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정폭력노출경험이 청소년의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n Maladjusted Behaviors by the Experience in Exposure to Juvenile Domestic Viol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385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ective solution for the children to adapt themselves to home by examining the impacts onto the maladjusted behaviors of youths based on the level of exposition to parental violence at home. To do that, the domestic violence was divided into conjugal violence and children violence according to the inflicted type of victim. This violence was again divided into depression, attack, problematic behavior, and social dwarfing by the experience level. The systemiz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ale and female students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the City of Gumi and 316 sheets were collected from them to observe their maladjusted behavioral pattern. In order to see the influence of exposure to violence on to the maladjusted juvenile behaviors, the correl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nd to find out the exposed experience level and maladjusted behavior level of the youth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against the students. Th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review the exposed experience to conjugal violence, the exposed experience to violence inflicted to the children, and the maladjusted behaviors for the youths as survey subjec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lso to see the influence on the inappropriate behaviors by experience in exposure to such domestic violence, the regression analysis was followed up.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in brief about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verbal violence appeared more commonly than the physical violence in the husband and wife violence. In the violence on to the children, the verbal violence was indicated more common, also. Second, in the maladjusted behaviors, the depression was shown with more common frequency than any other type of maladjusted behavior and then others appeared in the frequency order of problematic behavior, social dwarfing, and attack. Third, as the conjugal violence occurred highly, the children violence showed up from the correlative analysis. The higher the exposure experience to verbal violence, the higher the maladjusted behavior took place. Fourth, as to the influence on depression due to the domestic violence exposure, it had a positive significance of influence when the verbal violence and abuse were severe.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judged that the domestic violence has a great influence to the maladjusted behaviors on the part of youths, who will be responsible for the leading role in the next gener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outputs, the following could be solutions to assist their better adaption for the purpose to resume or recover the deteriorated capability by way of comprehending what difficulty lies in before them and how serious level exists in those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domestic violence.
      First, the school social worker, who has the most frequent contact with the juveniles at the site of school and also is easy to have contact the juveniles, needs to intervene in them with experience in domestic violence in a timely manner. To prevent and solve the juvenile problem, it is necessary to have the systemization of welfare and activation for the school society.
      Second, the related social bodies and identities should give notice about the seriousness of domestic violence as a social issue, deal with preventive measures more positively, and provide the support to the juveniles under domestic violence more practically.
      Third, though it may be true that aggressive activities are being performed recently in almost each local government with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established under the execution of law, various programs lecturing courses on a regular base should be opened and operated to foster the healthy family culture above all with a goal to preclude the disintegration of family and make a healthy family through supporting the identification establishment for whole family members and enhancing the consciousness.
      Lastly, the domestic violence is not confined to the household that matters but related to the juvenile problem in the society, and for this reason, this should not be left unatended. For this problem, the government authorities have to get involved in this positively and refresh this with a renewed mind-set among the people in the nation. To solve this seriousness, the intrinsic approach to domestic problems should be done, the increase in interactive and communicative time is a must, domestic value should be settled down based on the honor of intertwined responsibilities and personaities inside the family. To get it realized, the anti-violence organizations and civil groups for the youths need to set up the mentor-mentee sisterhood relationship for the alienated youths due to the domestic violence, which eventually gives the warmth and care to them. They also show the sound social model to them by designating the mentor for substitution of vacant parentship for their proper progress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and substantial social work system in place for the youths.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ective solution for the children to adapt themselves to home by examining the impacts onto the maladjusted behaviors of youths based on the level of exposition to parental violence at home. To do that, the domestic viol...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ective solution for the children to adapt themselves to home by examining the impacts onto the maladjusted behaviors of youths based on the level of exposition to parental violence at home. To do that, the domestic violence was divided into conjugal violence and children violence according to the inflicted type of victim. This violence was again divided into depression, attack, problematic behavior, and social dwarfing by the experience level. The systemiz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ale and female students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the City of Gumi and 316 sheets were collected from them to observe their maladjusted behavioral pattern. In order to see the influence of exposure to violence on to the maladjusted juvenile behaviors, the correl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nd to find out the exposed experience level and maladjusted behavior level of the youth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against the students. Th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review the exposed experience to conjugal violence, the exposed experience to violence inflicted to the children, and the maladjusted behaviors for the youths as survey subjec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lso to see the influence on the inappropriate behaviors by experience in exposure to such domestic violence, the regression analysis was followed up.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in brief about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verbal violence appeared more commonly than the physical violence in the husband and wife violence. In the violence on to the children, the verbal violence was indicated more common, also. Second, in the maladjusted behaviors, the depression was shown with more common frequency than any other type of maladjusted behavior and then others appeared in the frequency order of problematic behavior, social dwarfing, and attack. Third, as the conjugal violence occurred highly, the children violence showed up from the correlative analysis. The higher the exposure experience to verbal violence, the higher the maladjusted behavior took place. Fourth, as to the influence on depression due to the domestic violence exposure, it had a positive significance of influence when the verbal violence and abuse were severe.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judged that the domestic violence has a great influence to the maladjusted behaviors on the part of youths, who will be responsible for the leading role in the next gener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outputs, the following could be solutions to assist their better adaption for the purpose to resume or recover the deteriorated capability by way of comprehending what difficulty lies in before them and how serious level exists in those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domestic violence.
