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국가자주혁신시범구 조세지원제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26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은 경제 활성화와 산업 발전을 목적으로 제도적 규제를 완화하고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역을 지정하는, 일명 특구(特区)제도를 가장 잘 활용하는 국가이다. 이런 중...

      중국은 경제 활성화와 산업 발전을 목적으로 제도적 규제를 완화하고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역을 지정하는, 일명 특구(特区)제도를 가장 잘 활용하는 국가이다. 이런 중국이 최근 4차 산업을 중시하는 세계의 추세에 따라 자국의 4차 산업을 적극 육성하기 위해 국가자주혁신시범구(国家自主创新示范区)라는 특구를 전국적으로 조성하고 있다. 중국은 특구제도를 잘 활용하는 만큼 그 형태도 다양하다. 이중 본 논문에서 다룬 시범구(示范区)는 중국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구제도로, 특정 지역에 한하여 어떠한 정책을 실험적으로 실시해보면서 모범적인 정책을 만든 후, 이 정책을 중국 전역으로 확대하여 실시하는 일종의 정책 실험구역이다. 이에 따라 국가자주혁신시범구의 핵심 역할은 4차 산업 육성에 도움이 되는 모범적인 정책을 만든 후 이를 전국적으로 확산시켜 중국 내 4차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기업의 기술혁신활동을 지원하고, 신산업 육성을 위한 대표적인 정책 수단으로 조세지원제도가 있다. 국가자주혁신시범구 내에서도 조세지원제도를 실험적으로 실시하였고, 최근 시범구내에서만 실시하던 조세지원제도를 전국으로 확대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국가자주혁신시범구의 개념과 조성배경을 살펴보고, 시범구내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원정책과 조세제도의 세부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평가를 통해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best exploit special zone systems which designate specific regions to soften regulations and offer economic incentives for the purpose of energizing the economy and developing industries. In accordance with the recen...

      Chin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best exploit special zone systems which designate specific regions to soften regulations and offer economic incentives for the purpose of energizing the economy and developing industries.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global trends placing emphasis on the quaternary sector of the economy, China has been establishing special zones nationwide called National Indigenous Innovation Demonstration Zones(NIIDZ) in order to actively foster its fourth industries. China utilizes the special zone system well and also has various forms of it. The demonstration zone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special zone systems that can be found only in China. It is an experimental policy zone designed to demonstrate policies in a specific zone to mae model policies, which are then expanded to all of China. Hence, the main role of the NIIDZ is to come up with exemplary polic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nurturing of the quaternary sector of the economy, and then spreading it nationwide to develop the fourth industries in China.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olicy tools to support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of companies and to foster new industries is the tax incentive policies. Tax incentive policies have been experimentally carried out in the NIIDZ, and recently, tax incentive policies limited to the demonstration zones were expanded nationwide.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NIIDZ first, and analyzed the tax incentive policies as well as detailed tax system implementing in the demonstration zone. Finally, the study derived the implications to Korea from the policy eval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국가자주혁신시범구 조성 배경
      • Ⅲ. 국가자주혁신시범구 현황 및 지원제도
      • Ⅳ. 조세지원제도의 주요내용과 함의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국가자주혁신시범구 조성 배경
      • Ⅲ. 국가자주혁신시범구 현황 및 지원제도
      • Ⅳ. 조세지원제도의 주요내용과 함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아, "한-중 경협 강화를 위한 중국의 경제특구성 시범지역 현황과 관련 법제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4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국혁신형 산업클러스터 현황 분석" 2015

      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의 지역별 산업고도화 추진 현황 및 시사점: 장쑤성"

      4 유병주, "중국 첨단기술산업개발단지 성장과 발전" 한국경영사학회 (3) : 2003

      5 노민선, "연구개발 조세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혁신학회 9 (9): 49-76, 2014

