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투고논문 : 범(梵),장(藏),돈황본 『금강경』 대조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the Sanskrit, Tibetan and Dunhuang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실크로드 역사에서 중심역할을 한 돈황은 세계적인 造型遺産과 文獻遺産을 남겼다. 이 중에서 문헌유산은 2만 여점의 필사본들이다. 이들은 莫高窟제 17호굴에 밀봉된 채 보존되어 있다가 ...

      실크로드 역사에서 중심역할을 한 돈황은 세계적인 造型遺産과 文獻遺産을 남겼다. 이 중에서 문헌유산은 2만 여점의 필사본들이다. 이들은 莫高窟제 17호굴에 밀봉된 채 보존되어 있다가 도사 王圓?과 그의 조수 楊씨에 의해 光緖226(1900)년에 발견되었다. 발견된 필사본 2만 여점은 대부분 佛典들로서 한문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돈황사본 중에서 完本, 혹은 完本에 가까운 20점의 대승불전 『금강경』을 산스크리트어 원전, 티베트어 번역본, 고려대장경과 대조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중국과 일본의 大藏經類인 房山石經, ?砂大藏經, 永樂北藏, 乾隆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을 각각 대조·연구하였다. 이들의 언어별, 大藏經類別대조에 의하면 돈황사본에 상당수의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단어, 혹은 문장 생략, ②단어 첨삭, ③비슷한 한자로 誤記, ④단어倒置, ⑤단어를 바꾸어 필사, ⑥단어, 혹은 문장을 중복 필사, ⑦문장을 다르게 구성하여 필사, ⑧필사시 빠뜨린 단어, 혹은 문장을 오른쪽 옆빈 行에 기록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예들로 보아 돈황사본은 신앙과 기원을 위하여 필사하였고, 그리고 돈황사본의 필사 시기는 대부분 北宋蜀版大藏經의 開版이전인 971년 전에 필사되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敦煌寶藏』에 수록되어 있는 卷5까지 중에서 스타인 본 『금강경』(구마라집 번역) 20점만을 중심으로 대조·연구하였다. 아직도 수천 점의 『금강경』이역본별, 언어본별 필사본들이 현존하고 있다. 많은 관련학자들이 동참하여 이와 같은 필사본들을 경전의 原意에 가깝게 교감·연구하였으면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nghuang who took an important role in history of the Silk Road left legacies of international formative arts and literatures. Among these, The legacies of literatures consist of 20 thousand manuscripts. They were in good preservation with sealing up...

      Dunghuang who took an important role in history of the Silk Road left legacies of international formative arts and literatures. Among these, The legacies of literatures consist of 20 thousand manuscripts. They were in good preservation with sealing up in the 17th cave of Mogao Cave, and found by an enlightened buddhist Wang Yuanlu and his assistance Mr. Yang in Guangxu 226(A.D. 1900). Most of the found manuscripts are Buddhist scriptures in Chinese. The rest are manuscripts in Sanskrit, Tibetan, Mongolian and languages of Central Asia. These manuscripts that were collected by expedition parties of England, France, Japan, Russia, America, etc. are displayed in libraries, museums, etc. of each countries. This treatise compares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 20 Mahayana scriptures that are complete works or close to them in Dunghuang`s manuscripts with original works in Sanskrit, translated ones in Tibetan and Tripitaka Koreana. In Addition, this paper studies Tripitakas of China and Japan such as Fang Shan Shi Jing, Tripitaka of Jisha, Tripitaka of Northern Yongle Edition, Tripitaka of Qianlong and Taisho Shinshu Daizokyo im comparison. I have found a lot of faults in Dunghwang`s manuscripts by comparison in languages and with other Tripitakas. The faults are followings. ①omission of words or sentences, ②correction of words ③miswriting with similar Chinese character, ④inversion of words, ⑤use of new words ⑥duplication of words or sentences, ⑦change in construction of sentences, ⑧writing omitted words or sentences at copying in the blank line at left, etc. I presume with above mistakes that Dunghwang`s manuscripts were copied for faith and prayer before A.D. 971 when Tripitaka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Shu edition had been revised. This paper compares and studies only 20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translation by Kumarajiva) of Stein among 5 books contained in Dun Huang Bao Zang. Thousands of Vajracchedika-prajnaparamita Sutras still exists in other languages and translation versions. I hope that a lot of scholars take part in studying the above manuscripts in comparison with original work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