      First, the school social worker, who has the most frequent contact with the juveniles at the site of school and also is easy to have contact the juveniles, needs to intervene in them with experience in domestic violence in a timely manner. To prevent and solve the juvenile problem, it is necessary to have the systemization of welfare and activation for the school society.
      Second, the related social bodies and identities should give notice about the seriousness of domestic violence as a social issue, deal with preventive measures more positively, and provide the support to the juveniles under domestic violence more practically.
      Third, though it may be true that aggressive activities are being performed recently in almost each local government with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established under the execution of law, various programs lecturing courses on a regular base should be opened and operated to foster the healthy family culture above all with a goal to preclude the disintegration of family and make a healthy family through supporting the identification establishment for whole family members and enhancing the consciousness.
      Lastly, the domestic violence is not confined to the household that matters but related to the juvenile problem in the society, and for this reason, this should not be left unatended. For this problem, the government authorities have to get involved in this positively and refresh this with a renewed mind-set among the people in the nation. To solve this seriousness, the intrinsic approach to domestic problems should be done, the increase in interactive and communicative time is a must, domestic value should be settled down based on the honor of intertwined responsibilities and personaities inside the family. To get it realized, the anti-violence organizations and civil groups for the youths need to set up the mentor-mentee sisterhood relationship for the alienated youths due to the domestic violence, which eventually gives the warmth and care to them. They also show the sound social model to them by designating the mentor for substitution of vacant parentship for their proper progress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and substantial social work system in place for the youth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폭력가정 자녀의 부모에 의한 폭력경험 정도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자녀의 적응을 돕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정폭력을 유형별로 부부폭력과 자녀폭력으로 나누었고, 가정폭력의 경험 정도에 따라 우울, 공격성, 문제행동, 사회적 위축으로 나누었고,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미시 소재 남녀 중 ㆍ 고등학교 316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정폭력노출경험이 청소년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 정도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의 수준이 어떠한지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부폭력 노출경험, 자녀폭력 노출경험, 부적응행동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폭력에서는 신체폭력보다 언어폭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폭력에서도 언어학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대해서는 우울이 다른 부적응행동보다 높게 나타났고, 문제행동, 사회적 위축, 공격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폭력이 높을수록 자녀폭력이 높아짐을 상관분석을 통해 나타났고, 언어폭력 노출경험과 신체폭력경험이 높을수록 부적응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특히 언어폭력과 언어학대가 높을수록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폭력이 다음세대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에게 부적응 행동의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을 경험한 자녀의 적응수준의 어려움이 무엇이며, 어느 정도 심각한지를 파악하여 청소년의 손상된 능력의 향상이나 회복에 목적을 두고 가정폭력 경험 청소년의 적응을 돕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을 가장 많이 접하고 있는 교육현장에서의 학교 사회복지 사는 청소년을 가장 관찰하기 쉽고 가정폭력 노출경험 청소년에게 조기개입을 하여야 하고 학생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하여 학교사회복지제도화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관련사회단체들은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알려 사회문제로 이슈화 하고 가정폭력 예방 활동을 보다 적극화 하여 가정폭력 청소년에 대한 지원을 더욱 내실화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최근 지방자치단체마다 건강가정지원센터가 개소되어 법 제도 하에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가족 구성원 전체의 정체확립을 돕고 의식을 개혁하여 가정파탄을 예방하고 건강한 가정을 만든다는 목표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기 강좌를 설치․운영하여 건강한 가족 문화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정폭력은 해당가정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바로 청소년 사회의 문제로 