      6 匡小平, "我国自主创新能力培育的税收优惠政策整合--基于高新技术企业税收优惠的分析" (S1) : 2007

      7 王建军, "我国自主创新的税制现状及改进" (1) : 2015

      8 "对中关村科技园建设国家自主创新示范区有关股权奖励个人所得税试点政策的通知(财税〔2010〕83号)"

      9 "对中关村科技园区建设国家自主创新示范区有关研究开发费用加计扣除试点政策的通知(财税〔2010〕81号)"

      10 "国民经济和社会发展十一个五年规划纲要"

      1 김명아, "한-중 경협 강화를 위한 중국의 경제특구성 시범지역 현황과 관련 법제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4

      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국혁신형 산업클러스터 현황 분석" 2015

      3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의 지역별 산업고도화 추진 현황 및 시사점: 장쑤성"

      4 유병주, "중국 첨단기술산업개발단지 성장과 발전" 한국경영사학회 (3) : 2003

      5 노민선, "연구개발 조세지원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혁신학회 9 (9): 49-76, 2014

      6 匡小平, "我国自主创新能力培育的税收优惠政策整合--基于高新技术企业税收优惠的分析" (S1) : 2007

      7 王建军, "我国自主创新的税制现状及改进" (1) : 2015

      8 "对中关村科技园建设国家自主创新示范区有关股权奖励个人所得税试点政策的通知(财税〔2010〕83号)"

      9 "对中关村科技园区建设国家自主创新示范区有关研究开发费用加计扣除试点政策的通知(财税〔2010〕81号)"

      10 "国民经济和社会发展十一个五年规划纲要"

      11 肖向泽, "国家自主创新示范区科技创新“政策-绩效-评价”研究" 中国科学技术大学 2016

      12 "国家自主创新示范区有关税收试点政策推广到全国范围实施的通知(财税〔2015〕 116号)"

      13 "国家中长期科学和技术发展规划纲要(2006-2020年)"

      14 "关于苏州工业园区有限合伙制创业投资企业法人合伙人企业所得税试点政策的通知(财税〔2012〕67号)"

      15 "关于推广中关村国家自主创新示范区税收试点政策有关问题的通知(财税〔2015〕 62号)"

      16 "关于居民企业技术转让有关企业所得税政策问题的通知(财税〔2010〕111号)"

      17 "关于实施创业投资企业所得税优惠问题的通知(国税发〔2009〕87号)"

      18 "关于完善中关村国家自主创新示范区高新技术企业认定管理试点工作的通知(国科发火〔2011〕90号)"

      19 "关于在中关村国家自主创新示范区开展科研项目经费管理改革试点的意见(财教〔2011〕20号)"

      20 "关于在中关村国家自主创新示范区开展中央级事业单位科技成果收益权管理改革十点的意见(财教〔2011〕127号)"

      21 "关于在中关村国家自主创新示范区开展中央级事业单位科技成果处置权改革试点的通知(财教〔2011〕18号)"

      22 梅月华, "关于促进自主创新的税收政策及相关税收管理体制研究" 财政部财政科学研究所 2012

      23 "关于中关村国家自主创新示范区有关股权奖励个人所得税试点政策的通知(财税〔2014〕63号)"

      24 "关于中关村国家自主创新示范区技术转让企业所得税试点政策的通知(财税〔2013〕72号)"

      25 "关于中关村国家自主创新示范区企业转增股本个体所得税试点政策的通知(财税〔2013〕73号)"

      26 "关于个人股票期权所得征收个人所得问题的通知(财税〔2005〕35号)"

      27 "中华人民共和国企业所得税法实施条例"

      28 "中华人民共和国企业所得税法"

      29 北京市国家税务局, "中关村科技园区建设国家自主创新示范区企业所得税优惠政策指南"

      30 "中关村国家自主创新示范区企业股权和分红激励实施办法(财企〔2010〕8号)"

      31 "http://finance.people.com.cn/n1/2016/0823/01004-28657154.htm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8 0.819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