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장 내 특화상품 지원사업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속초관광수산시장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98514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건축도시설계 , 2016. 8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11.552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Study on an Effect of Support Project for Specialized Products on the Traditional Market Activation - Focusing on the Sokcho Tourism Fish Market -

      • 형태사항

        viii,87장 ;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홍경구
        참고문헌 : 81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80년대 이후부터 급격한 경제 성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경제수준 향상, 그에 따른 소비패턴의 변화와 시설물 노후화 등 다양한 변화요인이 발생되며, 전통시장은 고객수의 감소와 매출액의 ...

      80년대 이후부터 급격한 경제 성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경제수준 향상, 그에 따른 소비패턴의 변화와 시설물 노후화 등 다양한 변화요인이 발생되며, 전통시장은 고객수의 감소와 매출액의 하락 현상이 발생하며 지속적으로 쇠퇴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마트, 홈플러스와 같은 대형유통업체들의 등장으로 인해 쇠퇴화 현상은 가속화되었다.
      전통시장의 쇠퇴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관련법 제정 및 관련 사업을 추진하며 2010년까지 약 2조 5천억 원 가량의 예산을 투입하였으며 이러한 정부 예산으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사업들이 전국 각지에서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방문객의 증가 및 매출액 상승과 같은 활성화 사업을 통한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사업이 종료된 후 정부의 예산 지원이 끊김과 동시에 사업을 통해 조성된 다양한 물리적인 시설들은 방치되어 다시 쇠퇴해가고 예산을 기반으로 추진되었던 다양한 프로그램 사업들은 중단이 되며 전반적으로 전통시장은 다시 쇠퇴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자생적인 성장구조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새로운 활성화 방안으로 2015년부터 추진되는 골목형시장육성사업의 전략을 살펴보면 특화상품을 통한 1시장 1특색 전략을 추진하며 이러한 특색을 통해 자생적인 전통시장만의 성장구조를 마련하겠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사업이 추진된 15년도에는 총 73개의 전통시장이 선정되어 해당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전국적으로 특화상품을 선정하여 시장 활성화를 추진하는 열풍이 일어난 만큼, 본 연구는 특화상품을 활용한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여 사업의 효과가 한정적이지 않으며 지원이 종료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활성화가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시장을 선정하여 특화상품 지원사업이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지로 선정한 속초관광수산시장은 과거 두 차례에 걸쳐 정부 예산을 통해 활성화 사업이 추진되었으며 관련 기관을 통해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우수시장으로 선정되어 활성화가 공식적으로 입증된 시장이다. 또한 속초관광수산시장은 과거의 타 전통시장과 달리 먹거리 상품들이 시장 내에서 활발하게 판매가 되어 오고 있다는 점을 자체적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상품을 전통시장 특화상품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물리적인 사업과 프로그램 사업과 함께 특화상품 지원사업을 추진하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속초관광수산시장에서 이러한 특화상품 지원사업이 지속적인 시장 활성화를 유지하는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가정 하에 과거 추진했던 활성화 사업들에 대해 시장 상인들을 대상으로 사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그중 특화상품 지원사업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크게 세부분으로 구성하였으며 첫 번째는 전통시장과 특화상품, 마케팅 전략,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검토를 진행하여 연구 수행을 위한 배경정보를 조사하였으며 두 번째 영역에서는 이러한 배경정보를 기반으로 속초관광수산시장을 연구의 대상지를 선정, 대상지 중심으로 다양한 분석을 하였으며 다음 단계인 실증분석을 위한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세 번째 영역에서는 이러한 분석의 틀을 토대로 상인대상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만족도 분석과 함께 다양한 측정변수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로는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속초관광수산시장의 주체인 상인들에게 있어 사업의 만족도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특화상품 지원사업의 경우 수익금액, 시장에 대한 매력도, 시장의 경제적 가치 상승, 시장 중심의 공동체 형성 측면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장에 대한 매력도 측면과 공동체 형성측면에서는 다른 유형의 사업과 다르게 매우 높게 그 효과가 측정이 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속초관광수산시장 내에 상인들이 시장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특화상품이 각자가 소속되어 있는 시장이 다른 전통시장과의 차별성을 갖는 요소로 인식하고 그러한 결과로 인해 시장에 대한 매력도가 높아진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는데, 실제 상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는 도중 특화상품을 판매하는 상인이 아님에도 특화상품을 통해 전국적으로 시장의 인기가 상승하며 방문객들을 통해 입소문이 나며 여러 방송 매체를 통해 시장이 방송되는 것을 접하며 만족해하는 모습을 자주 접할 수 있었다. 