연계되기 때문에 가정폭력을 방관할 수 없고 이에 관하여 국가가 적극 개입함으로써 가정폭력에 대한 국민들의 문제의식을 새로이 할 필요가 있고,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요 한 것은 가정 내의 근원적인 문제점을 파악하여 가족 간에 상호작용과 대화시간을 늘리고 가족간 책임과 인격의 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가정관의 정착을 위해 가정폭력 관련기관 및 청소년 민간단체는 가정폭력으로 소외된 청소년들의 멘 토-멘 티 결연을 적극 추진하여 가정폭력 노출경험 청소년들에게 따뜻한 관심과 사랑을 쏟아주고 부모의 빈자리 역할에 멘 토 지정 하여 청소년들에게 건전한 사회인의 본을 보여주며 올바르게 성장하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며,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청소년사회사업제도의 정착화가 필요하다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정폭력가정 자녀의 부모에 의한 폭력경험 정도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자녀의 적응을 돕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본 연구는 가정폭력가정 자녀의 부모에 의한 폭력경험 정도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자녀의 적응을 돕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정폭력을 유형별로 부부폭력과 자녀폭력으로 나누었고, 가정폭력의 경험 정도에 따라 우울, 공격성, 문제행동, 사회적 위축으로 나누었고,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미시 소재 남녀 중 ㆍ 고등학교 316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정폭력노출경험이 청소년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 정도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의 수준이 어떠한지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부폭력 노출경험, 자녀폭력 노출경험, 부적응행동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폭력에서는 신체폭력보다 언어폭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폭력에서도 언어학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대해서는 우울이 다른 부적응행동보다 높게 나타났고, 문제행동, 사회적 위축, 공격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폭력이 높을수록 자녀폭력이 높아짐을 상관분석을 통해 나타났고, 언어폭력 노출경험과 신체폭력경험이 높을수록 부적응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특히 언어폭력과 언어학대가 높을수록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폭력이 다음세대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에게 부적응 행동의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을 경험한 자녀의 적응수준의 어려움이 무엇이며, 어느 정도 심각한지를 파악하여 청소년의 손상된 능력의 향상이나 회복에 목적을 두고 가정폭력 경험 청소년의 적응을 돕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을 가장 많이 접하고 있는 교육현장에서의 학교 사회복지 사는 청소년을 가장 관찰하기 쉽고 가정폭력 노출경험 청소년에게 조기개입을 하여야 하고 학생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하여 학교사회복지제도화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관련사회단체들은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알려 사회문제로 이슈화 하고 가정폭력 예방 활동을 보다 적극화 하여 가정폭력 청소년에 대한 지원을 더욱 내실화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최근 지방자치단체마다 건강가정지원센터가 개소되어 법 제도 하에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가족 구성원 전체의 정체확립을 돕고 의식을 개혁하여 가정파탄을 예방하고 건강한 가정을 만든다는 목표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기 강좌를 설치․운영하여 건강한 가족 문화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정폭력은 해당가정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바로 청소년 사회의 문제로 연계되기 때문에 가정폭력을 방관할 수 없고 이에 관하여 국가가 적극 개입함으로써 가정폭력에 대한 국민들의 문제의식을 새로이 할 필요가 있고,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요 한 것은 가정 내의 근원적인 문제점을 파악하여 가족 간에 상호작용과 대화시간을 늘리고 가족간 책임과 인격의 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가정관의 정착을 위해 가정폭력 관련기관 및 청소년 민간단체는 가정폭력으로 소외된 청소년들의 멘 토-멘 티 결연을 적극 추진하여 가정폭력 노출경험 청소년들에게 따뜻한 관심과 사랑을 쏟아주고 부모의 빈자리 역할에 멘 토 지정 하여 청소년들에게 건전한 사회인의 본을 보여주며 올바르게 성장하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며,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청소년사회사업제도의 정착화가 필요하다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의 의의 및 목적 3
      • 3. 연구문제 4
      • 4. 연구의 한계 4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의 의의 및 목적 3
      • 3. 연구문제 4
      • 4. 연구의 한계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선행연구 동향 5
      • 2. 가정폭력과 자녀의 부적응 행동 7
      • 3.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관련요인 13
      • Ⅲ. 연구방법 17
      • 1. 연구설계 17
      • 2. 조사대상 18
      • 3. 조사도구 18
      • 4. 자료수집 20
      • 5. 자료 분석 21
      • Ⅵ. 조사결과 22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2
      • 2. 부부폭력과 자녀폭력간의 상관관계 25
      • 3. 조사대상자의 가정폭력노출경험 26
      • 4. 조사대상자의 부적응 행동 31
      • 5.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부적응행동 간의 상관관계 34
      • 6.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36
      • Ⅴ. 고찰 41
      • 1. 일반적 사항에 따른 가정폭력의 노출경험 41
      • 2. 가정폭력노출경험의 유형에 따른 부적응 행동 42
      • 3.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43
      • 4. 사회복지 실천개입 방안 44
      • Ⅵ. 결론 47
      • 참고문헌 49
      • Abstract 53
      • 부록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