issues in contrastive rhetoric" Sage Publications 25-50, 1988

      13 Arndt, V, "Six writers in search of texts: A protocol based study of L1 and L2 writing" 41 : 257-267, 1987

      14 Wolfersberger, M, "L1 to L2 writing process and strategy transfer: A look at lower proficiency writers" 7 (7): 1-15, 2003

      15 Kaplan, R. B, "Cultural thought patterns in inter-cultural education" 16 (16): 1-20, 1966

      16 Hirose, K, "Comparing L1 and L2 Organizational Patterns in the Argumentative Writing of Japanese EFL Students" 12 : 181-209, 2003

      17 Uysal, H. H, "Argumentation across L1 and L2 Writing: Exploring Cultural Influences and Transfer Issues" 9 : 133-159, 2012

      18 Kubota, R, "An Investigation of Japanese and English L1 Essay Organization: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54 (54): 475-508,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0-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 교육 -> 한국어교육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1.03 1.3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