즉 특화상품이 속초관광수산시장의 매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상인들은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인들 간의 공동체에도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나타난 결과 값은 동일 상품판매 상인들 간의 자칫 경쟁구도에 빠질 위험이 있지만 동일 업종이 모여 있는 만큼 전국적으로 다량의 방문객들이 접근하여 집적의 효과로 인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상품 개발을 위해 서로 의견을 나누며 특화상품별, 특화골목별, 상인들 간의 나름의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매력도 측면과 공동체 형성측면이 수익금의 증가, 방문객의 증가, 임대료 혹은 지가 와 같은 시장의 경제적 가치 상승 측면보다 시장의 지속적인 활성화에 더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요소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사업의 대상지인 속초관광수산시장의 경우, 물리적인 사업과 프로그램사업이 순차적으로 추진되었던 시장이며 또한 현재 특화상품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타 전통시장의 현황을 비교 분석해본 결과 특화상품 지원사업을 추진하기에 앞서 쾌적한 물리적인 환경과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사업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게 되었고 앞서 회귀분석 결과 속초관광수산시장의 경우 물리적인 사업과 프로그램 사업 역시 충분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선 결과 값들을 통해 그동안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추진되었던 물리적 환경 개선사업과 경영현대화사업 문화프로그램 추진 사업과 같은 기존의 사업들은 효과가 없었던, 불필요한 사업으로 단정 짓기보다 특화상품 지원사업의 원활한 정착을 위해 연계하여 추진되어야 할 필수적인 사업으로 바라볼 필요성이 있다고 분석되어지며, 특화상품 지원사업이 상인들 간의 공동체 형성, 시장의 매력도 측면이 전통시장 활성화를 측정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 값은 시장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 같이 공동체, 매력도 측면의 요소가 개선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economy has grown rapidly in 1980s, the economic level of consumers has been improved as well, bringing about various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along with facilities deterioration; customers and sales of a traditional market has decreased ...

      Since economy has grown rapidly in 1980s, the economic level of consumers has been improved as well, bringing about various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along with facilities deterioration; customers and sales of a traditional market has decreased continuously. The emergence of large retailers such as E-Mart or Home Plus makes the decline even faster.
      To address the problem of traditional market, the government enacted laws to promote the related business, and has committed a budget of about 2.5 trillion won until 2010, which was used for various projects to activate a traditional market across the country. First, the performance of various projects seemed to work such as the increase of customers or sales; but, many of the physical facilities, that made with government funding, have deteriorated and the market has declined again after the various support programs operated by the government budget. Overall, it becomes important for the need and initiatives for self-sustaining growth to raise the traditional market continually.
      Meanwhile, a new support strategy for street market has been to develop and promote one character for one market since 2015: and to provide with the self-sustaining power of traditional market. The project has been promoted in 2015; for the project, a total of 73 traditional markets were selected to try to activate the market natio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traditional marke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ort project for specialized products on the activation of the market: and to make the effect continue even after the support project, utilizing specialized products.
      For the survey, Sokcho Tourism Fish Market was selected, because there were supporting projects two times in the past with government budget and this market has been chosen as the best market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There are also various food products in Sokcho Tourism Fish Market unlike other traditional markets and has been actively selling food products in the market, using their own specialized products to activate the marke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support project for specialized products on traditional market targeting merchants of Sokcho Tourism Fish Market, after assuming specialized products would have an effect on the sustaining growth.
