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현선, "한국체류 조선족의 밀집거주 지역과 정주의식: 서울시 구로·영등포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7) : 231-264, 2010
2 서운석, "한국인의 다문화 인식 현황: 연령별 비교를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4 (4): 11-39, 2010
3 방성훈, "한국계 중국인 밀집주거지의 분화에 관한 연구-서울시 가리봉동과 자양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39-68, 2012
4 통계청, "총조사인구(2016)" 2017
5 강정운,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도시이미지 마켓팅" 6 (6): 187-207, 2007
6 전병규, "중국인 집단거주지에 대한 중국인의 장소인식 및 이용특성 실증분석 - 안산시 원곡동의 한국계 중국인과 그 외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3 (13): 125-141, 2012
7 이영민, "중국 조선족의 트랜스이주와 로컬리티의 변화 연구: 서울 자양동 중국음식문화거리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5 (15): 103-116, 2012
8 김재익, "주거만족도 구성요인의 가격추정에 관한 연구" 33 (33): 105-117, 1998
9 박세훈, "조선족의 공간집적과 지역정체성의 정치- 구로구 가리봉동 사례연구" 다문화통합연구센터 3 (3): 71-101, 2010
10 강진구, "조선족 밀집지역과 거주공간 확대에 관한 연구" 331-347, 2016
1 김현선, "한국체류 조선족의 밀집거주 지역과 정주의식: 서울시 구로·영등포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7) : 231-264, 2010
2 서운석, "한국인의 다문화 인식 현황: 연령별 비교를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4 (4): 11-39, 2010
3 방성훈, "한국계 중국인 밀집주거지의 분화에 관한 연구-서울시 가리봉동과 자양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39-68, 2012
4 통계청, "총조사인구(2016)" 2017
5 강정운,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도시이미지 마켓팅" 6 (6): 187-207, 2007
6 전병규, "중국인 집단거주지에 대한 중국인의 장소인식 및 이용특성 실증분석 - 안산시 원곡동의 한국계 중국인과 그 외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3 (13): 125-141, 2012
7 이영민, "중국 조선족의 트랜스이주와 로컬리티의 변화 연구: 서울 자양동 중국음식문화거리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5 (15): 103-116, 2012
8 김재익, "주거만족도 구성요인의 가격추정에 관한 연구" 33 (33): 105-117, 1998
9 박세훈, "조선족의 공간집적과 지역정체성의 정치- 구로구 가리봉동 사례연구" 다문화통합연구센터 3 (3): 71-101, 2010
10 강진구, "조선족 밀집지역과 거주공간 확대에 관한 연구" 331-347, 2016
11 이용균, "이주자의 장소 점유와 주변화 담론 연구: 서울 자양동 중국음식문화거리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16 (16): 218-232, 2013
12 노성훈, "외국인의 증가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 : 집단위협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 (24): 151-184, 2013
13 최영신, "외국인의 불법체류와 외국인범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8 (18): 1319-1340, 2007
14 이선화, "외국인노동자 유입에 대한 도시지역 원주민의 대응: 안산 원곡동의 사례" 비교문화연구소 14 (14): 123-166, 2008
15 신동일, "외국인, 외국인 범죄, 그리고 합리적 형사정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275-300, 2010
16 김병학, "외국인 밀집지역 치안 위협요인의 실재(實在) 여부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 구로구의 중국인 범죄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4 (24): 343-372, 2013
17 박신영, "외국인 밀집거주로 인한 내국인 주민의 주거환경 인식에 관한 연구 : 한남동, 가리봉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9
18 박신영, "외국인 노동자 밀집거주에 의한 근린효과 - 서울 가리봉동·대림동을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17-230, 2012
19 한성미, "소수민족집단체류지역(Ethnic Enclave)으로서의 옌볜거리의 장소성 형성 요인 분석" 한국조경학회 36 (36): 81-90, 2009
20 이영민, "서울시 중국인 이주자 집단의 거주지 특성과 장소화 연구 - 조선족과 한족(漢族)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도시지리학회 17 (17): 15-31, 2014
21 박재영, "서울시 조선족 밀집지역과거주 공간 확대에 대한 연구 - 가리봉동・구로동・대림동을 중심으로 -" 탐라문화연구원 (53) : 255-290, 2016
22 이석준, "서울시 조선족 밀집지 간 특성 분석과 정책적 함의" 서울연구원 15 (15): 1-16, 2014
23 서지수, "서울 대림동의 조선족 ‘통로 (Portal)’로서 장소성 형성" 58 : 49-75, 2012
24 김흥순, "비성별적 도시의 모색 : 도시환경요소가 주는 잠재적 범죄위협에 대한 여성인식의 고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35-50, 2007
25 조은경,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9 (9): 1-21, 2003
26 지남석, "대전 석교동 마을공동체 활동의 전개와 활성화요인" 국토지리학회 49 (49): 335-348, 2015
27 박세훈, "다문화사회에 대응하는 도시정책 연구 (II): 외국인 밀집지역의현황과 정책과제" 국토연구원 2010
28 신동준, "다문화사회 범죄문제의 사회적 맥락: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차별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3 (23): 183-215, 2012
29 공윤경, "다문화공간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차별화"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8) : 183-214, 2013
30 노지현, "김해시 외국인 이주자의 공간적 분포와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50 (50): 411-423, 2016
31 경찰청, "경찰범죄통계"
32 민지선, "거주지역의 외국인 비중이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회 36 (36): 71-94, 2013
33 김두식, "가리봉동의 물리적 변화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33 (33): 73-74, 2013
34 Boulding, Kenneth E., "The image : Knowledge in Life and Society" The Uni. of Michigan Press 1956
35 Kotler, P., "Marketing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1997
36 Pamuk, A., "Geography of immigrant clusters in global cities: a case study of San Francisco" 28 (28): 287-307, 2004
37 통계청, "2015년 외국인 고용조사" 2016
38 법무부, "2015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