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학자관료집단 연구 ― 조선전기의 대제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cholarly officials of J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6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prepared to find out how the personal relationships of scholarly officials had been constructed in Josun Dynasty Period. First I studied the changes of institution of Daejehk(大提學) of Yemoongwan(藝文館). Next I collected the da...

      This article is prepared to find out how the personal relationships of scholarly officials had been constructed in Josun Dynasty Period. First I studied the changes of institution of Daejehk(大提學) of Yemoongwan(藝文館). Next I collected the data of officials who had occupied Daejehk in 15th and 16th centuries from the chronicles of Josu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analyzed them. From this I aimed to find out the tasks of researching political-culture in Josun Dynasty Period.
      The institutional figure of Daejehkl in Josun Dynasty Period succeeded from that of Prominent Scholar(太學士) of Yemoongwan in late Koryo Dynasty. It had overcame all difficulties of middle of 15th century which was occurred from king Sejo's abnormal enthronement and become established that of Josun Dynasty at the period of king Sengjong's reign. After that time to all intents and purposes the appointive power of king to Daejehk had been incompetent,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holder of Daejehk had been nominating his appointee. Simultaneously, moonhyong(文衡) which menns an eminent writer became another name of Daejehk.
      Occupied Daejehk were sixty four persons in all, 1392~1567. They mostly came of noble families. Some of them were from royal family, and there were descendants of minister and meritorious retainer of states. In the first half of 15th century, kings displayed so strong appointive power to Daejehk that some of new figures could advance into that post. But on the other hand ln the latter half of 15th century, that post became exclusive possession of descendants of minister and meritorious retainer of states. Subsequently ln 16th century, selfgenerated new power elite could advance into that po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시대 대제학을 통해 정치세력의 인맥과 관련된 내용을 살핌으로써 당시 지배층 정치문화의 일부에나마 접근해 보고자 마련되었다. 고찰 대상 시기는 조선 명종연간까지로 국한...

      이 글은 조선시대 대제학을 통해 정치세력의 인맥과 관련된 내용을 살핌으로써 당시 지배층 정치문화의 일부에나마 접근해 보고자 마련되었다. 고찰 대상 시기는 조선 명종연간까지로 국한하였고, 먼저 대제학의 제도적 규정과 그 변천 과증을 살피고, 대제학에 오른 인물들을 추출한 뒤, 이들의 출신과 경력, 인간관계를 살피는 순서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맺음말에 이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파악된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조선시대의 대제학은 고려말의 예문춘추관 태학사의 제도로부터 비롯되어, 성종연간에 이르러 정착되었다. 예문춘추관 대제학 자대제와 관행과 문형이라 부르는 관행 역시 성종연간에 시작되었다. 15세기 동안에는 전반적으로 국왕이 강력한 인사권을 행사하는 사정 속에서 주요 가문 출신이 대제학 역임자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소수의 새로운 인적 요소가 등장할 수 있었다. 계유정난 이후 훈척세력이 정치를 주도하게 되자 새로운 인적 요소가 편입되기가 매우 어려워졌으며, 사림세력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던 16세기에야 다시금 새로운 인적 요소가 등장할 수 있었다.
      조선왕조가 법치를 표방하기는 하였으나, 제도와 법률의 규정이 운영되는 내용, 나아가 국정이 운영되는 양상은 누가 그 직책을 맡는가에 따라 커다란 차이가 발생하곤 하였다. 현실적으로 국정 담당자 등이 어떠한 인적 맥락 속에 위치하는 사람이었는지, 그리고 어떠한 이력을 쌓아 왔는지가 훨씬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즉 그 인간관계가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곤 했던 것이다.
      조선시대 양반 사족의 인간관계는 혈연에 의해서 형성되는 부분, 학문 연마와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사제관계 또는 붕우관계의 부분, 그리고 관직 경력을 비롯한 이력의 축적 과정에서 형성되는 부분 등이 중첩되어 형성되고 있었다. 우선 이 가운데 보학譜學을 통해 전승되어 온 혈연관계에 대한 지식은 디지털 정보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왕실과의 혼인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필요하다. 두 번째로 붕당 설립 이후의 학통에 대한 연구를 벗어나, 과거제도와 관학 교육을 매개로 형성된 사제관계 및 붕우관계에 대한 연구와 이를 위한 별도의 연구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 관직 경력을 매개로 형헝된 인간관계의 구체적 내용을 확보하는 것이 또 하나의 중요한 과제라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태종실록"

      2 "태조실록"

      3 "중종실록"

      4 "인종실록"

      5 "예종실록"

      6 "연산군일기"

      7 "연려실기술"

      8 "세종실록"

      9 "세조실록"

      10 "성종실록"

      1 "태종실록"

      2 "태조실록"

      3 "중종실록"

      4 "인종실록"

      5 "예종실록"

      6 "연산군일기"

      7 "연려실기술"

      8 "세종실록"

      9 "세조실록"

      10 "성종실록"

      11 "문종실록"

      12 "명종실록"

      13 "대동야승"

      14 "단종실록"

      15 김현영,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사회사" 신서원 2003

      16 金亨姿, "朝鮮初期 文衡硏究" 龜泉元裕漢敎授定年紀念論叢下 17 : 2000

      17 崔先惠, "朝鮮初期 太宗代 藝文館의 設置와 그 歷史的 意義" 80 : 1995

      18 朴天圭, "文衡攷, in:史學志" 檀國大學校 史學會 1972

      19 崔異敦, "成宗代 弘文館의 言官化 過程" 61 : 1986

      20 崔承熙, "弘文館의 言官化" 18 : 2001

      21 崔承熙, "弘文館의 成立經緯" 5 :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