      Research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areas; the first was to build research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study, continuing the review of previous traditional market theory, specialized products and conducted marketing strategies; secondly, through the selection of ​​the Sokcho Tourism Fish Market as a subject for the research based on such background information, a variety of analysis methods were conducted and the framework of analysis was established for the next step, empirical analysis; for the third step,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a satisfaction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variety of measured variables for an empirical analysis to proceed with the survey of mercha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rchants satisfaction of Sokcho Tourism Fish Market is constantly kept even after the project has ended. In addition, the support project for specialized, market showed to have an effect on revenue, attractiveness of the market, economic value increase, and the market-oriented community formation.
      In particular, it showed to have a high impact on attractiveness of the market and the market-oriented community formation. It suggested the market merchants were aware that the product has granted the distinction to their market increasing attractiveness of the market. Even merchants selling other products, not specialized products were satisfied as the popularity of the market was rising nationwide due to the specialized products through word-of-mouth and the broadcasting of various media. The findings showed that specialized products had a big impact on the attractiveness of Sokcho Tourism Fish Market and the community among merchants. It was a risk to be too competitive between merchants selling the same product, but nationally, they were satisfied that were a large amount of visitors were gathered for their specialized products, as they shared feedback with each other for product development by product, street or merchant enhancing their community. It had the higher impact on the continued activation of the market rather than on increase in revenues, visitors, rental or land prices in an economic aspect.
      However, in the case of Sokcho Tourism Fish Market, physical projects and programs had been promoted for the market business in order.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pleasant physical environment and various cultural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first compared with other traditional market before support project for specialized products. The study provided clear evidence as well that physical business and various programs also had an high effect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study suggests that existing projects such as the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s and management & culture modernization programs to activate a traditional market are necessary along with support project for specialized product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attractiveness of the market and the market-oriented community formation should be also strengthened, as support project for specialized products showed to have a high impact on attractiveness of the market and the market-oriented community form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개요 4
      • 1) 연구의 공간적 범위 4
      • 2) 연구의 시간적 범위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개요 4
      • 1) 연구의 공간적 범위 4
      • 2) 연구의 시간적 범위 4
      • 3) 연구의 방법 5
      • Ⅱ. 이론검토 7
      • 1. 전통시장의 개념 및 필요성 7
      • 1) 전통시장의 개념 7
      • 2) 전통시장의 기능 및 역할 8
      • 2. 전통시장 관련제도 및 활성화 사업 10
      • 1) 전통시장의 제도의 변천과정 10
      • 2) 전통시장의 활성화 사업 10
      • 3.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사업 현황 13
      • 1) 특화상품 지원사업 추진현황 13
      • 2) 특화상품 지원사업 추진사례 14
      • 4. 마케팅 개념 및 마케팅 전략 22
      • 1) 마케팅의 개념 및 필요성 22
      • 2) 마케팅 기법의 종류 23
      • 3) 마케팅 기법의 현황과 시사점 26
      • 5.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31
      • Ⅲ. 대상지 선정 및 분석의 틀 설정 32
      • 1. 대상지 선정 32
      • 1) 대상지 선정 기준 32
      • 2) 대상지 선정 과정 33
      • 2. 속초관광수산시장 현황분석 36
      • 1) 속초관광수산시장 일반현황 36
      • 2) 속초관광수산시장 특징 38
      • 3) 속초관광수산시장 활성화 전략 46
      • 4) 속초관광수산시장의 특화상품 인지도 현황분석 48
      • 3. 속초관광수산시장 활성화 사업 51
      • 4. 분석의 틀 설정 61
      • 1) 활성화 독립변수 및 측정 변수 설정 61
      • 2) 기술통계분석 65
      • Ⅳ. 실증분석 68
      • 1. 각 요소별 특성 및 만족도 분석 68
      • 2. 전통시장 활성화 영향 요인 분석 72
      • Ⅴ. 결론 78
      • 참고문헌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