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간적 관점과 구조적 관점에서의 거주지 분리 측정 = Spatial and Structural Approaches to the Measurement of Residential Segreg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9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idential segregation is a social phenomenon that decreases the chance of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population groups. In this paper, we argue that residential segregation is primarily caused by two factors, namely spatial factor and structural factors. The spatial factor refers to the degree of differences in geographic arrangements of population groups, and it increases when a particular group (or groups) is residentially clustered in the study area. Structural factors can be divided into two sub-factors: differences in population sizes between the groups and the absence of population diversity, such as ethnic diversity. As the differences in population sizes increase and the population diversity decreases, the overall level of residential segregation is likely to increase due to the structural factors. To understand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ny given residential segregation,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se factors separately and accurate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set of new indices that can measure spatial and structural aspects of residential segregation and demonstrate its strengths and advantages over the existing methods by applying it to the Seoul population data.
      번역하기

      Residential segregation is a social phenomenon that decreases the chance of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population groups. In this paper, we argue that residential segregation is primarily caused by two factors, namely spatial factor and structural...

      Residential segregation is a social phenomenon that decreases the chance of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population groups. In this paper, we argue that residential segregation is primarily caused by two factors, namely spatial factor and structural factors. The spatial factor refers to the degree of differences in geographic arrangements of population groups, and it increases when a particular group (or groups) is residentially clustered in the study area. Structural factors can be divided into two sub-factors: differences in population sizes between the groups and the absence of population diversity, such as ethnic diversity. As the differences in population sizes increase and the population diversity decreases, the overall level of residential segregation is likely to increase due to the structural factors. To understand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ny given residential segregation,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se factors separately and accurate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set of new indices that can measure spatial and structural aspects of residential segregation and demonstrate its strengths and advantages over the existing methods by applying it to the Seoul population da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계층 간 상호접촉 기회의 감소와 단절을 의미하는 거주지 분리는 일차적으로 공간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공간적 요인이란 계층별 거주지의 분포 양상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특정한 계층이 도시 내의한정된 지역에서 군집을 이룰 때 증가한다. 거주지 분리의 구조적 요인은 계층 간 규모의 차이, 계층 다양성의 부재 등과같은 인구구성적 측면의 특성을 의미하며, 계층 간 규모의 차이가 커질수록, 그리고 계층 다양성이 감소할수록 커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거주지 분리를 각각 거주지 분리의 공간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 또는 공간적 분리와 구조적 분리로 정의하고, 각각을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소개하고자 한다. 새롭게 제시된 지표의특징과 장점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10년 실시된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 데이터에 이를적용하고 그 결과를 기존의 측도와 비교하여 설명할 것이다.
      번역하기

      계층 간 상호접촉 기회의 감소와 단절을 의미하는 거주지 분리는 일차적으로 공간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공간적 요인이란 계층별 거주지의 분포 양상에서 나타나는 ...

      계층 간 상호접촉 기회의 감소와 단절을 의미하는 거주지 분리는 일차적으로 공간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공간적 요인이란 계층별 거주지의 분포 양상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특정한 계층이 도시 내의한정된 지역에서 군집을 이룰 때 증가한다. 거주지 분리의 구조적 요인은 계층 간 규모의 차이, 계층 다양성의 부재 등과같은 인구구성적 측면의 특성을 의미하며, 계층 간 규모의 차이가 커질수록, 그리고 계층 다양성이 감소할수록 커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거주지 분리를 각각 거주지 분리의 공간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 또는 공간적 분리와 구조적 분리로 정의하고, 각각을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소개하고자 한다. 새롭게 제시된 지표의특징과 장점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10년 실시된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 데이터에 이를적용하고 그 결과를 기존의 측도와 비교하여 설명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성연, "활동공간에서 나타나는 계층 간 공간적 분리의 측정" 국토지리학회 50 (50): 361-371, 2016

      2 손은영, "서울 대도시권 인구연령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50 (50): 283-294, 2016

      3 정수열,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도시 내 계층별 거주지 분리" 한국경제지리학회 18 (18): 1-16, 2015

      4 이상일, "거주지 분화에 대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II): 국지적 공간 분리성 측도를 이용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 대한지리학회 43 (43): 134-153, 2008

      5 이상일, "거주지 분화에 대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I): 공간 분리성 측도의 개발" 대한지리학회 42 (42): 616-631, 2007

      6 White, M. J., "The measurement of spatial segregation" 88 (88): 1008-1018, 1983

      7 Reardon, S. F., "The geographic scale of metropolitan racial segregation" 45 (45): 489-514, 2008

      8 Massey, D.S., "The dimensions of residential segregation" 67 (67): 281-315, 1988

      9 Wong, D. W. S., "Spatial indices of segregation" 30 (30): 559-572, 1993

      10 Reardon, S. F., "Race and space in the 1990s: changes in the geographic scale of racial residential segregation, 1990-2000" 38 (38): 55-70, 2000

      1 홍성연, "활동공간에서 나타나는 계층 간 공간적 분리의 측정" 국토지리학회 50 (50): 361-371, 2016

      2 손은영, "서울 대도시권 인구연령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50 (50): 283-294, 2016

      3 정수열,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도시 내 계층별 거주지 분리" 한국경제지리학회 18 (18): 1-16, 2015

      4 이상일, "거주지 분화에 대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II): 국지적 공간 분리성 측도를 이용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 대한지리학회 43 (43): 134-153, 2008

      5 이상일, "거주지 분화에 대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I): 공간 분리성 측도의 개발" 대한지리학회 42 (42): 616-631, 2007

      6 White, M. J., "The measurement of spatial segregation" 88 (88): 1008-1018, 1983

      7 Reardon, S. F., "The geographic scale of metropolitan racial segregation" 45 (45): 489-514, 2008

      8 Massey, D.S., "The dimensions of residential segregation" 67 (67): 281-315, 1988

      9 Wong, D. W. S., "Spatial indices of segregation" 30 (30): 559-572, 1993

      10 Reardon, S. F., "Race and space in the 1990s: changes in the geographic scale of racial residential segregation, 1990-2000" 38 (38): 55-70, 2000

      11 Morrill, R. L., "On the measure of geographic segregation" 11 : 25-36, 1991

      12 Hong, S.-Y., "Measuring geographic segregation: a graph-based approach" 16 (16): 211-231, 2014

      13 Reardon, S.F., "Measures of spatial segregation" 34 (34): 121-162, 2004

      14 Reardon, S.F., "Measures of multigroup segregation" 32 (32): 33-67, 2002

      15 Johnston, R., "Ethnic and racial segregation in U.S. metropolitan areas, 1980-2000" 42 (42): 479-504, 2000

      16 Sadahiro, Y., "Decomposition approach to the measurement of spatial segregation" CSIS 1-37, 2014

      17 Lee, B. A., "Beyond the census tract: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racial segregation at multiple geographic scales" 73 (73): 766-791, 2008

      18 Morgan, B. S., "An alternate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a distance-based measure of racial segregation" 88 (88): 1237-1249, 1983

      19 Duncan, O.D., "A methodological analysis of segregation indexes" 20 (20): 210-217, 1955

      20 Sadahiro, Y., "A method for analyzing the segregation between point distributions: statistical tests and consideration of attributes" 17 (17): 29-60,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